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Security Performance

조직문화가 보안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군인 가치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 Received : 2019.01.05
  • Accepted : 2018.02.22
  • Published : 2019.03.31

Abstract

This study approached the military security problem from the viewpoint of social psychology in view of the fact that the military security problem has been focused on the technical field such as cyber security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defense science and technology. In this background, we examin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fter extracting variables affecting the security problem of the military through previous research.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 military culture has a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n improving the willingness to adhere to security and the security level of military organizations, as well as contributing to the establishment of military values. This indicates that the overall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current military is influencing the security consciousness of the soldiers and the achievement of organizational security, while at the same time showing the need for effort to create the right organizational culture. Second, the values of soldi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willingness of the individual to obey the security and the security performance. Values begin with an understanding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dicate that efforts can be made to establish an organizational security posture when the right values are formed. Third, we have improved the completeness of the study by verifying the causal relationship by extracting variables that correspond to the context of the ROK military.

본 연구는 군의 보안문제가 국방과학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사이버보안 등 기술적인 분야에 치중되어 왔던 점을 감안하여 조직문화 관점에서 군의 보안문제에 대해 접근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선행연구를 통해 군의 보안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추출 후 변수 간의 인과적 관계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 조직문화는 군인들의 가치관(국가관, 안보관, 군인정신)을 확립하는데 기여함은 물론 보안준수의지와 군 조직의 보안수준을 향상시키는데 직/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이것은 현재 군의 전반적인 조직문화가 장병들의 보안의식과 조직 보안성과 달성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점을 알려줌과 동시에 올바른 조직문화 조성을 위해 각고의 노력이 필요함을 나타낸다. 둘째, 군인의 가치관은 개인의 보안준수의지와 보안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내고 있었다. 가치관은 조직문화를 이해하는 것에서 출발하며, 올바른 가치관이 형성되었을 때 조직의 보안태세 확립에 노력을 기울일 수 있다는 점을 알려준다. 셋째, 한국군의 맥락에 부합된 변수들을 추출하여 인과적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연구의 완성도를 높였다는 점이다. 이러한 연구의 의의에도 표본의 대표성 확보, 보안수준 변화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시계열 연구, 연구자 및 데이터의 삼각화 등은 연구의 한계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방일보 (2015, 5, 24.). 군사보안업무훈령 일부 개정 다음달부터 시행.
  2. 김광식 (2002). 군 보안교육 실태 및 개선방안. 국방정책연구, 56, 173-204.
  3. 김규 외 (2004). 정신전력 평가도구 개발. 국방정책연구보고서.
  4. 김성우, 백동환 (2014). 군사보안실무론. 인천: 진영사.
  5. 문연철, 김용훈 (2013). 근거이론을 적용한 예비역단체의 국방정책 참여 특성. 행정논총연구, 51(2), 257-282.
  6. 민진 (2008). 군대조직의 특성에 관한 연구. 국방연구, 51(3), 61-94.
  7. 민진 (2011). 군대조직문화 특성의 도출과 분석. 한국조직학회보, 8(3), 91-121.
  8. 민진 (2013). 조직관리론. 서울: 대영문화사.
  9. 박동희 (2012). 군 보안규정의 문제점과 발전방안 모색.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박재곤 (2017). 근거이론을 적용한 군 조직의 보안수준 변화요인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 53, 281-303.
  11. 백민정 (2010). 조직의 정보윤리실천이 구성원의 정보보안 인식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상논총, 25(4), 119-145.
  12. 이종학 (2002). 우리군의 보안현주소 및 발전방안. 국방저널, 56-59.
  13. 임기억 (2011). 장교 정신보안 강화 방안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장월수 (2012). 군사비밀 유출에 따른 피해금액 산정을 위한 모델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장항배 (2015). 미래 융합환경을 위한 사람중심의 산업보안 추진전략. 2015 정보보호컨퍼런스.
  16. 전대일 (2010). 군사기밀에 관한 법적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정해철, 김현수 (2000). 조직구성원 정보보안 의식과 조직의 정보보안 수준과의 관계 연구. 정보기술과 데이터베이스저널, 7(2), 117-134.
  18. Alfawz, S., Nelson, K., & Mohannk, K. (2010). Information Security Culture: A Behavior Compliance Conceptual Framework. 8th Australasian Information Security Conference.
  19.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e-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20. Chang, S. E. (2007). Exploring organizational culture for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Industrial management & Data System, 107(3), 438-458. https://doi.org/10.1108/02635570710734316
  21. Formell, C., & Larcker, D. F. (1981). Evalu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Feburary), 39-50. https://doi.org/10.1177/002224378101800104
  22. Hair, J. F. Jr., Anderson, R. E., Tatham, R. L., & Black, W. C. (1998). Multivariate Data Analysis (5th ed). Prentic-Hall International.
  23. Humaidi, N. (2015). Leadership Style and Information Security Compliance Behavior: The Mediator Effect of Information Security Awareness.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and Education Technology, 5(4), 311-318. https://doi.org/10.7763/IJIET.2015.V5.522
  24. Jhonston, A., & Hale, R. (2009). Improved security through Information security governance. Communications of the ACM, 52(1).
  25. Norman, A., & Yasin, N. M. (2013). Information systems security management(ISSM) success factor.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 education, 24(1), 53-61.
  26. Sotanmohmmadi, S., Asadi, S., & Ithnin, N. (2013). Main human factors affecting information system securit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Contemporary in Business.
  27. Van Dyne L. V., Graham, J. W., & Dienesch, R. M. (1994).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Construct redefinition, measurement and valid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7, 765-802. https://doi.org/10.5465/256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