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유아 통일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Research Trend of Unification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손수민 (강남대학교 유아교육과)
  • Sohn, Soo Min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Kangnam University)
  • 투고 : 2019.01.30
  • 심사 : 2019.03.12
  • 발행 : 2019.03.30

초록

본 연구는 유아 통일교육 관련 연구의 연구시기별, 연구방법별, 연구주제별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유아 통일교육에 대한 발전적인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게재된 석 박사 학위논문 33편과 학술지 논문 53편, 총 86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유아 통일교육 관련 논문은 제 5차 유치원 교육과정이 시행된 1992년부터 연구되기 시작하였고, 연구시기별로 연구 수의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은 문헌자료가 가장 빈번하게 활용되었고, 다음으로 다인대상, 현직교사, 유아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별로 살펴보면 문헌연구와 양적연구가 가장 빈번하게 실행되었으며, 양적연구 중에는 유아 통일 교육에 관한 인식을 살펴본 조사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연구주제별로 분석해 본 결과, 교육과정의 통일 관련 교육내용이 반공교육에서 통일안보교육, 통일교육으로 변화됨에 따라 시기별로 연구주제가 다양하게 변모된 것을 볼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육과정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search trend of unification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ased on changes of kindergarten curriculum. Methods: For this purpose, 33 master's and doctoral theses and 53 academic articles were divided into 4 sections based on changes of kindergarten curriculum and analyzed in terms of educational periods, methods, and themes. Results: First, research of unification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itiated when the $5^{th}$ kindergarten curriculum was activated. The number of research repeated increasing and decreasing according to changes of kindergarten curriculum. Second, literature review and qualitative research were most frequently carried out. Third, research themes had been diverse based on changes of kindergarten curriculum. Conclusion/Implications: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were included to enhance future research of unification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kindergarten curriculum.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두이(2004). 통합적 통일교육 활동이 유아의 통일 이해에 미치는 효과.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고대만(2001). 유치원통일교육의 방향과 실제. 초등교육연구, 6, 13-35.
  3. 교육과학기술부(2013). 3-5세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4. 교육인적자원부(2001). 통일교육활동 지도자료.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5. 김경희(1999). 만 5세 유아의 북한 및 통일에 대한 인지도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경희(2003). 통합적 통일교육 활동이 유아의 통일인식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규수, 김숙자, 안연경, 김현정, 신수희(2004). 유아통일교육과 유아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9(1), 119-141
  8. 김명화(2001). 통일교육 활동이 유아의 북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광주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미진(2005). 유치원 교사의 통일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연구, 2(1), 46-65.
  10. 김보영(2015). 유치원 교사의 유아 통일교육에 대한 인식 및 현황: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수희, 김지현, 나용선, 권오균, 전대성, 이희자, ... 권육상(2011). 아동발달. 파주: 양서원.
  12. 김숙자(2001). 통일 한국에 대비한 유아교육의 내용과 방법. 교육학연구, 39(3), 51-72.
  13. 김숙자(2004). 유아 대상의 민주 시민 교육과 통일교육에서의 지역적 특성 분석에 의한 통일 사회지향적인 민주 시민 교육 활동 프로그램 모형준거 개발. 유아교육학논집, 8(4), 87-116.
  14. 김숙자, 김규수, 곽상신, 서성미(2003). 도시와 농촌지역 유치원의 통일과 민주 시민 교육 실천에서 나타난 교사의 교수 행동 유형: 통일 사회지향적인 민주 시민 교육 활동 프로그램 모형준거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둘.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3), 57-82.
  15. 김숙자, 김규수, 김현정(2004). 도시와 농촌 지역유치원의 일일교육계획안에 나타난 유아 통일교육과 민주 시민 내용 분석: 통일 사회지향적인 민주 시민 교육 활동 프로그램 모형준거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4). 열린유아교육연구, 8(4), 29-52.
  16. 김숙자, 김현정(2004). 통일 사회 지향적인 유아민주시민 교육활동 프로그램 모형 준거의 현장적용 타당성 분석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1(1), 147-167.
  17. 김숙자, 신수희(2004). 통일 사회 지향적인 유아민주시민 교육 실천 사례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8(2), 129-156.
  18. 김숙진(2005). 통일한국을 대비한 보육법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김영경(2002). 통합적 통일교육활동이 유아의 북한 및 통일에 대한 이해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김은미(2011).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에 기초한 북한프로젝트가 유아의 통일 의식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김지영(1995). 통일대비 유아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김현자, 노희연, 이영(2009). 예비유아교사 관련 연구 동향분석: 1999년-2008년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56, 31-48.
  23. 김형미, 백효영, 나은숙(2009). 생태유아교육 연구 동향분석. 한국보육학회지, 9(1), 91-117.
  24. 노민정(2000). 교사가 인식한 유치원에서의 통일교육현황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문영경, 최선녀(2015). 교사의 교수효능감이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15(2), 1-20.
  26. 민혜영(2015). 유아통일교육에 대한 원장, 교사,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평화학연구, 16(4), 233-254. doi:10.14363/kaps.2015.16.4.233
  27. 박수영, 정영숙(2002). 통일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생활과학연구논총, 6(1), 191-215.
