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Cyber Crime and Its Characteristics

사이버범죄 유형별 특징 분석 연구

  • So-Hyun Lee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Yonsei University) ;
  • Ilwoong Kang (Gangwon Provincial Police Agency) ;
  • Yoonhyuk Jung (School of Media and Communication, Korea University) ;
  • Hee-Woong Kim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Yonsei University)
  • Received : 2019.03.20
  • Accepted : 2019.05.07
  • Published : 2019.08.31

Abstract

Now we are facing with a possibility of having crimes, which have been only possible offline, in cyber spaces as well.Especially, a recent growth in the use of SNS, promoted by popularization of smart phones, also has led an abrupt increase in cyber crime. It would be important to have a understanding of cyber crime and its characteristics by type as well as factors associated with each type of cyber crime in order to devise appropriate preventive measures against cyber crime. However,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on cyber crimesolely made through literature review or indirect approaches. Therefore, this study has been designed to conduct the interview with actual suspects(criminals) of cyber crime to address factors of cyber crime and to devise specific preventive measures and countermeasures against cyber crime. Especially, among various types of cyber crime, this study aims at addressing the 'trades' and 'financial transaction' of crimes committed using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cyber libel/insult'of crimes committed using unlicensed contents, which have been soared recently and become significant issu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beneficial for the society since it has managed to conduct the interview and reveal relationships among major factors of cyber crime.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for devising and developing proper preventive and countermeasures against cyber crime, in turn reducing and preventing its damage.

기존에 오프라인에서만 발생하던 범죄들이 이제 사이버 공간에서도 발생하게 되었다. 특히, 최근 스마트폰 보급에 힘입어 SNS 사용이 증가하면서, 사이버범죄가 증가하게 되었다. 현재 심각한 사회문제로 언급되고 있는 사이버범죄와 그 유형들을 이해하고, 각 사이버범죄의 범죄 관련 요인들을 파악함으로써 사이버범죄를 예방하는 구체적인 방안 제시가 필요하다. 하지만, 사이버범죄 관련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문헌연구 또는 간접적 접근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실제 사이버범죄를 저지른 피의자(범죄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범죄 관련 요인들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이버범죄의 구체적인 예방 및 대응방안을 제시한다. 특히, 다양한 사이버범죄의 유형 중에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급증하며 문제가 되고 있는 정보통신망이용 범죄의 '거래'와 '금융', 그리고 불법콘텐츠 범죄의 '명예훼손·모욕'에 집중하여 조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인터뷰를 실시하고, 도출된 주요 요인들 간의 관계를 나타낸 것에 학술적 의의가 있으며 사회적으로는 사이버범죄의 예방 및 대응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사이버범죄의 피해를 줄이고 이를 해결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8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8S1A3A2075114). 이 논문은 연세대학교 바른ICT연구소의 (일부)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 결과임(2018-22-0003).

