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두이(2004). 통합적 통일교육 활동이 유아의 통일 이해에 미치는 효과.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고대만(2001). 유치원통일교육의 방향과 실제. 초등교육연구, 6, 13-35.
- 교육과학기술부(2013). 3-5세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 교육인적자원부(2001). 통일교육활동 지도자료.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 김경희(1999). 만 5세 유아의 북한 및 통일에 대한 인지도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경희(2003). 통합적 통일교육 활동이 유아의 통일인식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규수, 김숙자, 안연경, 김현정, 신수희(2004). 유아통일교육과 유아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9(1), 119-141
- 김명화(2001). 통일교육 활동이 유아의 북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광주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미진(2005). 유치원 교사의 통일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연구, 2(1), 46-65.
- 김보영(2015). 유치원 교사의 유아 통일교육에 대한 인식 및 현황: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수희, 김지현, 나용선, 권오균, 전대성, 이희자, ... 권육상(2011). 아동발달. 파주: 양서원.
- 김숙자(2001). 통일 한국에 대비한 유아교육의 내용과 방법. 교육학연구, 39(3), 51-72.
- 김숙자(2004). 유아 대상의 민주 시민 교육과 통일교육에서의 지역적 특성 분석에 의한 통일 사회지향적인 민주 시민 교육 활동 프로그램 모형준거 개발. 유아교육학논집, 8(4), 87-116.
- 김숙자, 김규수, 곽상신, 서성미(2003). 도시와 농촌지역 유치원의 통일과 민주 시민 교육 실천에서 나타난 교사의 교수 행동 유형: 통일 사회지향적인 민주 시민 교육 활동 프로그램 모형준거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둘.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3), 57-82.
- 김숙자, 김규수, 김현정(2004). 도시와 농촌 지역유치원의 일일교육계획안에 나타난 유아 통일교육과 민주 시민 내용 분석: 통일 사회지향적인 민주 시민 교육 활동 프로그램 모형준거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4). 열린유아교육연구, 8(4), 29-52.
- 김숙자, 김현정(2004). 통일 사회 지향적인 유아민주시민 교육활동 프로그램 모형 준거의 현장적용 타당성 분석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1(1), 147-167.
- 김숙자, 신수희(2004). 통일 사회 지향적인 유아민주시민 교육 실천 사례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8(2), 129-156.
- 김숙진(2005). 통일한국을 대비한 보육법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영경(2002). 통합적 통일교육활동이 유아의 북한 및 통일에 대한 이해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은미(2011).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에 기초한 북한프로젝트가 유아의 통일 의식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지영(1995). 통일대비 유아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현자, 노희연, 이영(2009). 예비유아교사 관련 연구 동향분석: 1999년-2008년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56, 31-48.
- 김형미, 백효영, 나은숙(2009). 생태유아교육 연구 동향분석. 한국보육학회지, 9(1), 91-117.
- 노민정(2000). 교사가 인식한 유치원에서의 통일교육현황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문영경, 최선녀(2015). 교사의 교수효능감이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15(2), 1-20.
- 민혜영(2015). 유아통일교육에 대한 원장, 교사,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평화학연구, 16(4), 233-254. doi:10.14363/kaps.2015.16.4.233
- 박수영, 정영숙(2002). 통일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생활과학연구논총, 6(1), 191-215.
- 박은혜(2017). 유아교사론. 서울: 창지사.
- 박혜숙(2001). 통일을 주제로 한 통합적 교육활동이 유아의 북한 이해에 미치는 영향. 광주대학교 경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혜정(2002). 유치원 통일교육과 관련한 유치원교사의 인식 및 수행 실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서규선, 조경희(1995). 한국 유치원에서의 통일교육: 유치원 교육과정 및 교재 분석. 교육발전, 4(1), 131-153.
- 서흥선(1995). 통일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현황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안은주, 박선희(2015). 통일 관련 그림책에 대한 내용 분석 및 유아의 반응.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6(4), 293-331.
- 양옥승, 조인숙, 정수미(2002). 유아 교사의 북한 및 통일에 대한 인식. 사회과학연구, 7, 123-141.
