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ritical Review of the Transfer of Presidential Security Work to the Police

대통령경호업무 경찰 이관에 대한 비판적 소고

  • 조성구 (경운대학교 항공보안경호학부)
  • Received : 2019.02.09
  • Accepted : 2018.02.18
  • Published : 2019.03.31

Abstract

Last year,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made an attempt to abolish the presidential security office overseeing the presidential security and to transfer the work to the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under the National Police Agency. Currently, all of the G7 nations maintain a security system spearheaded by the police, so the policy of transferring the presidential security to the National Police Agency may be discussed. However,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following reality. First, the current presidential security system is consisted of the overlapping security organizations classified into (1) inner ring of the presidential security agency, (2) middle ring of the police agency, and (3) outer ring of the capital defense command. If the presidential security agency is abolished, a vacuum will result as per the principle of class. Second, for the efficient security guard of the President, currently, the presidential security agency at the Presidential Security Safety Measure Committee plays the role of coordinating the tasks. If the National Police Agency becomes the control tower of the presidential security, whether command will be available for the military and diplomatic aspects of the presidential security work should also be considered. Third, Korea is currently in a truce with North Korea, so there is a big difference in terms of the security environment with such G7 nations as the UK, Germany, France, and Japan.

문재인 정부에서는 대통령경호를 전담하는 대통령경호실을 폐지하고 경찰청 산하 대통령경호국을 신설하여 경호업무를 이관하려고 시도한 바 있다. 현재 G7국가들은 모두 경찰이 주도적으로 경호체제를 유지하고 있어 한국의 대통령 경호도 경찰청으로 업무를 이관하는 정책이 논의될 수 있으나 다음과 같은 현실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첫째, 현재 대통령경호 체계는 (1)대통령경호처의 근접경호(Inner Ring), (2) 경찰의 중간 경호(Middle Ring) (3)수도방위사령부의 외곽경호(Outer Ring)로 구분된 중첩된 경호 조직을 구성하고 있는데 대통령경호처를 폐지하면 계층성의 원리에 공백이 발생하게 된다. 둘째, 현재 대통령의 효율적인 경호를 위해 「대통령경호안전대책위원회」에서는 대통경 경호처에서는 업무조정의 역할을 하고 있는데, 경찰청이 대통령경호의 컨트롤타워가 된다면 대통령경호업무의 군사적, 외교적 측면까지 지휘통제가 가능할 것인지도 고려되어야 할 부분이다. 셋째, 현재 한국은 북한과의 휴전중으로 앞서 설명한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 등의 G7 국가와는 안보환경에 큰 차이가 있다는 점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문화일보 (2017, 5, 31). 대통령 경호 경찰청 이관 보류 광화문 시대 공약과 맞물려 검토.
  2. 오재환 (2012). 대통령 등 경호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 및 개정방향. 한국민간경비학회보, 11(3), 145-163.
  3. 정순태 (1999). 운명의 7초간(월간조선 8월호). 서울: 조선일보사.
  4. 정영일 (2013). 대통령경호기관의 역할변화 및 성과평가에 관한 연구 경호처 출범 이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조광래 (2012). 대통령 경호실장에 관한 연구: 경호실장의 역할 및 경호조직 변화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조광래, 주일엽 (2001). 대통령경호안전대책위원회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11, 351-374.
  7. 조선일보 (2016, 12, 24). 북한, 파키스탄식 核보유국 인정받은 뒤 미국과 직접대화 노려.
  8. 조성구 (2018). 한국의 국가안보와 대테러 전략: 요인암살 사례와 경호활동의 방향. 한국경찰연구, 17(2), 251-268.
  9. 중앙일보 (2017, 1, 9). 문재인 "대통령 되면 경호실 폐지…경찰청 산하에 경호국 만들겠다.
  10. 최종영, 정주호 (2017). 軍 정보수사기관의 대통령 경호활동 고찰: 1950년 한국전쟁 이후부터 현재까지. 한국경호경비학회지, 53, 61-79.
  11. Jo, S., & Jung, Y. (2017). Protection Security Organizations of the ROK: A Comparative Study of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and National Police Agencys. International Journal of Military Affairs, 2(1), 1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