  28. 박은혜(2017). 유아교사론. 서울: 창지사.
  29. 박혜숙(2001). 통일을 주제로 한 통합적 교육활동이 유아의 북한 이해에 미치는 영향. 광주대학교 경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박혜정(2002). 유치원 통일교육과 관련한 유치원교사의 인식 및 수행 실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서규선, 조경희(1995). 한국 유치원에서의 통일교육: 유치원 교육과정 및 교재 분석. 교육발전, 4(1), 131-153.
  32. 서흥선(1995). 통일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현황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안은주, 박선희(2015). 통일 관련 그림책에 대한 내용 분석 및 유아의 반응.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6(4), 293-331.
  34. 양옥승, 조인숙, 정수미(2002). 유아 교사의 북한 및 통일에 대한 인식. 사회과학연구, 7, 123-141.
  35. 양은경(2017). 통일시대를 준비하는 보육교직원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북한 이탈주민 학부모와 보육교직원의 FGI 중심으로. 서울기독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염지숙, 조형숙, 박지희(2014). 예비유아교사교육 관련 국내연구 동향 분석: 유치원교사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9(4), 165-186.
  37. 원종임, 정대련(2016). 동화를 활용한 평화지향적 유아통일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효과.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4), 147-184. doi:10.22154/JCLE.17.4.7
  38. 유은정, 정희정(2012). 기독교 유아통일교육의 방향성모색. 한국보훈논총, 11(2), 1-19.
  39. 윤경혜(2005). 유아통일교육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이경하(2017).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통일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태연구: 수도권 유아교사를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이명희(2000). 유아교육에서의 통일교육의 방향 모색. 미래유아교육학회지, 7(2), 361-390.
  42. 이범웅(2013). 학교 통일교육의 실태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에 관한 일고. 도덕윤리과교육연구, 40, 105-140.
  43. 이원영, 이태영, 정혜원, 이경민(2003). 통합적 접근에 의한 통일교육이 유아의 통일 관련 인식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연구, 23(3), 69-89.
  44. 이윤진, 양미선, 조아라(2015). 유아교사의 통일인식 실태와 통일교육 활성화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2015-20.
  45. 이자현(2013). 유아통일교육과 다문화 교육에 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장옥순(2002). 유치원의 통일교육에 대한 실태조사: 울산광역시 교사를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장원주, 이화도(2016). 통일대비 남?북한 유아교육제도 비교. 비교교육연구, 26(4), 153-172. doi:10.20306/kces.2016.26.4.153
  48. 정금자(2000). 통일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조사: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정대현, 곽연미(2012). 유아교사의 통일교육역량에 대한 평가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21(5), 819-835. doi:10.5934/KJHE.2012.21.5.819
  50. 정미연(2007). 그림책을 통한 통일교육 활동을 경험한 유아의 통일 관련 인식 변화.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1. 조경자, 이현숙(2016).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유치원 통일교육의 변화. 교육연구논총, 37(4), 71-99. doi:10.18612/cnujes.2016.37.4.71
  52. 조숙영, 원혜경(2016).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북한' 관련 교육활동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21(5), 699-718. doi:10.20437/KOAECE21-5-28
  53. 조형숙, 김설한(2011). 유아 환경교육의 연구 동향. 유아교육학논집, 15(2), 419-445.
  54. 차명자(2000). 유아 통일 교육 방안에 대한 기초 조사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5. 최민수, 김명화(2003). 통일교육 활동 적용이 유아의 통일인식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7(4), 245-270.
  56. 최민수, 김숙자, 지성애(2002). 통일교육 관련 교육활동자료 개발을 위한 유아 통일교육 내용요소에 대한 고찰. 열린유아교육연구, 7(3), 263-290.
  57. 최민수, 박혜숙(2001). 유치원의 통일교육 활동 적용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6(1), 125-145.
  58. 최민수, 정영희(2011). 통일한국의 유아교사 양성 및 재교육 방안 조사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4), 477-502.
  59. 최양미(2001). 유아기 통일교육의 방향 탐색. 인문과학연구, 9, 219-240.
  60. 최영숙(2008). 남.북한 유아교육 관련 법령 분석을 통한 유아교육제도 비교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1. 최은정, 김영언(2014). 북한 동요 분석을 통한 통일대비 유아음악교육 방안 고찰. 음악교육공학, 18, 195-208.
  62. 최정란(2017). 유아 교사의 통일교육에 대한 인식 및 교육과정 실태 연구. 한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3. 통일교육원(2016). 통일교육지침서. 서울: 통일부 통일교육원.
  64. 통일부(2012). 2012 학교용 통일교육 지침서. 서울: 통일부.
  65. 현정환(2007). 한국의 부모자녀관계와 관련된 최근 연구동향과 과제. 한국보육학회지, 7(1), 95-110.
  66. 홍정숙(1997). 통일에 대비한 남.북한 유아교육 통합정책 방향 고찰.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7. Hatch, J. A. (2008). 교육 상황에서 질적연구 수행하기(진영은 역). 서울: 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