- 양은경(2017). 통일시대를 준비하는 보육교직원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북한 이탈주민 학부모와 보육교직원의 FGI 중심으로. 서울기독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염지숙, 조형숙, 박지희(2014). 예비유아교사교육 관련 국내연구 동향 분석: 유치원교사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9(4), 165-186.
- 원종임, 정대련(2016). 동화를 활용한 평화지향적 유아통일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효과.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4), 147-184. doi:10.22154/JCLE.17.4.7
- 유은정, 정희정(2012). 기독교 유아통일교육의 방향성모색. 한국보훈논총, 11(2), 1-19.
- 윤경혜(2005). 유아통일교육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경하(2017).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통일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태연구: 수도권 유아교사를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명희(2000). 유아교육에서의 통일교육의 방향 모색. 미래유아교육학회지, 7(2), 361-390.
- 이범웅(2013). 학교 통일교육의 실태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에 관한 일고. 도덕윤리과교육연구, 40, 105-140.
- 이원영, 이태영, 정혜원, 이경민(2003). 통합적 접근에 의한 통일교육이 유아의 통일 관련 인식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연구, 23(3), 69-89.
- 이윤진, 양미선, 조아라(2015). 유아교사의 통일인식 실태와 통일교육 활성화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2015-20.
- 이자현(2013). 유아통일교육과 다문화 교육에 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장옥순(2002). 유치원의 통일교육에 대한 실태조사: 울산광역시 교사를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장원주, 이화도(2016). 통일대비 남?북한 유아교육제도 비교. 비교교육연구, 26(4), 153-172. doi:10.20306/kces.2016.26.4.153
- 정금자(2000). 통일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조사: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대현, 곽연미(2012). 유아교사의 통일교육역량에 대한 평가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21(5), 819-835. doi:10.5934/KJHE.2012.21.5.819
- 정미연(2007). 그림책을 통한 통일교육 활동을 경험한 유아의 통일 관련 인식 변화.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조경자, 이현숙(2016).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유치원 통일교육의 변화. 교육연구논총, 37(4), 71-99. doi:10.18612/cnujes.2016.37.4.71
- 조숙영, 원혜경(2016).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북한' 관련 교육활동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21(5), 699-718. doi:10.20437/KOAECE21-5-28
- 조형숙, 김설한(2011). 유아 환경교육의 연구 동향. 유아교육학논집, 15(2), 419-445.
- 차명자(2000). 유아 통일 교육 방안에 대한 기초 조사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민수, 김명화(2003). 통일교육 활동 적용이 유아의 통일인식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7(4), 245-270.
- 최민수, 김숙자, 지성애(2002). 통일교육 관련 교육활동자료 개발을 위한 유아 통일교육 내용요소에 대한 고찰. 열린유아교육연구, 7(3), 263-290.
- 최민수, 박혜숙(2001). 유치원의 통일교육 활동 적용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6(1), 125-145.
- 최민수, 정영희(2011). 통일한국의 유아교사 양성 및 재교육 방안 조사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4), 477-502.
- 최양미(2001). 유아기 통일교육의 방향 탐색. 인문과학연구, 9, 219-240.
- 최영숙(2008). 남.북한 유아교육 관련 법령 분석을 통한 유아교육제도 비교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은정, 김영언(2014). 북한 동요 분석을 통한 통일대비 유아음악교육 방안 고찰. 음악교육공학, 18, 195-208.
- 최정란(2017). 유아 교사의 통일교육에 대한 인식 및 교육과정 실태 연구. 한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통일교육원(2016). 통일교육지침서. 서울: 통일부 통일교육원.
- 통일부(2012). 2012 학교용 통일교육 지침서. 서울: 통일부.
- 현정환(2007). 한국의 부모자녀관계와 관련된 최근 연구동향과 과제. 한국보육학회지, 7(1), 95-110.
- 홍정숙(1997). 통일에 대비한 남.북한 유아교육 통합정책 방향 고찰.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Hatch, J. A. (2008). 교육 상황에서 질적연구 수행하기(진영은 역). 서울: 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