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영아의 기질과 어린이집 초기적응 간 관계에서 교사 - 영아관계의 조절효과: 수직적 전이집단과 수평적 전이집단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Infant's Temperament on Childcare Adaptation: Moderated Effect of Teacher-Infant Relationships

  • 이상순 (인하대학교대학원 아동복지학전공) ;
  • 이완정 (인하대학교 아동심리학과)
  • 투고 : 2019.02.15
  • 심사 : 2019.04.16
  • 발행 : 2019.04.30

초록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infant temperament on adaptation at childcare centers and the moderated effects of teacher-infant relationships between a vertical transition group and horizontal transition group.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84 infants, aged 1-years-old and 2-years-old, who were hospitalized in childcare center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heck the effects of temperament and teacher-infant relationship on childcare adaptation. Results: Infant temperament influenced childcare adaptation in both vertical and horizontal transition groups. The quality of teacher-infant relationships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 temperament and childcare adaptation in both groups.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showed different moderating effects of the teacher-infant relationship in the vertical transfer group and the horizontal transfer group, suggest the need for more diverse studies on the various transition experiences regarding childcare transition.

키워드

BOJGB2_2019_v15n2_21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영아의 기질과 친사회성 간 관계에서 교사-영아관계의 조절효과

BOJGB2_2019_v15n2_21_f0002.png 이미지

그림 2. 영아의 기질과 긍정적 감정 간 관계에서 교사-영아관계의 조절효과

표 1. 수직적 전이집단과 수평적 전이집단의 분포

BOJGB2_2019_v15n2_21_t0001.png 이미지

표 2. 연구대상의 특성

BOJGB2_2019_v15n2_21_t0002.png 이미지

표 2. 계속

BOJGB2_2019_v15n2_21_t0003.png 이미지

표 3. 영아 기질 측정도구의 하위영역과 신뢰도

BOJGB2_2019_v15n2_21_t0004.png 이미지

표 4. 어린이집 초기적응 측정도구의 하위영역과 신뢰도

BOJGB2_2019_v15n2_21_t0005.png 이미지

표 5. 교사-영아관계 측정도구의 하위영역과 신뢰도

BOJGB2_2019_v15n2_21_t0006.png 이미지

표 6. 수직적 전이집단의 주요변인 간 상관관계

BOJGB2_2019_v15n2_21_t0013.png 이미지

표 7. 수평적 전이집단의 주요변인 간 상관관계

BOJGB2_2019_v15n2_21_t0014.png 이미지

표 8. 수직적 전이집단 영아의 기질이 어린이집 초기적응에 미치는 영향(N = 117)

BOJGB2_2019_v15n2_21_t0015.png 이미지

표 9. 수평적 전이집단 영아의 기질이 어린이집 초기적응에 미치는 영향

BOJGB2_2019_v15n2_21_t0016.png 이미지

표 10. 수직적 전이집단 영아의 기질이 친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교사-영아관계의 조절효과

BOJGB2_2019_v15n2_21_t0017.png 이미지

표 11. 수평적 전이집단 영아의 기질이 긍정적 감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교사-영아관계의 조절효과

