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Job Burnout and Empowerment on the Flourishing of Child Care Teachers

보육교사의 직무 소진, 임파워먼트가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

  • Lee, Shin Young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ehan University) ;
  • Seo, Won Kyung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amyook University)
  • 이신영 (세한대학교 유아교육과) ;
  • 서원경 (삼육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9.01.30
  • Accepted : 2019.03.12
  • Published : 2019.03.30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first, to look for the correlation among child care teacher's job burnout, their empowerment, and their flourishing. The second aim was to find out the relative effects of job burnout and empowerment on the flourishing of child care teacher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96 child care teachers from Seoul, Gyeonggi and Jeon-nam districts among whom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with SPSS 21.0 program.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at, first, while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in child care teacher's job burnout, their empowerment, and their flourishing. Child care teacher's job burnout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ir empowerment and their flourishing, and child care teacher's empower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ir flourishing. Second, the relative influence on the flourish of child care teachers was in the order of empowerment and job burnout. In terms of sub-factors, the relative influence on the flourish of child care teachers was in the order of professionalism, autonomy, self-efficacy and job dissatisfac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th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quality level of the child care.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child care. In order to improve the flourishing of child care teacher, it is necessary to find effective ways to eliminate the job burnout and increase the empowerment.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소진, 임파워먼트, 행복플로리시 간의 상관관계와 직무소진과 임파워먼트가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 전남 지역의 보육교사 29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처리는 SPSS 21.0을 이용하여 상관 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직무소진은 임파워먼트 및 행복플로리시와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고 임파워먼트는 행복플로리시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보육교사의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은 임파워먼트가 직무소진보다 높았고, 하위요인별로 미치는 영향력은 임파워먼트의 지위, 전문성, 자율성, 자아효능감 요인과 직무소진의 직무환경 불만족 요인 순이었다. 이 같은 결과는 보육의 질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있으며, 보육교사의 행복플로리시 증진을 위해 직무소진을 낮추고 임파워먼트를 높일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 즉 직무 환경의 개선, 보육교사의 지위와 자율성 보장, 전문성 함양을 위한 지원 강화 등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은진(2017). 2017 KICCE 이슈페이퍼 모음집 육아지원 정책 현안과 과제: 유치원 및 어린이집교사의 직업 행복을 위한 정서적 역량 지원방안.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 강종수(2010). 보육시설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 및 조직시민행동 간의인과 모형 연구. 한국유아보육학, 61, 153-173.
  3. 권석만(2008). 심리학의 관점에서 본 욕망과 행복의 관계. 철학 사상, 36, 121-152.
  4. 김미진(2015). 성격 강점에 기반한 유아교사의 행복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미진, 김병만(2015).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의 경로분석. 생태유아교육연구, 14(4), 99-120.
  6. 김미진, 김병만(2017).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행복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 및 조절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4(2), 191-215. doi:10.22155/JFECE.24.2.191.215
  7. 김미진, 황해익(2015). 성격 강점에 기반한 유아교사의 행복증진프로그램 개발. 열린유아교육연구, 20(5), 65-94.
  8. 김미희, 김낙흥(2015). 어린이집 내 조직 커뮤니케이션이 보육 교사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0(5), 95-115.
  9. 김성숙(2013). 유아가 인식하는 행복의 의미 탐색. 유아교육연구, 33(3), 377-400.
  10. 김연옥(2012). 유아교사 소진척도 개발 및 타당화.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김창기(2011).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문제중심적 대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 영유아보육학, 69, 315-336.
  12. 김혜리, 조형숙(2013). 유아교사의 교사 효능감과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문제연구, 31(4), 275-292.
  13. 노은호(2012). 보육환경의 질이 교사의 직무만족과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2(2), 67-83.
  14. 박성혜, 박은주(2014). 유아교사의 교직적성과 행복감과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8(6), 165-190.
  15. 박윤, 양진희(2013). 협력중심 심리 건강증진프로그램이 우울 성향이 있는 유아 교사의 우울, 주관적 안녕감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8(5), 265-300.
  16. 보건복지부(2017). 보육통계. 세종: 보건복지부.
  17. 서연실, 온은아(2016). 유아교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 직무만족,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 어린이미디어연구, 15(3), 1-22. doi:10.21183/kjcm.2016.09.15.3.1
  18. 양진희(2013). 감사일기 쓰기활동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감사 성향과 자아존중감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3(2), 259-280. https://doi.org/10.18023/KJECE.2013.33.2.012
  19. 오선균(2001). 보육교사 직무만족과 소진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경민, 박주연(2015). 유아교사의 행복, 소진, 이직의도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35(6), 33-48.
  21. 이경민, 최윤정(2009). 유아교사의 행복, 강점, 직무만족의 관련성 탐색 연구. 유아교육연구, 29(3), 215-235.
  22. 이병임(2014).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정서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4(3), 129-152.
  23. 이수천, 박진희, 조미애, 최윤석(2013). 아동의 임파워먼트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지역아동센터를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25, 83-107.
  24. 이지연, 김희열(2016). 어린이집 교사의 정서노동과 소진 간 관계에서 행복플로리시의 조절 및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37(4), 169-179. doi:10.5723/kjcs.2016.37.4.169
  25. 이철수(2007). 유치원 교사의 임파워먼트.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이효림, 차정주(2015). 기관풍토와 영아반 교사의 자기결정성, 행복감 간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20(5), 21-39.
