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보육교사의 우울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Depression on Burn-out: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 이한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
  • 유영미 (서경대학교 아동학과)
  • Lee, Han A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onsei University) ;
  • Ryu, Young mi (Dept. of Child Studies, Seokyeong University)
  • 투고 : 2019.01.30
  • 심사 : 2019.03.11
  • 발행 : 2019.03.30

초록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우울 및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보육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우울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지역의 보육교사 343명이었다. 자료분석을 위해 기술통계,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고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우울수준이 높을수록 소진을 더 경험하였으며, 직장 내 사회적 지지와 직장 외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소진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보육교사의 우울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직장 내와 직장 외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직장 외 사회적 지지에서만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보육교사의 소진에 대한 우울의 영향은 직장 외 사회적 지지 수준이 높은 교사에서는 상대적으로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나, 교사의 직장 외 사회적 지지가 우울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완충하는 역할을 함을 보여주었다.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child-care teachers'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on their burn-out and investigated whether social support had any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f child-care teachers' depression and burn-out.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43 child-care teachers from 131 daycare center in Seoul and Gyeon-gi province. Statistical analyses of data for this study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hierarchical regressions.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analyzed by using the procedures proposed by Baron and Kenny (1986).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level of child-care teachers' depression increases the level of burn-out and that the level of social support in workplace and the level of social support from out of workplace decreases the level of burn-out. In addition, social support from out of workplace only moderated the influence of child-care teachers' depression on their burn-out. Conclusion/Implications: The influence of child-care teachers' depression on burn-out was lower when the level of social support from out of workplace was high, compared to when it was low.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학구(1996). 특수학교 교사와 일반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특징과 요인간의 관계성 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고경미, 이선경(2016). 보육교사의 직장 내, 직장 외의 사회적 지지 및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구조모형분석.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0(3), 225-250.
  3. 곽금주(1995). KLSSA검사에 의한 청소년기 삶의 만족도.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1), 5-16.
  4. 곽성열(2013). 초등학교 6학년 담임교사의 정서지능 및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구은미(2016). 보육교사의 건강과 소진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99, 1-17.
  6. 권석만(2017). 현대이상심리학. 서울: 학지사.
  7. 권영란, 문영경(2016).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이직의도의 관계에 교사효능감과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 효과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6(1), 99-119. doi:10.21213/kjcec.2016.16.1.99
  8. 권영주(2017).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직장 내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수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권정윤, 정미라, 박수경(2013). 유치원의 조직특성과 교사의 심리적 소진간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7(5), 251-266.
  10. 김미영(2010). 클라이언트 폭력이 지역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문직업적 정체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용미(2003). 유아교사들의 소진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사회적 지지에 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34, 111-127.
  12. 김은숙(2008).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전문성 인식 및 사회적 지지 지각과의 관계 연구. 아동복지연구, 6(2), 1-18.
  13. 김정숙, 최태진, 이희영(2011). 유치원 교사의 직무환경의 위험 요소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 직업교육연구, 30(3), 427-441.
  14. 김정희(1987). 지각된 스트레스, 인지세트 및 대처방식의 우울에 대한 작용: 대학 신입생의 스트레스 경험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김지민, 정지나(2016). 영아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4(5), 21-33. doi:10.7466/JKHMA.2016.34.5.21
  16. 김지은, 안선희(2007). 영아교사의 개인적 배경 및 근무여건과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8(3), 149-162.
  17. 김철희(2017).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효과.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24, 139-166.
  18. 김혜성(2009). 직무스트레스와 생활사건 스트레스가 직장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2, 346-373.
  19. 노명숙, 신리행, 박소영(2017). 보육교사의 어린시절학대 경험, 훈육방식 및 사회적 지지가 보육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1(4), 99-117. doi:10.21321/jfr.21.4.99
  20. 민하영(2010).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우울 및 동료교사/원장의 정서적 지지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정서적 지지의 주효과와 완충 효과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1(4), 1-14.
  21. 박수경, 하승민(2017).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이직의도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검증. 아동복지연구, 15(2), 25-49.
  22. 박재규, 이정림(2011). 한국 성인 남녀의 우울증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보건과 사회과학, 29, 99-128.
  23. 박종주(2015).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인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박종철(2017). 중등교사의 성인애착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연세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박지원(1985).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박혜남(1998).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관리 방안으로서 사회적 지원을 중심으로.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22(2), 231-260.
  27. 배점모(2015). 사회적 지지의 효과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자치행정학보, 29(4), 49-70. https://doi.org/10.18398/KJLGAS.2015.29.4.49
  28. 보건복지부, 한국보육진흥원(2017). 제3차 어린이집 평가인증 안내(통합지표). 서울: 한국보육진흥원.
