DOI QR코드

DOI QR Code

Early Onset Subsequent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 after Percutaneous Verteroplasty

경피적 척추 성형술 후 조기에 발생한 새로운 척추 압박골절

  • Kim, Jong-Ki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Presbyterian Medical Center) ;
  • Choi, Byeong-Yeo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Presbyterian Medical Center) ;
  • Park, Young-Chu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Presbyterian Medical Center) ;
  • Kim, Dong-Hyu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Presbyterian Medical Center)
  • 김종길 (전주 예수병원 정형외과) ;
  • 최병열 (전주 예수병원 정형외과) ;
  • 박영철 (전주 예수병원 정형외과) ;
  • 김동현 (전주 예수병원 정형외과)
  • Received : 2017.10.10
  • Accepted : 2017.12.22
  • Published : 2019.02.28

Abstract

Purpose: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risk factors of early onset subsequent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 after percutaneous verteb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44 patients, who had a new subsequent vertebral fracture after percutaneous vertebroplasty for an 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 between January 2013 and December 2015, were recruited.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onset period of subsequent fracture. The number of patients who had a fracture within 3 months following vertebroplasty were 22 cases (Group A); after 3 months were 22 cases (Group B). Variables, including age, sex, bone mineral density (BMD), body mass index (BMI), preexisting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 location of the initial fracture, intradiscal cement leakage, injected cement volume, restoration of vertebral body height, and correction of kyphosis, in the two groups were analyzed and compared retrospectively. Results: The age, sex, BMD, BMI, preexisting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 location of the initial fracture, intradiscal cement leakage, and correction of kyphosis were similar in the two groups. Both a greater volume of bone cement injected and a greater degree of vertebral height restoration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risk of fracture within 3 months. Conclusion: The cement volume and degree of height restoration are risk factors for early onset fracture at the adjacent vertebrae after percutaneous vertebroplasty and close attention is needed during the follow-up period.

목적: 골다공증성 척추 압박 골절에 대한 경피적 척추 성형술 후 조기에 발생하였던 새로운 연속 골절의 특성과 위험인자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3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골다공증성 척추 압박 골절로 경피적 척추 성형술을 시행받은 환자 중 인접 추체에 새로운 골절이 발생한 44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골절 발생 시기에 따라 2군으로 나누었다. 3개월 내에 골절이 발생한 경우가 22예(A군)였고 3개월 이후에 발생한 경우가 22예(B군)였다. 두 군 간의 나이, 성별, 골밀도, 체질량 지수, 기존 척추 골절의 존재, 초기 골절 위치, 추간판 내 시멘트 누출, 시멘트 주입량, 추체의 높이 회복 정도, 후만각 교정 정도의 차이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두 군 간의 나이, 성별, 골밀도, 체질량 지수, 기존 척추 골절의 존재, 초기 골절 위치, 추간판 내 시멘트 누출, 후만각 교정 정도에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시멘트 주입량이 많은 경우와 추체 높이 회복 정도가 큰 경우에서 3개월 내에 골절이 발생한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경피적 척추 성형술 시 시멘트 양과 추체 높이 회복 정도는 3개월 이내에 발생하는 조기 인접 척추 골절의 위험인자로 판단되며 추시 과정에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