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대학생의 취업여부별 시간사용과 시간부족감의 성차 분석

A Comparison of Time Use and Time Famine for Male and Female Employed and Unemployed College Students

  • 박은정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생활과학과)
  • 투고 : 2019.02.13
  • 심사 : 2019.05.01
  • 발행 : 2019.08.31

초록

This study was aimed at exploring the differences in time use and time famine among college students ages 18 to 29, with a focus on gender and employment status, and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time famine. Data were from the 2014 Time Use Survey by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e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employed spend significantly more time on work and less time studying than the unemployed, and females spend significantly more time on household work and less time on leisure than males. Second, employed students had higher levels of time famine than unemployed students. Third, irrespective of employment status, the education level of students' parents was identified as a determinant of time famine. Other determinants of time famine were age, job, work, and study time for employed students and gender, income, household work, and leisure time for unemployed stud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인자.김혜연(2005). 제주도 초등학교 학생의 생활시간 사용 및 만족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9(4), 1-18.
  2. 김기헌.안선영.장상수.김미란.최동선(2009). 아동.청소년의 생활시간 패턴에 관한 국제비교연구. 서울 : 보건복지가족부.
  3. 김소영.진미정(2016). 부부의 가사노동시간 변화 : 2004년-2014년 생활시간조사자료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4(3), 65-84. https://doi.org/10.7466/JKHMA.2016.34.3.65
  4. 김서현(2019). 학업과 노동을 병행하는 저소득층 여자 대학생들의 시간 체험. 한국사회복지학, 71(1), 149-177.
  5. 김선희(1994). 대학생의 생활시간구조. 고신대학교 학생생활연구, 9, 24-52.
  6. 김외숙(2012). 기혼자의 여가시간 공유대상 유형 : 유형별 특성과 유형 결정요인.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3), 133-152.
  7. 김외숙.박은정(2012). 한국과 미국 고등학생의 생활시간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0(4), 119-132. https://doi.org/10.7466/JKHMA.2012.30.4.119
  8. 김외숙.이기영(2015). 가사노동과 시간관리. 서울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9. 김외숙.이기영(2016). 가족자원관리학. 서울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10. 김외숙.송혜림.조희금.김주희(2016). 미취학자녀를 둔 맞벌이 집단의 근무일과 비근무일 생활시간배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3), 25-43.
  11. 김외숙(2017). 청소년의 시간사용 및 시간부족감의 변화 : 2004년과 2014년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1(4), 35-59.
  12. 김외숙.박은정(2018). 한부모가족의 시간사용과 시간부족감의 성차 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2(3), 1-19.
  13. 김우찬.이윤석(2009). 부모가 자녀의 TV 시청 시간에 미치는 영향 :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TV 시청시간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20(1), 29-55.
  14. 김영숙.김지현(2000). 대학생의 생활시간구조 분석. 경성대학교 논문집, 21(2), 389-404.
  15. 김진모(2011). 학업.취업 병행 여건 개선 방안 연구. 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16. 김진욱.고은주(2015). 시간압박, 누가 얼마나 경험하는가? : 한국 기혼부부의 수면, 개인관리, 여가시간 결핍 결정요인 분석. 사회복지정책, 42(2), 135-161.
  17. 김주희.이기영(2015). 맞벌이 부부의 시간배분을 통해 본 일-생활 유형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2), 101-125.
  18. 교육부(2015a). 선취업 후진학 교육시스템 구축을 위한 성인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 세종 : 교육부.
  19. 교육부(2015b). 2015년 재직자.성인학습자 대상 후진학/후학습 지원사업 기본계획. 세종 : 교육부.
  20. 교육부(2014). OECD 교육지표 2014.
  21. 교육부(2018). OECD 교육지표 2018.
  22. 노컷뉴스(2017.6.15). 대학생 67% '학업과 아르바이트 병행' http://www.nocutnews.co.kr/news/4799748
  23. 류지수(2007). 가구특성과 남녀 청소년의 생활시간 사용. 한국사회복지학회 2007년도 국제학술대회 자료집, 447-452.
