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Situation-Based Class using Digital-Storytell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Scientific Attitude

디지털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상황중심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학습 동기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9.11.25
  • Accepted : 2019.12.19
  • Published : 2019.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ituation-based class using digital storytell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class motivation and scientific attitude for 50 fifth graders in B elementary school in P metropolitan city.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25 students in 5th grade were selected as research group and 25 students in another class as comparative group, and the research group conducted situation-based classes using 8-hour digital storytelling. The comparative group received 8 classes of general science classes by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ituation-based class using digital-storytelling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learning motivation. Second, situation-based class using digital-storytelling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scientific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is thought that the situation-based class through digital-storytelling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xploration of science principles through students' daily experiences.

본 연구는 P광역시 소재 B초등학교 5학년 50명을 대상으로 디지털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상황중심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학습 동기 및 과학적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본 것이다.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서 5학년 한 개 반 25명을 연구집단으로, 또 다른 한 개반 25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여 연구집단에게는 8차시의 디지털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상황중심수업을 실시하고, 비교집단에게는 교육과정에 의한 일반 과학수업 10차시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상황중심수업은 초등학생들의 과학학습 동기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디지털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상황중심수업은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디지털스토리텔링을 통한 상황중심수업이 학생들의 일상적 경험을 통해서 과학 원리를 탐구하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어서 초등학생들의 과학수업동기 및 과학적 태도가 향상된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둘래(1996). 과정지향 및 결과지향 학습동기유발 방법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순자, 허지은, 여성희(2002).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STS 수업이 실업계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0(2), 180-189.
  3. 김경원(2014). 학습 맥락을 고려한 활동 중심 과학 수업전략 개발 및 적용: 중학교 과학 수업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미영(2005). Keller의 학습동기 유발 교수이론과 상황학습이론에 따른 효과적인 학습 지도안 연구: 고등학교 화학II 교과서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순식(2019). 소집단 토의.토론을 강조한 메이커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수업 동기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2(1), 54-63. https://doi.org/10.15523/jksese.2019.12.1.54
  6. 김순식, 이용섭(2014).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지구계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환경민감도 및 환경 친화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7(2), 266-275. https://doi.org/10.15523/JKSESE.2014.7.2.266
  7. 김윤경, 이용섭(2016).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태양계와 별' 단원 수업이 과학개념 및 과학학습 동기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9(1), 97-105. https://doi.org/10.15523/JKSESE.2016.9.1.97
  8. 김현영(2011). 상황학습 기반 디지털스토리텔링에서 학습자의 지식 생성 과정 및 교사의 스캐폴딩 전략 탐색: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효남, 정완호, 정진우(1998). 국가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체제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357-369.
  10. 김효석, 안대천(2015). TV홈쇼핑의 스토리텔링 메시지가 상황적 관여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감정이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지, 26(1), 137-166.
  11. 노금자(1997). 과학적 상황과 일상적 상황에 따른 초등학생들의 용해 개념.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민덕기(2002).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통한 초등영어수업-서사경험의 극대화를 중심으로. 초등영어교육, 8(2), 175-208.
  13. 박세정(2006). 스토리텔링에 따른 디지털 매체의 교육적 효과.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박시현(2016). 디지털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과학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박인우(1996). 학교교육에 있어서 구성주의 교수원리의 실현 매체로서 인터넷 고찰. 교육공학연구, 12(2), 81-103.
  16. 박태휘(2009). 상황학습이론에 따른 교수학습 및 수행평가가 학생들의 학습태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수학10-가 단계를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승은(2000). 상황학습이론에 의한 맥락제공수업이 학습전이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승희(2003).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이용한 웹상에서의 동화구현: 상호 교환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이인화, 고욱, 전봉관, 강심호, 전경란, 배주영, 한혜원, 이정엽(2003). 디지털 스토리텔링. 서울: 황금가지.
  20. 이점순(2006). 웹을 활용한 상황학습이 과학적 태도와 학습매력성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정현숙(2003). 일상적 상황에서 학생의 물리학습과정 분석.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최정임(1996). 상황의 맥락성과 복잡성이 학업성취와 태도 지식의 전이에 미치는 효과: 수학적 문제해결능력을 중심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지, 3(2), 373-399.
  23. 최정임(1997). 상황학습 이론에 따른 학습 내용의 구성, 교사의 역할, 평가 원리에 대한 고찰. 교육학연구, 35(3), 213-239.
  24. Bransford, J. D., Sherwood, T. D., Hasselbring, T. S., Kinzer, C. K., & Williams, S. M. (1992). "Anchored instruction: Why we need it and how technology can help", In D. Nix & R. Spiro (Eds.), Cognition, Education, and Multimedia (pp. 115-141). Hillsadale, NJ: Erlbaum.
  25. Duffy, T. M., Jonassen, D. H. (1991). Constructivism: New implications for instructional technology? Educational Technology, 31(5), 7-12.
  26. Jakes, D. S. (2005). Capturing stories, capturing lives: An introduction to digital storytelling. Retrieved January 18, 2017 from http://www.jakesonline.org/dstory_ice.pdf.
  27. Keller, J. M., & Subhiyah, R. G. (1987). Course interest survey. Florida State University.
  28. Kim, H., & Hannafin, M. J. (2008a). Grounded design of web-enhanced case-based activity. Education Tech Research, 56, 167-179.
  29. Kim, H., & Hannafin, M. J. (2008b). Situated case-based knowledge: An emerging framework for prospective teacher learn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4(7), 1837-1845. https://doi.org/10.1016/j.tate.2008.02.025
  30. Lave, J., & Wenger, E. (1991). Situated learning: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 Pintrich, P. R., And Others (1991). A manual for the Use of the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MSLQ).
  32. Winn, W. (1993). Instructional design and situated learning: Paradox or partnership? Educational Technology, 33(3), 16-21.
  33. Zimmer, J. (2003). Das kleine handbuch zum situationsansatz. in: praxisreihe situationsansatz. 독일 유치원 이야기.유아교사를 위한 상황중심 교육이론. (정영근 역). 서울: 문음사. (원본발간일 1998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