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quare and Court -Social Imagination of Korean Cinema in Blacklist Era

광장과 법정 -블랙리스트 시대 한국영화의 사회적 상상력

  • 송효정 (대구대학교 인문교양대학 창조융합학부)
  • Received : 2015.10.21
  • Accepted : 2015.11.15
  • Published : 2019.11.30

Abstract

This paper aims to examine to the political unconsciousness of social movies that have caused social repercussions in the 2010s, and to study the social imagination of Korean films at that time. Korean Movies such as (2013), <1987>(2017) and (2017) reflect the ethos of civil society based on common sense and justice. The epic structure was the same as that of ordinary citizens, who move toward a public space (court, square) after awakening their political correctness. More than anything else, the fact that such films were based on "a historical fact" could have been a strategy to avoid censorship in the era of the blacklist. In these social films, courts and squares have become places for democracy. The conservative government of the time was tired of anti-government resistance and the politics of the square. Thus, films from directors and producers blacklisted were difficult to produce. That's why the court in the movie during this period could become a symbolic proxy for the "legitimate" reenactment of the politics of the square, which was subject to censorship and avoidance by the regime of the time. Meanwhile, the square has gradually become the main venue for political films that advocate "historic true stories." The square of the 1980s, which appeared in the movies, will be connected to the Gwanghwamun candlelight square that audiences experienced in 2017. Furthermore, it was able to reach the concept of an abstract square as an "open space for democracy." At the foundation of these works is a psychological framework that equates the trauma of the failed democratic movement of the 1980s to the trauma of the failed progressive movement of the 2010s. Through this study, we were able to see that social political films in the 2010s were quite successful, emphasizing "political correctness" and constitutional common sense. But they also had limitations as "de-political popular films" that failed to show imagination beyond the censorship of the blacklist era.

본 논문은 2010년대 사회적 반향을 일으켜온 사회파 영화의 정치적 무의식에 관심을 두며 해당 시기 한국영화의 사회적 상상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화를 소재로 한 사회파 영화 <변호인>(2013), <1987>(2017), <택시운전사>(2017) 등의 영화는 상식과 정의에 기반한 시민사회의 에토스를 반영하였다. 평범한 소시민이 정치적 올바름을 각성한 후 공적인 공간(법정, 광장)으로 나아간다는 서사구조도 동일했다. 무엇보다 '실화'를 소재로 했다는 것이 블랙리스트 시대의 검열을 피할 수 있는 전략이 될 수 있었다. 이들 사회파 영화에서 법정과 광장은 민주주의를 상징하는 공간이 되었다. 반체제적 저항을 의미하는 광장 정치에 대한 체질적인 거부감이 있던 박근혜 정권기 블랙리스트에 오른 감독이나 제작사의 영화는 제작되기 어려웠다. 그렇기에 이 시기 영화 속 법정은 당시 정권의 검열과 기피의 대상인 광장 정치를 '합법적'으로 재현가능하게 하는 상징적 대리공간이 될 수 있었다. 한편 광장은 점차 '실화'를 표방한 정치영화의 주된 공간이 되어갔는데, 영화 속 재현된 1980년대의 광장은 2017년 관객들이 경험한 광화문 촛불광장으로 이어지며 나아가 이는 '민주주의의 열린 공간'이라는 추상적 광장의 개념에 도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작품의 기저에는 1980년대의 실패한 민주화 운동의 트라우마를 2010년대 실패한 진보 운동의 트라우마와 동일시하는 심리적 기제가 깔려있다. 본 연구를 통해 2010년대 사회파 정치영화가 '정치적 올바름'과 헌법적 상식을 강조하며 상당한 성공을 거두었지만 블랙리스트 시대의 검열을 벗어난 상상력을 보여주지는 못했던 탈정치적 대중영화라는 한계도 동시에 품고 있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