  27. 임영진(2010). 성격 강점과 긍정 심리치료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임창희, 김영천(2003). 임파워먼트와 절차공정성이 조직시민행위에 미치는 영향: 상사신뢰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인적자원개발연구, 5(1), 25-53.
  29. 전정애(2015). 직장어린이집 교사의 자아탄력성, 낙관성 및 정서노동이 교사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정명자, 최혜순(2014). 보육교사의 윤리의식과 행복감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88, 21-39.
  31. 조숙영, 이용주(2016). 보육교사의 정신건강과 행복감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1(2), 191-211. doi:10.2047437/KOAECE21-2-08
  32. 차정주, 이효림(2015). 유아교사의 소진과 정서노동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0(2), 375-393.
  33. 최윤정(2009). 유아교사의 행복증진프로그램 개발연구: Seligman의 강점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4. 탁정화, 강현미(2014).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과 회복탄력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4(5), 107-128.
  35. 한종화(2014a).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전문성인식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8(4), 271-287.
  36. 한종화(2014b). 유아교사의 행복에 관한 연구: 교사효능감과 협동조직문화를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4(3), 221-238.
  37. 한종화(2016).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1(4), 77-95. doi:10.20437/KOAECE21-4-04
  38. 현채송(2011). 정서조절과 행복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와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9. 홍용희, 나영이, 장현진, 김혜전, 전우용(2013). 유아행복교육탐구. 서울: 창지사.
  40. 황해익, 강현미, 탁정화(2014). 유아교사의 유머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긍정성의 매개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8(1), 341-363.
  41. 황해익, 김미진, 김병만(2014). 유아교사의 행복 교육에 대한 개념도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1), 59-79. doi:10.14698/jkcce.2014.10.1.059
  42. 황해익, 김미진, 탁정화(2013). 유아교사의 개인적 특성 및 근무환경 변인에 따른 임파워먼트 인식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8(2), 221-246.
  43. 황해익, 탁정화, 홍성희(2013).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7(3), 411-432.
  44. Berk, L. E. (1985). Relationship of caregiver education to child-oriented attitude, job satisfaction and behavior toward children. Child Care Quarterly, 14(2), 103-129. https://doi.org/10.1007/BF01113405
  45. Biswas-Diener, R., & Dean, B. (2009). 긍정심리학 코칭(서희연 역). 고양: 아시아코치센터(2007년 원저 발간).
  46. Biron, M., & Bamberger, P. (2010). The impact of structural empowerment on individual well-being and performance: Taking agent preferences, self-efficacy and operational constraints into account. Human Relations, 63(2), 163-191. doi:10.1177/0018726709337039
  47. Butler, J., & Kern, M. L. (2013). The PERMA-profiler: A brief multidimensional measure of flourishing. LA: International Positive Psychology Association.
  48. DeMulder, K. E., Denham, S., Schmidt, M., & Mitchell, J. (2000). Q-sort assessment of attachment security during the preschool years: Links from home to school. Developmental Psychology, 36(2), 274-282. https://doi.org/10.1037/0012-1649.36.2.274
  49. Firestone, W. A., & Pennell, J. R. (1993). Teacher commitment, working, conditions and differential incentive police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3(4), 489-525. doi:10.3102/00346543063004489
  50. Lundberg, B., Hansson, L., Wentz, E., & Bjorkman, T. (2008). Stigma, discrimination, empowerment and social networks: A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their influence on subjective quality of life in a swedish sample.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Psychiatry, 54(1), 47-55. doi:10.1177/0020764007082345
  51. Maslach, C. (2003). Job burnout: New directions in research and intervention.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2(5), 189-192. doi:10.1111/1467-8721.01258
  52. Maslach, C., & Jackson, S. E. (1986). Maslach burnout inventory manual (2nd ed.).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53. Seligman, M. E. P. (2006). 긍정심리학: 진정한 행복만들기(김인자 역). 안양: 물푸레(2002년 원저 발간)
  54. Seligman, M. E. P. (2011). 플로리시: 웰빙과 행복에 대한 새로운 이해(우문식, 윤상운, 문용린 역). 안양: 물푸레(2011년 원저 발간).
  55. Seligman, M. E. P., Rashid, T., & Parks, A. C. (2006). Positive psychotherapy. The American Psychologist, 61(8), 774-788. doi:10.1037/0003-066X.61.8.774
  56. Short, P. M., & Rinehart, J. S. (1992). School participant empowerment scale: Assessment of level of empowerment with in the school environment.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52(4), 951-960. doi:10.1177/0013164492052004018
  57. The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2005). Child care and child development: Results from the NICHD study of early child care and youth development. New York, NY: Guilford Press.
  58. Van Petegem, K., Creemers, B. P., Rossel, Y., & Aelterman, A. (2005).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 characteristics, interpersonal teacher behaviour and teacher wellbeing. The Journal of Classroom Interaction, 40(2), 34-43.
  59. Wallace, J. E. (1995). Organizational and professional commitment in professional and nonprofessional organization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40(2), 228-255. doi:10.2307/23936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