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Resilience on Academic Burnout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Public Health: for group with Low Resilience

보건학 전공 대학생의 회복탄력성이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이 낮은 군 대상

  • Lee, Hyun-Ju (Department of Health Administration in Jungwon University)
  • Received : 2019.01.23
  • Accepted : 2019.03.06
  • Published : 2019.04.30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three sub-factors of resilience on academic burn out among a group of university students, with low resilience, majored in public health. Methods: The survey was made during January 1 to 13, 2017 and after checking the resilience scores of 166 respondents and the questionnaires of 115 respondents, whose scores were less than 195, an average score of Korea, were selected and analyzed using AMOS. Results: The average resilience and academic burn-out scores were 173 and 2.96, respectively. The goodness-of-fit of proposed model showed RMSEA=0.068, GFI=0.916, NFI=0.901, IFI=0.963, CFI=0.962 so, final measurement model was selected. The analysis of the suggested model showed that among three sub-factors of resilience, only self-control ability had a negative(-) effect on academic burnout and two others were shown to have no effects. Conclusion: By researching and introducing a education method that could enhance self-control ability, it would effectively reduce academic burnout in university students with low resilience and majored in public health.

Keywords

References

  1. 국가법령정보센터. (2017) 법률 제 15268호.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Retrieved from http://www.law.go.kr/lsSc.do?tabMenuId=tab18&p1=&subMenu=1&nwYn=1§ion=&tabNo=&query=%EC%9D%98%EB%A3%8C%EA%B8%B0%EC%82%AC%20%EB%93%B1%EC%97%90%20%EA%B4%80%ED%95%9C%20%EB%B2%95%EB%A5%A0#undefined..
  2. 고용노동부, 산업인력공단, 한국HRM협회. (2014). 국가직무능력표준: 표준 및 활용 패키지. 서울: 고용노동부 등.
  3. 고홍월. (2012). 대학생 학습동기 유형에 따른 학업소진과 학업적 실패내성의 차이. 아시아교육연구. 13(1), 125-147.
  4. 기경희, 김광수. (2018). 회복탄력성 연구 동향과 과제: 회복탄력성 개념과 척도를 중심으로. 초등상담연구. 17(2), 157-175.
  5. 김주환. (2011). 회복탄력성: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유쾌한 비밀. 서울: 위즈덤하우스.
  6. 김혜진. (2018). 회복탄력성 프로그램의 중학교 자유학기 적용 사례연구. 윤리교육연구. 49, 91-119.
  7. 류경, 김종경. (2016). 간호사의 회복탄력성 스트 레스, 소진, 조직몰입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7), 439-450. https://doi.org/10.5392/JKCA.2016.16.07.439
  8. 배은경, 김성완, 김정화. (2017).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 관련 외상경험 및 소진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resilience)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5(1), 63-89.
  9. 성진숙, 최현주. (2018). 교사 소진과 학교생활적 응 및 학업소진 간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다층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학교. 15(1), 27-50.
  10. 소덕순, 문영희. (2011).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사회복지교육. 16, 48-69.
  11. 손강숙, 정소미. (2017). 의과대학생의 학업소진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 연구. 17(10), 177-196.
  12. 송지준. (2009).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서울: 21세기사.
  13. 신건권. (2013). 석박사학위 및 학술논문 작성 중심의 AMOS 20 통계분석 따라하기. 서울: 청람.
  14. 안민정 외 7명. (2017). 간호대학생의 학업참여, 학업소진,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 연구: 학년 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학교보건학회지. 30(2), 113-123. https://doi.org/10.15434/kssh.2017.30.2.113
  15. 양승경, 정미라. (2016). 간호대학생의 학업소진,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가 간호전문 직관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1), 613-629.
  16. 유지혜, 채수진. (2016). 일개 의과대학생의 완벽주의 유형에 따른 학업소진과 성취목표지향성의 차이.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41(1), 88-95.
  17. 이수현, 이동엽. (2013). 학업소진척도(MBI-SS) 타당화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41(2), 165-187.
  18. 이주연 외 6명. (2016). 정서 공감과 회복탄력 성이 상담교사들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생물치료정신의학. 22(3), 163-172.
  19. 이한준. (2014). 고등학생의 지각된 부모양육태도, 회복탄력성 및 학업소진의 관계[석사학위논문]. 서울: 삼육대학교 대학원.
  20. 이현주. (2017). 의무기록 전공 대학생의 회복 탄력성 군집에 따른 학업소진, 진로준비행동 등의 융합적 차이. 한국융합학회논문지. 8(4), 67-77. https://doi.org/10.15207/JKCS.2017.8.4.067
  21. 이혜란. (2019). 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교사의 회복탄력성과 학생의 회복탄력성과의 관계: 다수준 분석[석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2. 임동훈. (2018). 고등학생이 경험하는 학업소진이 진로결정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석사학위논문]. 충남: 호서대학교 대학원.
  23. 전인희, 조주연. (2016).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과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 다문화건강학회지. 6(1), 49-60.
  24. 추병완. (2015). 학생들의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도덕 교사의 역할. 윤리교육연구. 37, 51-74.
  25.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2019). 연도별 국가 시험 합격률. 서울: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26. 한선영. (2015). 회복탄력성, 일-삶 균형과 직무 만족의 관계[석사학위논문]. 서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7. Ying LH, Wang YL, Lin CD, Chen CH. (2016). Trait resilience moder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TG and adolescent academic burnout in a post-disaster context.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90, 108-112. https://doi.org/10.1016/j.paid.2015.10.048

Cited by

  1.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Academic Burnout among Nursing and Midwifery Students in Kermanshah, Iran vol.2021, 2019, https://doi.org/10.1155/2021/6647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