  24. 박민자.손문금(2007). 가족배경이 청소년의 교육성취와 관련된 생활시간사용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문화, 19(2), 93-120.
  25. 박선주.박수정(2016).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 유형과 학업계획의 차이. 교육행정학연구, 34(2), 75-95.
  26. 박은정.이성림(2013). 미취학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의 자녀양육시간 유형에 따른 시간부족감 및 시간사용만족도의 차이.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4), 97-111. https://doi.org/10.7466/JKHMA.2013.31.4.097
  27. 박지영.이희수(2019). 선취업 후진학 대학생의 학습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지지, 긍정심리자본, 학습몰입, 대학생활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직업교육연구, 38(1), 97-126.
  28. 박정윤.전유진(2016). 청소년 자녀의 생활시간 사용에 부모의 양육태도가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4), 35-47.
  29. 박정열.손영미(2014). 여성근로자의 일과 삶의균형 유형화 : 전일제 여성 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2), 75-102.
  30. 배상훈.한송이(2015). 대학생의 수업 외 활동이 능동적.협동적 학습 및 대학 몰입에 미치는 영향. 교육학연구, 53(3), 323-356.
  31. 서인주(2010). 대학생의 건강관리와 여가행동에 관한 연구 : 수면시간을 중심으로. 소비자정책교육연구, 6(4), 73-89.
  32. 서인주(2011). 대학생의 시간사용행동에 관한 연구 : 학습 아르바이트 가정관리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8, 1-12.
  33. 서지원.양진운(2017). 청년 1인가구의 성별 생활시간 사용구조와 주관적 시간빈곤 : 부부가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55(5), 451-463.
  34. 손문금(2004). 맞벌이주부의 시간부족(time famine) 인식. 여성인구, 2(2), 159-198.
  35. 송유진(2013). 부모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청소년의 생활시간 비교. 가족과 문화, 25(3), 31-53.
  36. 송혜림.강은주.김민주(2018). 청년 1인가구의 생활시간 사용 연구 : 성별.취업여부에 따른 식사와 여가활동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2(2), 45-63.
  37. 안수미.이기영(2012). 미혼취업자의 여가시간 및 영향요인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2), 109-132.
  38. 안준기.배호중(2011). 대학 재학시절 근로활동이 노동시장 이행에 미치는 영향 : 생계형 근로를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21(4), 149-180.
  39. 여성가족부(2015). 2015 한부모가족실태조사. 서울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40. 이려정(2011). 대학생의 여가활동과 자기효능감, 생활만족도 간 영향연구 : 동적 여가활동을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23(7), 489-509.
  41. 이승미.이현아(2011). 맞벌이 임금근로자 남녀의 생활시간구조분석. 대한가정학회지, 49(5), 81-96. https://doi.org/10.6115/khea.2011.49.5.081
  42. 이용관(2014). 주5일 수업제 도입이 청소년의 시간 사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동경제논집, 37(2), 49-78.
  43. 이용관(2016). 아버지의 사회경제적 특성이 대학생 자녀의 시간사용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논총, 32(1), 159-190.
  44. 이정미.이길재(2015). 대학교육 만족도 및 교수학습 성과 영향요인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3(1), 105-127.
  45. 이주희.박순희(2008). 대학생의 시간관리에 관한 연구 : 서울과 지방의 비교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5(2), 91-120.
  46. 오만석(2010). 한국 학생들의 생활시간 사용에 대한 비교 연구. 비교교육연구, 20(4), 299-330.
  47. 정재기(2007). 부모의 사회경제적지위와 청소년의 컴퓨터 이용실태 : 생활시간자료를 바탕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24, 51-78.
  48. 정혜지(2015). 가구소득이 아동의 생활시간에 미치는 영향 : 부모 양육방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9. 조한익(2007). 대학생의 희망과 학습시간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21(2), 349-365.
  50. 차승은(2008). 중년의 일, 가족, 여가시간 배분유형과 유형결정요인 : 취업한 기혼 남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6(1), 103-116.
  51. 차승은(2010). 남녀의 시간압박인식 차이와 관련요인 탐색. 한국인구학, 33(1), 27-49.
