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대학생의 부전공, 복수전공 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Minor and Double Major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 정현일 (부산대학교 사회학과) ;
  • 류영진 (일본 기타큐슈시립대학 지역전략연구소)
  • 투고 : 2019.01.10
  • 심사 : 2019.03.12
  • 발행 : 2019.04.28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부전공, 복수전공 만족도 결정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의 조교들과 F.G.I를 수행하여 설문지를 제작했다. 설문조사는 부전공, 복수전공을 이수하는 총 239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자료분석은 통계 프로그램 (SPSS)를 사용했으며 요인분석, 신뢰도검정,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부전공, 복수전공 관련 설문문항에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필요-성취, 수업차별, 수강신청차별이라는 3가지 주요 요인을 도출했다. 다음으로 주요 요인들의 영향을 확인하는 다중회귀분석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주요 요인들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영향의 정도는 필요성취, 수업차별, 수강신청차별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부전공, 복수전공의 긍정적 기능과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eterminants of minor and double major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To achieve this, F.G.I. was performed with the university teaching assistants to create a questionnaire. The survey was performed to the subject of 239 university students completing minor and double major. A statistical program (SPSS)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First, it drew three principal factors including need-achievement, class discrimination, and course registration discrimination by conducting factor analysis regarding survey questions on minor and double major. Next,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dentifying the effects of the three principal factors was conducted. The results indicated three principal factors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degree of influence over satisfaction marked the highest in the order of need-achievement, class discrimination, and course registration discrimination. In the conclusion, the positive function and possibilities of minor and double major are proposed.

키워드

표 1. 부/복수전공 응답 학생 현황

CCTHCV_2019_v19n4_111_t0001.png 이미지

표 2. 부/복수전공 이수 이유, 만족도 평균 현황

CCTHCV_2019_v19n4_111_t0002.png 이미지

표 3. 부/복수전공 관련 문항

CCTHCV_2019_v19n4_111_t0003.png 이미지

표 4. 부/복수전공 요인분석 적합성 검정

CCTHCV_2019_v19n4_111_t0004.png 이미지

표 5. 부/복수전공 요인분석 결과표

CCTHCV_2019_v19n4_111_t0005.png 이미지

표 6. 부/복수전공 만족도 요인별 다중회귀분석 결과

CCTHCV_2019_v19n4_111_t0006.png 이미지

참고문헌

  1. 부산대학교 교무과, 부산대학교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규정 일부개정 규정[안], 부산대학교, 2018.
  2. http://www.kookje.co.kr/
  3. http://news.hankyung.com/
  4. http://news.mt.co.kr/
  5. 유한구, 민숙원, 류지영, 신동준, 이은혜, 한국교육고용패널 기초분석보고서(2016) : 제12차(2015)년도 자료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7.
  6. 심광호, 대학생의 교육만족도 및 취업준비에 관한 실태 조사: K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7. 오은정, 김민선, 정소라, "2014학년도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 학생생활연구," 학생생활연구, 제28권, pp.1-133, 2015.
  8. 권순일, 복수전공 이수 여부 결정요인 및 복수전공이 진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서울 소재 S대학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9. 김훈호, 우한솔, 김한길, 김별희, "복수전공 이수가 첫 직장 취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4년제 일반대학 졸업생을 중심으로," 직업능력개발연구, 제18권, 제11호, pp.37-70, 2015.
  10. 남기곤, 윤진호, 이시균, "대학 재학 중 활동이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효과," 한국경제발전학회, 제16권, 제1호, pp.143-172, 2010.
  11. 최봉재, 한국 대학생의 취업전략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2. 채창균, 김태기, "대졸 청년층의 취업 성과 결정 요인 분석," 직업교육연구, 제28권, 제2호, pp.89-107, 2009.
  13. 염동기, 문상규, 박성수, "대학졸업자의 취업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취업진로연구, 제7권, 제4호, pp.45-68, 2017.
  14. 김민석, 안은비, 유경숙, 정효숙, "대학생 취업 소요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8호, pp.27-35,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8.027
  15. 김미성, 대학졸업자의 취업성과 결정요인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6. 조은순, 남상조, "대학 이러닝에서 학습자의 자발성과 수업기능 활용, 학습 성공에 대한 이해도가 학습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2호, pp.969-975,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2.969
  17. 박진아, 홍지연,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자아탄력성, 비판적 사고성향이 기본간호술기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호, pp.342-351,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1.342
  18. 장우심, "대학생들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대한 팀 기반 학습 적용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2호, pp.655-666,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12.6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