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High-teen Romances Published By Samjungdang, And The Love And Sexuality Of Girls In The 1980s

삼중당의 하이틴로맨스와 1980년대 소녀들의 사랑과 섹슈얼리티

  • 이주라 (원광대학교 문예창작학과)
  • Received : 2019.07.17
  • Accepted : 2019.08.16
  • Published : 2019.08.31

Abstract

This paper analyzed romance novels imported into Korea in the 1980s and examined the traits of Korean girls' culture at that time. To this end, This paper chose as subjects the series of 'high-teen romance' published by Samjungdang, 'princess bestseller' by Seoul Publishing and the 'silhouette romance' by Joongang Ilbo in the 1980s. Through the aspects of the paperback romances, the traits of the artist, the content of the work, and the response of the reader, this paper analyzed the position and affection of romance as a genre in Korean culture in the 1980s. In the 1980s, most of the paperback romances available in Korea were translations of the modern and progressive present lines of Harlequin Enterprise's category romance. There were also many writers who were mostly introduced with progressive characters like Charlotte Lamb. The Harlequin romance depicts a story of sensual love. These translated 1980s paperback romance novels allowed girls in Korea to freely imagine the problems of sex and love. In particular, it showed a new perspective on women's sexuality. In Korean love novels, the sexuality of women was treated as an object for the gaze of men. The novels of female writers as college student who criticized this dealt with women's sexuality, but focused on criticism and resistance to the ideology of chastity. The paperback romance made it possible for women to freely enjoy their sexuality by escaping the ethical standards of reality. In addition, the paperback romance was an escape from the frustration of love. Romantic love in Korean love novels did not lead to the unification of mind and body, and always ended in tragedy. On the contrary, the paperback romance started with the fear of the girl who felt love for the first time, showed the process of winning over anxiety, confirming love and reaching a happy marriage. Through this, girls understood general love that was not subordinated to the ideology of chastity, and accepted love positively. The process of establishing romance as a genre in Korean culture and the traits of its readers have not yet been sufficiently clarified yet. This paper compared the romance genre with the other love novels of the day, explaining the position and meaning of the romance genre in Korean culture in the 1980s. Through this, we were able to chart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Korean romance genre.

이 논문은 1980년대 한국에 수입된 로맨스 소설을 분석하며 당시 한국 소녀 문화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1980년대 삼중당 출판사에서 간행한 하이틴로맨스 시리즈와 서울 출판사의 프린세스 베스트셀러, 중앙일보사의 실루엣 로맨스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문고본 로맨스의 수입 양상, 작가 특징, 작품의 내용, 그리고 독자 반응을 통해 1980년대 한국 문화에서 장르로서의 로맨스가 어떤 위치를 차지하였고, 한국 문화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였다. 1980년대 문고본 로맨스는 대부분 할리퀸 출판사의 카테고리 로맨스 중 현대적이고 진취적인 프레젠트 라인을 번역하였다. 주로 소개되는 작가도 샬롯 램처럼 진보적인 성격의 작가가 많았다. 할리퀸 로맨스는 관능적인 사랑의 이야기를 그려냈다. 이를 번역한 1980년대 문고본 로맨스는 소녀들에게 성과 사랑의 문제를 자유롭게 상상할 수 있게 하였다. 특히 여성의 섹슈얼리티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보여주었다. 한국 연애소설 속 여성의 섹슈얼리티는 남성의 시선에 의해 대상화되어 있었다. 이를 비판하며 나온 여대생 작가들의 소설은 여성의 섹슈얼리티를 다루었지만 순결 이데올로기에 대한 비판과 저항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문고본 로맨스는 현실의 윤리적 기준에서 벗어나 여성의 섹슈얼리티를 자유롭게 향유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문고본 로맨스는 사랑의 좌절에서 벗어났다. 한국 연애소설 속 사랑이 정신과 육체의 합일을 이루지 못해 언제나 비극으로 끝났다면, 문고본 로맨스는 사랑을 처음 느끼는 소녀의 두려움에서 시작해서, 그 불안을 이기고 사랑을 확인하여 행복한 결혼에 이르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소녀들은 순결 이데올로기에 종속되지 않는 보편적 사랑을 이해하며, 사랑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었다. 장르로서의 로맨스가 한국 문화 속에 정착되는 과정과 그 독자층의 특징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이 논문은 한국에서 로맨스 장르의 시장을 개척한 문고본 로맨스를 당대 다른 연애소설들과 비교함으로써, 로맨스 장르가 1980년대 한국 문화 속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의미를 밝혔다. 이를 통해 한국 로맨스 장르의 역사적 전개 과정을 구체화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