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Popular Narrative (대중서사연구)
- Volume 25 Issue 4
- /
- Pages.191-221
- /
- 2019
- /
- 1738-3188(pISSN)
- /
- 2713-9964(eISSN)
DOI QR Code
The Imagination of Post-humanism Appeared in Korean Fictions -Focused on Cho Ha-hyung's Chimera's Morning and A Prefabricated Bodhi Tree
한국소설에 나타난 포스트휴머니즘의 상상력 -조하형의 『키메라의 아침』과 『조립식 보리수나무』를 중심으로
- Yi, Soh-Yon (Sogang University)
- 이소연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Received : 2019.09.29
- Accepted : 2019.11.15
- Published : 2019.11.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ost-humanistic imagination that has emerged as a major academic thesis in Korean literature, especially novels. In particular, this paper focuses on Cho Ha-hyung's two novels Chimera's Morning(2004) and A Prefabricated Bodhi Tree(2008), published in the early 2000s, for intensive analysis. Post-humanism can be seen as an extension of post-modernism that tri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modernity and seek to establish a new world view. In particular, this thought pays attention to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how the rapid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which has developed since the 20th century, has changed the view of humanity and human-centered civilization itself. At the concrete level, it is developing in the direction of constructing a new subject idea by reflecting and dismantling Western-, reason-, and male-centered power mechanisms that are the core of modern civilization. Cho attempts to discover and re-illuminate the surrounding figures, non-humans, and objects that were not noticed in the classic works written in the past. This ideological flow reflects the fact that the concept of human beings, which had been dominated by the humanities in recent years, has been completely changed, and the natural science and technology perspective is applied to the discourse field in various ways. From the point of view of post-humanism, objects that have not been classified as humans and objects that were considered inferior to humans should be included in human or comparable levels. These questions generate interdisciplinary research tasks by involving the large categories of philosophy, such as ontology, epistemology and empirical fields, as well as calling for the participation of the entire literature, science and social sciences. Against the backdrop of a disaster-hit world, Chimera's Morning and A Prefabricated Bodhi Tree depict human beings as variants transformed by bio-technology, and creatures made out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built by computer simulations. Post-humanistic ideas in Cho's novels provide a reflective opportunity to comprehensively reconsider the world's shape and human identity reproduced in the text, and to re-explore boundary lines and hierarchy order that distinguish between human and non-human.
본 연구는 최근 주요한 인문학적 테제로 등장하고 있는 포스트휴머니즘적 상상력이 한국문학, 특히 소설에 나타난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본고에서는 2000년대 초반 활동했던 작가인 조하형의 두 소설 『키메라의 아침』(2004)과 『조립식 보리수나무』(2008) 두 편을 집중적인 분석의 대상으로 삼는다. '포스트휴머니즘(Post-humanism)'은 근대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세계관의 정립을 모색하기 위해 노력한 탈근대적 사유의 연장선상에서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이 사상은 20세기 이후 급격히 발전한 과학 기술의 발달이 인간관 나아가서는 인간중심적인 문명 자체를 바꿔온 양상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는 데에 관심을 기울인다. 포스트휴머니즘 비평은 서사에 등장하는 인물 형상을 새롭게 바라보는 시선을 제공하는 한편, 과거에 쓰인 고전 작품 속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주변 인물들, 비-인간, 사물들을 발굴해서 재조명하는 작업을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사상적 흐름은 최근 기존의 인문학이 지배하던 인간에 대한 관념이 전면적으로 바뀌어 자연과학·기술적 관점이 담론장에 다양하게 적용되는 현실을 반영하는 것이다. 포스트휴머니즘의 질문들은 철학의 큰 범주인 존재론, 인식론, 경험론적인 분야를 아우르는 동시에 문학과 과학 그리고 사회과학 전체의 참여를 요청함으로써 학제적인 연구 과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혹독한 재난이 닥친 세계를 배경으로 『키메라의 아침』은 인간이 바이오테크놀로지에 의해 변형된 변종의 형태로, 『조립식 보리수나무』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의해 제작된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의 모습으로, 다시 태어나는 과정을 그린다. 조하형 소설에 나타난 포스트휴머니즘적 사상은 텍스트에 재현된 세계의 형상와 인간의 정체성을 종합적으로 재고하고, 인간과 비인간을 구분하는 경계선과 위계질서 등을 다시 탐구하는 반성적인 계기가 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