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the Blended e-Learning on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Engineering Mathematics

블렌디드 이러닝이 공학수학 교수·학습에 미치는 효과

  • Lee, Heonsoo (Dept. of Math. Education, Mokpo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9.11.06
  • Accepted : 2019.12.05
  • Published : 2019.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Blended e-Learning affected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engineering mathematics for engineering students. It has researched the application condition of Blended e-Learning and the students' attitude in the offline classes of students. The subject were 42 students of Junior in the Department of Mechanic Engineering in M-Univers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lecturer taught the class for the students by fact-to-face teaching at the offline. It was recorded all processes during the class, and the video was loaded at 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LMS). The students studied online by themsel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ttitude of students at the offline and the Utilization of Online Data by learners through the mixed class for one semest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lended e-Learning applied engineering mathematics affected positively for the self-regulated and individualized learning to the students. Second, Blended e-Learning has shown a positive impact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engineering mathematics. Finally, it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lass satisfaction level of students.

본 연구는 블렌디드 이러닝이 공과대학 학생들의 공학수학 교수·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M대학교 기계공학과 3학년 42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공학수학 교과목에 블렌디드 이러닝을 적용한 수업은 오프라인에서는 전체 수강생을 대상으로 강의실에서 면대면 수업의 형태로 진행되었고, 수업이 진행되는 동안 수업의 전 과정을 녹화한 후 녹화된 동영상을 LMS에 탑재하여 온라인 상에서 개별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한 학기 동안 오프라인과 온라인을 혼합한 형태로 수업을 진행하면서 학습자들의 온라인 자료의 활용 실태 및 오프라인 수업에서의 학생들의 태도의 변화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공학수학에 적용한 블렌디드 이러닝은 학생들의 자기주도적이고 개별화된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둘째, 블렌디드 이러닝은 공학수학 교수·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셋째, 블렌디드 이러닝은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명희 (2002). 대학 교실수업 병행 웹 기반 가상수업에서 수업효과 요인분석; 사례연구, 고등교육연구, 13(2), 1-27.
  2. 강윤수․김이슬 (2019). SRN을 활용한 대학수학 강좌 운영 사례.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2(3), 277-302.
  3. 김동일․이혜정․손지영 (2005). 대학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Blended e-Learning 체제 정착 방안 연구-S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6(4), 97-123.
  4. 김미량 (2000). 웹활용 수업사례에 기초한 사이버 교수-학습 운영의 기본 전략 및 향후 과제. 교육공학연구, 16(1), 48-58.
  5. 김미영․안광식․최완식 (2005). 블렌디드 학습, 온라인 학습, 오프라인 학습의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 비교. 한국공업교육학회지, 30(1), 106-119.
  6. 김성옥 (2016). 대학의 미적분학 교과목에서 수업 방식에 따른 교육 효과 고찰.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 E <수학교육논문집>, 30(1), 47-65.
  7. 박형빈․정인철․이헌수 (2010). 이공계 신입생의 수학 기초학력과 학업 성취도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9(3), 329-341.
  8. 송다겸, 이봉주 (2017). 수학 성취도가 낮은 학생의 보충 지도 과정에서 블렌디드 e-러닝과 개별화 교수체제의 효과 비교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 A <수학교육>, 56(2), 161-175. https://doi.org/10.7468/mathedu.2017.56.2.161
  9. 우종정․김보나․이옥형 (2009). 대학에서 면대면 수업 대안으로서의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연구.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7(2), 219-225.
  10. 이상수 (2007). Blended learning의 의미와 상호작용 설계원리에 대한 고찰.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3(2), 225-250.
  11. 이옥형 (2007). 블렌디드 러닝과 면대면 수업의 학업성취도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5(1), 1-27.
  12. 이정례 (2015). 공과대학 신입생들의 수학에 대한 인식변화에 따른 대학수학 교육방향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9(3), 513-532.
  13. 이헌수․김영철․박영용 (2013). 입시전형별 이공계 신입생의 대학수학 성취도 비교 분석- 2012년 M대학교 이공계 신입생을 중심으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7(4), 369-379.
  14. 이현주 (2012). 블렌디드 러닝을 통한 대학생 영어학습에서의 상호작용과 자기주도적 학습의 효과.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8(1), 1-24.
  15. 임연휘․표용수 (2015). 수학 기초학력 평가틀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교양수학 교과목 학습지도방안.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8(3), 335-352.
  16. 임정훈 (2007). 대학 Blended Learning 환경에서 온라인-오프라인 혼합방식 및 성찰활동이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3(4), 49-76.
  17. 전영국 (2015). 이공계 대학생을 위한 Mathematica 기반의 화이트박스 이러닝 콘텐츠 설계 및 개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8(2), 223-240.
  18. 최병수, 유상미 (2013). 컴퓨터교과교육: 대학 강의실 수업의 효과성 향상을 위한 H형 블렌디드 이러닝 적용 효과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6(3), 49-60. https://doi.org/10.32431/KACE.2013.16.3.006
  19. 최윤경 (2011).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기초중국어' 수업 모형 개발 및 적용. 중국어교육과연구, 13(12), 1-21.
  20. 한지영․이은화 (2010).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환경에서 e-learning에 한 학습자의 지각정도와 학습만족도-S대학 보건교육학 강좌를 중심으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3(6), 69-77.
  21. 홍효정 (2017). 블렌디드 러닝기반 기초수학 수업에서 자기효능감, 자기조절학습이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공학교육연구, 20(6), 3-11. https://doi.org/10.18108/JEER.2017.20.6.3
  22. Anderson, T., Rourke, L., Garrison, D. R., & Archer, W. (2001). Assessing teaching presence in a computer conferencing context. Journal of Asynchronous Learning Networks, 5(2), 1-17.
  23. Carmen, J. M. (2002). Blended learning design: Five key ingredients. Retrieved from http://mizanis.net/edu3105/artikel/Blended-Learning-Design.pdf.
  24. Christensen, T. (2003). Finding the balance: Constructivist pedagogy in a blended course. The Quarterly Review of Distance Education, 4(3), 235-243.
  25. Cottrell, D. M., & Robinson, R. A. (2003). Blended learning in an accounting course. The Quarterly Review of Distance Education, 4(3), 261-269.
  26. Driscoll, M. (2002). Blended learning: Let's get beyond the hype. E-Learning, 3(3), 54-56.
  27. George-Palilonis, J., & Filak, V. (2009). Blended learning in the visual communications classroom: Student reflection on a multimedia course. Electronic Journal of e-Learning, 3, 247-256.
  28. Kerres, M., & De Witt, C. (2003). A didactical framework for the design of blended learning arrangement. J ournal of Educational Media, 28(2/3), 101-113. https://doi.org/10.1080/1358165032000165653
  29. Singh, H. & Reed, C. (2001). A White paper: Achieving success with blended learning. Retrieved from http://www.centra.com/download/whitepaper/blendedlearning.pdf.

Cited by

  1. 대학 원격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 M 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vol.23, pp.3, 2019, https://doi.org/10.30807/ksms.2020.23.3.007
  2. 코로나19로 인한 공과대학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 경험 탐색 vol.23, pp.6, 2019, https://doi.org/10.18108/jeer.2020.23.6.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