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Parent Support of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on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 투고 : 2019.02.10
  • 심사 : 2019.03.22
  • 발행 : 2019.03.30

초록

이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가정과 학교가 연계된 바람직한 진로지도 상담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문제로는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 진로결정수준, 회복탄력성의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 진로결정수준, 회복탄력성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는가로 설정하여 구명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 진로결정수준, 회복탄력성에 관련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여 검사도구를 제작하였다. 설문지는 개인특성(1문항), 부모지지(22문항), 진로결정수준(22문항), 회복탄력성(27문항)으로 총 70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전국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 8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무응답이나 불성실한 응답의 설문지를 제외한 689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년별 부모지지, 진로결정수준, 회복탄력성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각각 보통수준을 나타냈다. 또한 부모지지, 진로결정수준, 회복탄력성 모두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하위요인별로는 부모지지와 진로결정수준, 회복탄력성과 진로결정수준이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부모지지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지지와 언어적 격려가 진로결정수준에 50%이상의 설명력을 보였다. 매개효과 측면으로는 부모지지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회복탄력성 전체와 하위요인인 통제성, 긍정성, 사회성이 모두 부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진로지도상담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가정적요인과 학생 내적요인을 모두 고려한 학교와 가정이 연계된 프로그램이 진행되어야 하며 특히 정서적, 언어적인 측면을 활용하여 학년이 올라갈수록 긍정적인 부모지지와 회복탄력성을 형성할 수 있는 교육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support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specialization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and to find out ways to improve the level of desirable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level of parent support, career decision level, and resilience of special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support, career decision level and resilience of high school students? Third, the resilience of resilience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support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special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theoretical background related to parent support, career decision level, and resilience of special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was investigated and the test tool was produc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Parental support, career decision level, and resilience were highly correlate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arent support and career decision level, resilience and career decision level, and emotional support and verbal encouragement were more than 50% of the career decision level. In terms of mediating effect, the effect of parent support on career decision level was found to be partially mediated by overall resilience and sub - factors such as control, positive, and sociality.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career guidance counseling, a program linked to the school and the home should be conducted considering both domestic factors and internal factor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선영(1996), 아이덴티티(identity) 발달수준과 진로미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2. 고향자(1993), 한국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과 진로결정수준의 분석 및 진로결정상담의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3. 교육통계서비스(2017). 2017년 교육통계 주요지표 -고등학교 졸업 후 상황. 국가교육통계센터.
  4. 김봉환(1997).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9(1), 311-333.
  5. 김수리(2004). 부모지지,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 및 역기능적 진로사고가 청소년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6. 김용재(2014),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의 진로 경로 및 진로결정 행동 분석.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7. 김은영(2007). 남녀 대학생의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4), 1079-1100.
  8. 김주환(2011). 회복탄력성, 시련을 행복으로 바꾸는 유쾌한 비밀. 고양:위즈덤하우스.
  9. 남한희(2011). 스트레스 요인이 청소년 우울과 비행에 미치는 영향. 한세대학교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0. 문새롬(2016). 공업계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사회적지지와 회복탄력성이 진로결정상태에 미치는 영향 : 진로장벽의 매개효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1. 박나정, 임나영, 이창훈(2018).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회복탄력성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3(1), 20-40.
  12. 박민호(2009). 비행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스트레스 수준과 대처방법에 관한 비교연구. 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3. 배종훈(2001). 군집 분석을 통한 진로 미결정 하위 유형의 탐색. 진로교육연구, 14, 223-244.
  14. 송설희(1994), 가족유형과 지각된 부모의 수용-거부가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15. 신우열, 김민규, 김주환(2009). 회복탄력성 검사 지수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20(4), 105-131.
  16. 양선주(2014). 대전광역시 특성화고 학생들의 인식에 터한 진로 상담 운영 실태와 요구조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9(1), 85-101.
  17. 이은정(2012).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 : 긍정정서와 진로장벽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8. 이주연(2001), 일반청소년과 통신 중독 경향 청소년의 사회적지지 지각과 자아정체감 비교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9. 이해리, 조한익(2006). 한국 청소년 탄력성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18(2), 353-371.
  20. 이혜성, 홍혜경(1988), 진로결정상태모형에 의한 대학생의 진로결정상태의 유형화. 한국심리학회, 10(1), 143-166.
  21. 임나영, 이창훈(2015).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사회적 지지에 따른 진로결정상태 유형 분석.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0(1), 40-63. https://doi.org/10.35140/KIIEDU.2015.40.1.40
  22. 최은영(2010), 대학생의 진로결정유형별 특성과 진로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23. 한주옥(2004). 여대생의 자기결정성 수준과 진로미결정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24. 허재경, 김유숙(2005). 부모애착안정성과 사회적 지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여성, 10(4).
  25. 황여정(2007).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및 진로정보인지수준 영향요인. 교육사회학연구, 17(1), 131-158.
  26. Avison & McAlpine(1992). Gender Differences in Symptoms of Depression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3(2), 77-96 https://doi.org/10.2307/2137248
  27. Dyer & McGuinness(1996). Resilience: Analysis of the concept. Archives of psychiatic nursing.
  28. Fuqua & Hartman(1983). Differential Diagnosis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62(1) 27-29.
  29. Furman, W. & Buhrmester, D. (1985). Children's Perceptions of the Personal Relationships in Their Social Networks. Developmental Psychology, 21(6), 1016-1024. https://doi.org/10.1037/0012-1649.21.6.1016
  30. Furman. W. & Buhrmester, D. (1992). Age and Sex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Networks of Personal Relationships. Child Development, 63(1), 103-115. https://doi.org/10.2307/1130905
  31. Holland & Gottfredson & Power(1980). Some diagnostic scales for research in decision making and personality: Identity, information, and barrie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9(6), 1191-1200. https://doi.org/10.1037/h0077731
  32. M Rutter(1979). Protective factors in children's responses to stress and disadvantage. Annals of the Academy of Medicine.
  33. Masten A. (1990). Resilience in development: Implications of the study of successful adaptation for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261-294,
  34. Revich, K. & Schatte, A.(2002). The Resilience Factor. New York: Broad Books.
  35. Osipow & Schweikert(1981), The Career Decision Scale: A Test of Concurrent Validity. Psychological Reports, 48(3), 759-761. https://doi.org/10.2466/pr0.1981.48.3.759
  36. Turner(2003), The Career-Related Parent Support Scale. Measurement & Evaluation in Counseling & Development, 36(2), 83-95. https://doi.org/10.1080/07481756.2003.120690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