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응급처치교육 프로그램이 보육교사들의 응급상황 대처 의지 및 지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First Aid Training Program on Child Care Teachers' Coping Intentions and Knowledge in the Case of Emergency Situations

  • 이승훈 (한국교통대학교 유아특수교육학과)
  • 투고 : 2019.04.04
  • 심사 : 2019.05.15
  • 발행 : 2019.05.28

초록

본 연구는 보육교사들의 응급처치 프로그램이 응급상황 대처 지식 및 의지에 미치는 영향과 응급처치교육 요구 내용을 분석하여 보육교사들의 효과적인 응급처치 교육 방법을 제안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승급교육을 받는 보육교사 15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들은 응급처치교육 이수와 관계없이 응급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의지를 가지고 있으나 그렇지 않은 교사들은 법적책임에 대한 부담과 응급처치 기술에 대한 자신감 부족이 원인이었다. 둘째, 응급처치교육을 받은 교사들이 그렇지 않은 교사들보다 응급처치지식에 대한 지식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들이 희망하는 응급처치교육의 형태는 실습형태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들이 희망하는 응급처치 교육내용은 심폐소생술과 기도폐쇄, 화상처치와 체온 관련 증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 양성과정에서 응급처치교육이 필요하고, 응급처치교육은 실습위주의 교육이어야 하며, 응급처치 교육 내용은 보육교사들의 요구를 기초로 구조화 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first aid programs(FAP) on the knowledge and will to cope with emergency situations, and to suggest the effective FAP for child care teachers by analyzing the needs of FAP.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9 child care teachers who received upgrading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 care teachers have a willingness to cope with emergency situations. and child care teachers who were not able to do were caused by the burden of legal liability and lack of confidence in first aid techniques. Second, teachers who received FAP showed higher knowledge about first aid knowledge. Third, the type of FAP desired by the child care teachers showed the most favored type of whole practice. Fourth, the contents of FAP desired by child care teachers were CPR, airway obstruction, burn treatment and temperature related symptoms. In this study, FAP is needed in the process of child care teacher training. FAP should be practice-oriented education, and the contents of FAP should be structured based on the needs of child care teachers.

키워드

표 1. 설문지의 구성

CCTHCV_2019_v19n5_464_t0001.png 이미지

표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CCTHCV_2019_v19n5_464_t0002.png 이미지

표 3. 응급처치 상황 시 대처의지와 이유

CCTHCV_2019_v19n5_464_t0003.png 이미지

표 4. 응급처치교육 이수여부에 따른 대처 지식 비교

CCTHCV_2019_v19n5_464_t0004.png 이미지

표 5. 응급처치교육 연수 형태 및 요구 형태

CCTHCV_2019_v19n5_464_t0005.png 이미지

표 6. 응급처치 교육 이수 내용과 교육요구 내용

CCTHCV_2019_v19n5_464_t0006.png 이미지

참고문헌

  1. 채혜선, 임미혜, 김종배, 이순자, 안경일, 아동안전관리, 서울: 양서원, 2016.
  2. 정인숙,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안전사고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3. 이지선, 보육교사의 응급처치능력에 대한 실태조사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4. 문은주, "부모의 응급처치 방법에 대한 인식조사 :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5. 통계청, 2017년 사망원인통계, 통계청, 2018.
  6. 한국소비자원, 2017년 어린이 안전사고 동향 분석, 한국소비자원, 2018.
  7. 어린이집안전공제회, 아이사랑 종합공제 약관, 서울: 어린이집안전공제회, 2013.
  8. 정기현, 라승용, 윤종기, 조종묵, 박두용, 한창희, 제8차 국가손상종합통계,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2018.
  9. 강정원, 이옥임, "어린이집 안전사고에 대한 보육교직원과 부모의 갈등과 요구," 유아교육학논집, 제22권, 제4호, pp.219-243, 2018.
  10. 김진호, 허린강, "유아교사의 안전지식과 안전행동과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제96권, pp.219-235, 2016.
  11. 황지영, 오은순, 조근자,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의 응급처치 수행자신감 및 교육요구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호, pp.234-243, 2016. https://doi.org/10.5762/KAIS.2016.17.1.234
  12. 손유진, 전윤숙, "일본과 한국의 유치원, 어린이집 교사 양성 체제 분석," 일본근대화연구, 제54권, pp.509-523, 2016.
  13. 김의향, 신나리, 민희민, 이형민, "보육교사 2급자격 취득자의 교과목 이수 실태 조사," 유아교육연구, 제30권, 제5호, pp.53-76, 2010.
  14. 이수재, 이진숙, "보육시설의 안전관리 실천에 관한 연구: 전라북도 보육시설을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제2권, 제1호, pp.1-15, 2006.
  15. 진미화, "효율적인 보육서비스 제공을 위한 보육시설의 안전환경 조성 방안," 한국복지실천학회지, 제6권, 제2호, pp.264-280, 2015.
  16. 박애경, "수원시 보육시설의 실내.외 놀이영역의 안전실태조사," 한국보육학회지, 제5권, 제1호, pp.57-73, 2005.
  17. 이율이, 이완정, "아동 보호권의 관점에서 본 보육시설 어린이 통학버스 안전현황과 문제점," 아동과 권리, 제8권, 제3호, pp.481-500, 2004.
  18. 김정훈, "국공립.민간 보육시설 안전사고 실태에 대한 차이분석,"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14권, 제3호, pp.177-196, 2010.
  19. 김소윤, 김유진, "보육교사의 안전교육 실태 및 교사인식과 요구," 아동복지연구, 제13권, 제4호, pp.89-103, 2015.
  20. 김해림, "보육시설에서의 안전 사고 실태 조사," 아동연구, 제9권, pp.133-146, 2003.
  21. 김인정, "보육시설 안전교육.안전사고 실태와 담임교사들의 안전교육 범위와 방법 인식에 대한 실증적 연구,"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제14권, 제4호, pp.125-136, 2012. https://doi.org/10.12812/ksms.2012.14.4.125
  22. 이선미, 조민순, "보육교사의 응급상황에 따른 처치방법에 대한 실태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17권, 제4호, pp.55-80, 2010.
  23. 이효철, 장용수, "장애아 전담 보육시설에서 보육교사의 응급처치교육에 대한 실태조사," 한국응급구조학회지, 제14권, 제1호, pp.19-29, 2010.
  24. 이지영, 손복영, 김호인, "영유아 응급처치에 대한 보육교사의 지식 및 요구도," 영유아보육연구, 제3권, 제1호, pp.45-63, 2010.
  25. 이채호, "유치원 교사의 응급처치지식에 관한 실태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8권, 제21호, pp.27-43, 2018.
  26. 이선미, 보육교사의 응급상황에 따른 처치방법에 대한 실태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27. 육길나, 최경, 연혜민, "보육교사와 예비교사의 응급처치에 대한 인식 비교,"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8권, 제3호, pp.242-248, 2017. https://doi.org/10.5762/KAIS.2017.18.3.242
  28. 김경란, 오재연, 박경, "생애주기별 안전교육 지도요소에 근거한 유아교사의 응급상황 안전지식과 수행수준 인식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제23권, 제4호, pp.177-204, 2018.
  29. 김수향,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유아안전교육에 대한 개념도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제17권, 제3호, pp.443-465,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