  52. 차승은(2011). 취업남녀의 시간부족인식과 시간 활용 : 1999년과 2009년의 생활시간자료 비교.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3), 131-151.
  53. 차승은(2015). 기혼여성의 취업여부에 따른 시간압박과 관련요인의 차이 : 아내의 시간, 남편의 시간, 그리고 가사노동 사회화의 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3(5) 37-53.
  54. 최남숙(2005). 대학생의 시간사용 만족수준과 자아정체감 관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9(4), 81-93.
  55. 최남숙.유소이(2002). 청소년의 시간사용 실태와 결정요인 분석 : 가사노동, 여가, 과외수업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6(1), 1-16.
  56. 최정윤.이병식(2009). 대학생의 학습성과에 대한 영향 요인 탐색. 교육행정학연구, 27(1), 199-222.
  57. 최혜지(2007). 기혼취업여성의 성역할태도가 시간부족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학회지, 19(4), 75-102.
  58. 김승권.김유경.김혜련.박종서.손창균.최영준.김연우.이가은.윤아름(2012). 2012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실태조사. 서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59. 황수정(2018). 한국 대학 1학년의 시간 사용 양상과 예측요인.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0. 통계청(2015). 2014년 생활시간조사결과.
  61. 통계청(2018). 2018년 청소년 통계.
  62. Aliprantis, D., & Chen, A.(2015). Student employment and time use. Economic Trends, 12, 21. Federal Reserve Bank of Cleveland.
  63. Amato, H. D.(2015). College students and time use : Do working and nonworking students spend their time differently?. Honors Program Theses and Projects.
  64. Brint, S., & Cantwell, A. M.(2010). Undergraduate time use and academic outcomes : Results from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undergraduate experience survey 2006. Teachers College Record, 112(9), 2441-2470.
  65. Bureau of Labor Statistics(2016.12.20). American Time Use Survey. https://www.bls.gov/tus/charts/students.htm
  66. Chin, T., & Phillips, M.(2004). Social reproduction and child-rearing practices : Social class, children's agency, and the summer activity gap. Sociology of Education, 77(3), 185-210. https://doi.org/10.1177/003804070407700301
  67. Gunthorpe, W., & Lyons, K.(2004). A predictive model of chronic time pressure in Australian population : Implications for leisure research. Leisure Science, 26, 201-213. https://doi.org/10.1080/01490400490432127
  68. Kalenkoski, C. M., & Pabilonia, S. W.(2009). Time to work or time to play : The effect of student employment on homework, sleep, and screen time. IZA Discussion Paper NO. 4666, 1-36.
  69. Mencarini, L., Pasqua, S., & Romiti, A.(2014). Children's time use and family structure in Italy. Families and Societies : Working paper Series, 21, 1-32.
  70. Porterfield, S. L, & Winkler, A. E.(2007). Teen time use and parental education : Evidence from the CPS, MTF, and ATUS. Monthly Labor Review, 130(5), 37-56.
  71. Robinson, J. P., & Godbey, G.(1997). Time for life : The surprising ways Americans use their tim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72. Roxburgh, S.(2004). There just aren't enough hours in the day's : The mental health consequence of time pressur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45(2), 115-131. https://doi.org/10.1177/002214650404500201
  73. Stinebrickner, R., & Stinebrickner, T. R.(2003). Time-use and college outcomes. Journal of Econometrics, 12(1), 243-269.
  74. Wight, V. R., Price, J., Bianchi, S. M., & Hunt, B. R.(2009). The time use of teenagers. Social Science Research, 38(4), 792-809. https://doi.org/10.1016/j.ssresearch.2009.05.009
  75. Zuzanek, J.(1998). Time use, time pressure, personal stress, mental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from a life cycle perspective. Journal of Occupational Science, 5(1), 26-39. https://doi.org/10.1080/14427591.1998.9686432
  76. Zuzanek, J.(2004). Work, leisure, time-pressure and stress. In J. T. Haworth., & A. J. Veal (Eds.), Work and Leisure, PP. 123-144. London : Rout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