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국가법령정보센터. (2017) 법률 제 15268호.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Retrieved from http://www.law.go.kr/lsSc.do?tabMenuId=tab18&p1=&subMenu=1&nwYn=1§ion=&tabNo=&query=%EC%9D%98%EB%A3%8C%EA%B8%B0%EC%82%AC%20%EB%93%B1%EC%97%90%20%EA%B4%80%ED%95%9C%20%EB%B2%95%EB%A5%A0#undefined..
- 고용노동부, 산업인력공단, 한국HRM협회. (2014). 국가직무능력표준: 표준 및 활용 패키지. 서울: 고용노동부 등.
- 고홍월. (2012). 대학생 학습동기 유형에 따른 학업소진과 학업적 실패내성의 차이. 아시아교육연구. 13(1), 125-147.
- 기경희, 김광수. (2018). 회복탄력성 연구 동향과 과제: 회복탄력성 개념과 척도를 중심으로. 초등상담연구. 17(2), 157-175.
- 김주환. (2011). 회복탄력성: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유쾌한 비밀. 서울: 위즈덤하우스.
- 김혜진. (2018). 회복탄력성 프로그램의 중학교 자유학기 적용 사례연구. 윤리교육연구. 49, 91-119.
- 류경, 김종경. (2016). 간호사의 회복탄력성 스트 레스, 소진, 조직몰입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7), 439-450. https://doi.org/10.5392/JKCA.2016.16.07.439
- 배은경, 김성완, 김정화. (2017).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 관련 외상경험 및 소진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resilience)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5(1), 63-89.
- 성진숙, 최현주. (2018). 교사 소진과 학교생활적 응 및 학업소진 간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다층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학교. 15(1), 27-50.
- 소덕순, 문영희. (2011).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사회복지교육. 16, 48-69.
- 손강숙, 정소미. (2017). 의과대학생의 학업소진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 연구. 17(10), 177-196.
- 송지준. (2009).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서울: 21세기사.
- 신건권. (2013). 석박사학위 및 학술논문 작성 중심의 AMOS 20 통계분석 따라하기. 서울: 청람.
- 안민정 외 7명. (2017). 간호대학생의 학업참여, 학업소진,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 연구: 학년 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학교보건학회지. 30(2), 113-123. https://doi.org/10.15434/kssh.2017.30.2.113
- 양승경, 정미라. (2016). 간호대학생의 학업소진,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가 간호전문 직관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1), 613-629.
- 유지혜, 채수진. (2016). 일개 의과대학생의 완벽주의 유형에 따른 학업소진과 성취목표지향성의 차이.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41(1), 88-95.
- 이수현, 이동엽. (2013). 학업소진척도(MBI-SS) 타당화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41(2), 165-187.
- 이주연 외 6명. (2016). 정서 공감과 회복탄력 성이 상담교사들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생물치료정신의학. 22(3), 163-172.
- 이한준. (2014). 고등학생의 지각된 부모양육태도, 회복탄력성 및 학업소진의 관계[석사학위논문]. 서울: 삼육대학교 대학원.
- 이현주. (2017). 의무기록 전공 대학생의 회복 탄력성 군집에 따른 학업소진, 진로준비행동 등의 융합적 차이. 한국융합학회논문지. 8(4), 67-77. https://doi.org/10.15207/JKCS.2017.8.4.067
- 이혜란. (2019). 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교사의 회복탄력성과 학생의 회복탄력성과의 관계: 다수준 분석[석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 임동훈. (2018). 고등학생이 경험하는 학업소진이 진로결정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석사학위논문]. 충남: 호서대학교 대학원.
- 전인희, 조주연. (2016).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과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 다문화건강학회지. 6(1), 49-60.
- 추병완. (2015). 학생들의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도덕 교사의 역할. 윤리교육연구. 37, 51-74.
-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2019). 연도별 국가 시험 합격률. 서울: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 한선영. (2015). 회복탄력성, 일-삶 균형과 직무 만족의 관계[석사학위논문]. 서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Ying LH, Wang YL, Lin CD, Chen CH. (2016). Trait resilience moder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TG and adolescent academic burnout in a post-disaster context.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90, 108-112. https://doi.org/10.1016/j.paid.2015.10.048
Cited by
-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Academic Burnout among Nursing and Midwifery Students in Kermanshah, Iran vol.2021, 2019, https://doi.org/10.1155/2021/6647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