References

  1. 강동범, "사이버범죄 처벌규정의 문제점과 대책", 형사정책, 제19권, 제2호, 2007, pp. 33-54. https://doi.org/10.36999/KJC.2007.19.2.33
  2. 곽병선, "사이버범죄 예방을 위한 법제도적 해결방안", 원광법학, 제24권, 제3호, 2008, pp. 115-141.
  3. 김상순, "경찰청 2018년 3분기 사이버위협 분석보고서 발간",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018. 10. 30., Available at http://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301269.
  4. 김연수, "사이버와 사이버범죄의본질 및 특징에 대한 분석", 계간 사상, 제56호, 2003, pp. 158-187.
  5. 박창욱, "경찰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효율적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제13권, 제3호, 2008, pp. 189-196.
  6. 백혜주, 정주현, "노인 도시락 봉사활동을 위한 디자인 제안-정성적 조사 방법을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제14권, 제1호, 2013, pp. 257-265.
  7. 성용은, 박준호, "SNS(Social Network Service) 기반 사이버범죄 피해 연구", 한국민간경비학회보, 제17권, 제3호, 2018, pp. 109-142.
  8. 손명원, 권순동, 김용영, "스마트폰 이용자의 정서적 소진과 학습 성과에 영향을 주는 인지.감성 성향과 사용 경험에 관한 연구",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18권, 제4호, 2016, pp. 69-88. https://doi.org/10.14329/isr.2016.18.4.069
  9. 신하정, 남기환, "디바이스 유형을 고려한 온라인 멀티 채널 마케팅 효과", Information Systmes Review, 제20권, 제4호, 2018, pp. 59-78. https://doi.org/10.14329/isr.2018.20.4.059
  10. 유인창, "사이버명예훼손행위와 형사법적 대응방안",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제17권, 제5호, 2012, pp. 177-183. https://doi.org/10.9708/JKSCI.2012.17.5.177
  11. 이관주, "올해 사이버범죄 최대 유형은 '인터넷 사기'…피싱 범죄 3배 증가", 아시아경제, 2018.10.30., Available at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8103010472922544.
  12. 이규안, "사이버범죄의 새로운 양상과 대처방안 연구", 한국전자통신학회 춘계학술지, 제6권, 제1호, 2012, pp. 224-226.
  13. 이성식, "사이버범죄에서 피해의 가해에의 영향의 매개과정 연구: 세 이론의 검증", 피해자학연구, 제23권, 제3호, 2015, pp. 99-120.
  14. 이성식, "사이버범죄의 세 유형별 원인과 대책요인의 상호작용효과 분석", 한국치안행정논집, 제15권, 제1호, 2018, pp. 209-234. https://doi.org/10.25023/KAPSA.15.1.201805.209
  15. 이춘화, "청소년의 사이버범죄 피해요인에 관한 연구", 피해자학연구, 제17권, 제1호, 2009, pp. 267-289.
  16. 이현진, "사이버범죄 10년새 90% 증가...예방 위한 단일 법령 만든다", 한국경제, 2017.04.20., Available at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7042057541?nv=o.
  17. 정 완, "사이버범죄의 실태와 동향 및 대응책", 홍익법학, 제10권, 제1호, 2009, pp. 195-224. https://doi.org/10.16960/JHLR.10.1.200902.195
  18. 정 완, "사이버범죄의 현상", 형사정책, 제19권, 제2호, 2007, pp. 9-32. https://doi.org/10.36999/KJC.2007.19.2.9
  19. 정승민, "악성댓글의 문제점과 대응방안",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16권, 제2호, 2007, pp. 171-201.
  20. Ajayi, E. F. G., "Challenges to enforcement of cyber-crimes laws and policy", Journal of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Vol.6, No.1, 2016, pp. 1-12. https://doi.org/10.5897/JIIS2015.0089
  21. 조병인, 박광민, 최응렬, 김종오, 국내거주 외국인의 조직범죄 실태와 대책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10-03, 2010
  22. Corbin, J. and A. Strauss, "Basic considerations in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3rd ed.), Sage, 1998.
  23. Garg, V. and L. J. Camp, "Why cybercrime?", ACM SIGCAS Computers and Society, Vol.45, No.2, 2015, pp. 20-28. https://doi.org/10.1145/2809957.2809962
  24. Jabee, R. and M. Afshar, "Issues and challenges of cyber security for social networking sites (Facebook)",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Applications, Vol.144, No.3, 2016, pp. 36-40. https://doi.org/10.5120/ijca2016910174
  25. Kim, H. W., H. C. Chan, and S. Gupta, "Social media for business and society",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ol.25, No.2, 2015, pp. 211-233. https://doi.org/10.14329/apjis.2015.25.2.211
  26. Kleijnen, M., K. De Ruyter, and M. Wetzels, "An assessment of value creation in mobile service delivery and the moderating role of time consciousness", Journal of Retailing, Vol.83, No.1, 2007, pp. 33-46. https://doi.org/10.1016/j.jretai.2006.10.004
  27. Lagazio, M., N. Sherif, and M. Cushman, "A multi-level approach to understanding the impact of cyber crime on the financial sector", Computers & Security, Vol.45, 2014, pp. 58-74. https://doi.org/10.1016/j.cose.2014.05.006
  28. Lee, S. H. and H. W. Kim, "Why people post benevolent and malicious comments online",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58, No.11, 2015, pp. 74-79. https://doi.org/10.1145/2739042
  29. Nasution, M. D. T. P., Y. Rossanty, A. P. U. Siahaan, and S. Aryza, "The phenomenon of cyber-crime and fraud victimization in online shop", International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and Technology, Vol.9, No.6, 2018, pp. 1583-1592.
  30. Pegg, K. J., A. W. O'Donnell, G. Lala, and B. L. Barber, "The role of online social ident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lcohol-related content on social networking sites and adolescent alcohol use",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Vol.21, No.1, 2018, pp. 50-55. https://doi.org/10.1089/cyber.2016.0665
  31. Riek, M., R. Bohme, and T. Moore, "Measuring the influence of perceived cybercrime risk on online service avoidance", IEEE Transactions on Dependable and Secure Computing, Vol.13, No.2, 2016, pp. 261-273. https://doi.org/10.1109/TDSC.2015.2410795
  32. Yin, R. K.,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5th ed.), Sage publications, Los Angeles,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