  29. 서지영, 서영숙(2002). 유치원교사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2(4), 229-250.
  30. 신효진(2015). 임파워먼트와 사회적 지지가 소방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29(6). 139-146.
  31. 안선희, 김지은(2007). 영아 및 유아 보육교사의 개인적 특성, 근무여건,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2(5), 147-164.
  32. 안효진, 안선희, 문혁준(2007). 어린이집 교사의 귀인 성향, 사회적 지지와 소진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8(5), 221-232.
  33. 양연숙(2011).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및 전직의도에 미치는 보육 효능감과 소진의 상호작용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4), 205-221.
  34. 오세진, 김형일, 임영식, 현명호, 김병선, 김정인, ...이장한(2001). 인간행동과 심리학. 서울: 학지사.
  35. 오숙자, 최진아(2016). 보육교사의 집단자존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열린부모교육연구, 8(2), 185-199.
  36. 우수경, 김기예(2015). 개인변인에 따른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교사효능감 및 직무소진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95, 105-125.
  37. 유현숙, 권정해(2017).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 조직헌신, 소진과 이직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유아 교육학논집, 21(1), 113-132.
  38. 윤경미, 윤혜미(2015). 보육교사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정서성, 건강상태 및 조직 건강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집 정부재정지원 여부에 따라.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9(4), 503-528.
  39. 이민규, 이영호, 박세현, 손창호, 정영조, 홍성국, ... 윤애리(1995a). 한국판 Beck 우울척도의 표준화 연구I: 신뢰도 및 요인분석. 정신병리학, 4(1), 77-95.
  40. 이민규, 이영호, 정한용, 최종현, 김승현, 김용구, ... 이수경(1995b). 한국판 Beck 우울척도의 표준화 연구II: 타당화 연구. 정신병리학, 4(1), 96-104.
  41. 이병임(2014).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정서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4(3), 129-152.
  42. 이영호, 송종용(1991). BDI, SDS, MMPI-D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0(1), 98-113.
  43. 이정희, 조성연(2011). 보육교사의 소진에 대한 자아탄력성과 시설장, 동료교사와 가족의 사회적지지. 아동학회지, 32(1), 157-172. https://doi.org/10.5723/KJCS.2011.32.1.157
  44. 이주연, 김유진(2014).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아동복지연구, 12(3), 107-125.
  45. 이주일(2003). 조직 장면에서의 분노, 불안, 우울 정서: 정서간 유발 상황과 대처방식의 차이 및 정서의 조절과 심리적 안녕, 직무효과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6(3), 19-58.
  46. 이지연, 임성문(2006). 성인애착과 대학생의 우울과의 관계: 낙관성과 비관성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7(4), 969-984.
  47. 임진형(1999). 유치원 초임교사의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8. 정명선(2013). 유치원교사의 소진과 이직의도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인문학논총, 33, 183-204.
  49. 정순희, 최영미, 이희영(2013). 영아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정서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4), 193-215.
  50. 정혜영, 이경화(2014). 사립유치원 교사의 이직 의도에 미치는 사회적 지지와 우울 및 소진의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8(3), 159-181.
  51. 천명섭, 정승언(1995).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완충기제로서 사회적 지원과 내외통제 성향의 역할. 생산성논집, 9(2), 193-211.
  52. 최형성(2014). 어린이집 교사의 정서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유아 교육학논집, 18(5), 271-292.
  53. 최형성(2015).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9(5), 193-212.
  54. 최형성(2016). 어린이집 교사의 소진이 신체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3(4), 199-216. doi:10.22155/JFECE.23.4.199.216
  55. 최혜윤(2002). 상담자의 완벽주의 성향,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burnout).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6. 한애희, 안혜정(2017). 영아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주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1), 460-466. doi:10.5762/KAIS.2017.18.1.460
  57. 한임순, 이순례, 김향자, 권용은(1997). 어린이집교사의 소진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10, 97-130.
  58. 홍길회, 정혜진(2013).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우울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1), 263-280.
  59.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 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60. Beck, A. T. (1967). Depression: Clinic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spects. New York: Hoebner Medical Division.
  61. Cohen, S., & Hoberman. H. M. (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2), 99-125. doi:10.1111/j.1559-1816.1983.tb02325.x
  62. Freudenberger, H. J. (1974). Staff burn-out. Journal of Social Issues, 30(1), 159-165. doi:10.1111/j.1540-4560.1974.tb00706.x
  63. Maslach, C., & Jackson, S. E. (1981).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2), 99-113. doi:10.1002/job.4030020205
  64. Maslach, C., Schaufeli, W. B., & Leiter, M. P. (2001). Job Burnou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 397-422. doi:10.1146/annurev.psych.52.1.3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