BOJGB2_2019_v15n2_21_t0018.png 이미지

참고문헌

  1. 강미라 (2003). 발달지체유아의 유치원 전환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수준.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구수연 (2005).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과정에 관한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지선 (2009). 가족특성, 영아의 기질, 보육환경에 따른 만2세 영아의 사회적.정서적 행동. 어린이교육, 11(34), 229-332.
  4. 박선희 (2012). 발달제체 유아의 전이지원 관련 국내 연구문헌 분석.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박수빈, 김숙령 (2005). 영아의 기질에 대한 양육자의 지각 차이 및 기질과 양육자와의 상호작용 관계. 아동학회지, 26(3), 1-13.
  6. 박일현 (1995). 어머니의 성격특성과 유아기질 및 적응간의 상관.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신현정 (2008). 유치원 오후 재편성 종일반 유아들의 스트레스에 관한 문화 기술적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양수정 (2007). 영아의 기질에 따른 또래 간 상호작용의 차이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양숙경, 문혁준 (2010). 어머니의 분리불안, 교사-영아관계가 만1.2세반 아동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2), 131-146.
  10. 오종은 (2001). 영아의 애착안정성과 어린이집 초기적응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오효연 (2016). 교사와 영아 간의 신체접촉놀이가 어린이집 초기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우수정 (2012). 유아의 어머니 표상과 유아교육기관적응: 또래 유능성의 매개효과 검증. 대한가정학회, 50(5), 91-100. doi:10.6115/khea.2012.50.5.091
  13. 우현경 (1997). 걸음마기 유아의 어린이집 초기적응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윤수정, 신유림 (2009). 교사-유아관계와 유아의 사회적 행동특성 및 유아교육기관 적응의 관련성: 유아 및 교사 지각의 비교. 유아교육연구, 29(5), 5-19. doi:10.18023/kiece.2009.29.5.001
  15. 이선영 (2006). 교사의 상호작용 행동과 영아의 사회. 정서적 행동 간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은경 (2006). 어린이집에서의 영아 초기 적응프로그램 실시현황.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정미조 (2009). 교사가 인식한 영아-교사관계와 놀이 시 나타난 영아-교사 및 영아-또래 상호작용.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조혜진, 이기숙 (2004). 유아의 사회, 정서 발달에 미치는 가족 특성, 보육경험 및 기질변인 분석. 유아교육연구, 24(4), 263-284.
  19. 최영희 (1991). 아동의 기질이 모자 상호작용과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한지현 (2005). 영아의 기질 및 어머니에 대한 애착과 상황에 따른 모-영아의 상호작용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허정숙 (2008). 영아의 애착안정성 및 기질이 보육시설 적응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 - 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gy, 51(6), 1173-1182. doi:10.1037/0022-3514.51.6.1173
  23. Belsky,J., & Pluess, M. (2009). Beyond diathesis stress: Differential susceptibility to environmental influences. Psychological Bulletin, 135(6), 885-908. doi:10.1037/a0017376
  24. Belsky & Rovine, M(1987). Temperament and attachment security in the attachment security in the strange situation. Child Development, 58, 787-795. https://doi.org/10.2307/1130215
  25. Bove, C (2001). Inserimento: A strategy for delicately beginning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s. In L. Gandini & C. P. Edwards (Eds.), Bambini: The italian approach to infant/toddler care (pp. 109-123).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26. Bradley, R. H., & Corwyn, R. F. (2008). Infant temperamant, parent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 in first grade: A test of the differential susceptibility hypothesi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9(2), 124-131. doi:10.111/j.1467-7610.2007.01829.x
  27. Bronfenbrenner, U. (1994, 10). Huaman ecology: Conarteriy and perspectives. 인간생태학적 측면에서의 관점.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창립30주년 기념 국제 학술 심포지움, 서울.
  28. Buss, A. H., & Plomin, R. (1984). Temperament: Early developing personality traits. London: Psychology Press.
  29. Frazier. P. A,. Tix, A. P,. & Barron. K. E. (2004). Testing moderator and mediator effects in counseling psychology researc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1(1), 115-134. doi:10.1037/0022-0167.51.1.115
  30. Gargiulo, R. M., & Kilgo, J. (2005).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New York: Delmar Learning
  31. Jewsuwan, R., Luster, T., & Kostelnik, M. (1993). The relation between parents' perceptions of temperament and children's adjustment to preschool.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8(1), 33-51. doi:10.1016/S0885-2006(5)80097-3
  32. Janiga, S. J., & Costenbader, V. (2002). The transition from high school to post secondar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 survey of college services.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35(5), 463-470. doi:10.1177/00222194020350050601
  33. Miller, K. (2005). Simple transitions for infants and toddlers. Gryphon House Inc.
  34. Morris, D. (2004). People watching, 피플워칭: 보디 랭귀지 연구(김동광 옮김). 서울: 까치(원판 2002).
  35. Pianta, R. C. (2001). STRS: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 Professional manual. New york: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36. Rothbart. M. K.(2011). Becoming who ware: Temperamentand personality in development. New york: Guilford Press.
  37. Shiner, R., & Caspi, A. (2003). Personality difference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Measurement, development , and consequence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4(1),2-32. dio:111/1469-7610.00101 https://doi.org/10.1111/1469-7610.00101
  38. Yaman, A., Mesman, J., van Ijzendoorn, M. H., & Bakermans-Kranenburg, M. J. (2010). Parenting and toddler aggression in second-generation immigrant families: The moderating role of child temperament.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4(2), 208-211. doi:10.1037/a0019100

피인용 문헌

  1.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 추이의 유형 및 예측 요인에 대한 단기종단연구: 성장혼합모형과 잠재계층분석을 활용하여 vol.16, pp.1, 2019, https://doi.org/10.14698/jkcce.2020.16.01.115
  2. 만 1세 영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과 교사의 민감성이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vol.16, pp.5, 2019, https://doi.org/10.14698/jkcce.2020.16.05.0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