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김진욱.고은주(2015). 시간압박, 누가 얼마나 경험하는가? : 한국 기혼부부의 수면, 개인관리, 여가시간 결핍 결정요인 분석. 사회복지정책, 42(2), 135-161.
|
2 |
김주희.이기영(2015). 맞벌이 부부의 시간배분을 통해 본 일-생활 유형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2), 101-125.
|
3 |
교육부(2015a). 선취업 후진학 교육시스템 구축을 위한 성인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 세종 : 교육부.
|
4 |
교육부(2015b). 2015년 재직자.성인학습자 대상 후진학/후학습 지원사업 기본계획. 세종 : 교육부.
|
5 |
교육부(2014). OECD 교육지표 2014.
|
6 |
교육부(2018). OECD 교육지표 2018.
|
7 |
노컷뉴스(2017.6.15). 대학생 67% '학업과 아르바이트 병행' http://www.nocutnews.co.kr/news/4799748
|
8 |
류지수(2007). 가구특성과 남녀 청소년의 생활시간 사용. 한국사회복지학회 2007년도 국제학술대회 자료집, 447-452.
|
9 |
박민자.손문금(2007). 가족배경이 청소년의 교육성취와 관련된 생활시간사용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문화, 19(2), 93-120.
|
10 |
박선주.박수정(2016).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 유형과 학업계획의 차이. 교육행정학연구, 34(2), 75-95.
|
11 |
최남숙.유소이(2002). 청소년의 시간사용 실태와 결정요인 분석 : 가사노동, 여가, 과외수업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6(1), 1-16.
|
12 |
최정윤.이병식(2009). 대학생의 학습성과에 대한 영향 요인 탐색. 교육행정학연구, 27(1), 199-222.
|
13 |
최혜지(2007). 기혼취업여성의 성역할태도가 시간부족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학회지, 19(4), 75-102.
|
14 |
김승권.김유경.김혜련.박종서.손창균.최영준.김연우.이가은.윤아름(2012). 2012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실태조사. 서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15 |
황수정(2018). 한국 대학 1학년의 시간 사용 양상과 예측요인.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16 |
통계청(2015). 2014년 생활시간조사결과.
|
17 |
통계청(2018). 2018년 청소년 통계.
|
18 |
Aliprantis, D., & Chen, A.(2015). Student employment and time use. Economic Trends, 12, 21. Federal Reserve Bank of Cleveland.
|
19 |
Amato, H. D.(2015). College students and time use : Do working and nonworking students spend their time differently?. Honors Program Theses and Projects.
|
20 |
Brint, S., & Cantwell, A. M.(2010). Undergraduate time use and academic outcomes : Results from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undergraduate experience survey 2006. Teachers College Record, 112(9), 2441-2470.
|
21 |
Bureau of Labor Statistics(2016.12.20). American Time Use Survey. https://www.bls.gov/tus/charts/students.htm
|
22 |
Chin, T., & Phillips, M.(2004). Social reproduction and child-rearing practices : Social class, children's agency, and the summer activity gap. Sociology of Education, 77(3), 185-210.
DOI
|
23 |
Gunthorpe, W., & Lyons, K.(2004). A predictive model of chronic time pressure in Australian population : Implications for leisure research. Leisure Science, 26, 201-213.
DOI
|
24 |
Robinson, J. P., & Godbey, G.(1997). Time for life : The surprising ways Americans use their tim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
25 |
Kalenkoski, C. M., & Pabilonia, S. W.(2009). Time to work or time to play : The effect of student employment on homework, sleep, and screen time. IZA Discussion Paper NO. 4666, 1-36.
|
26 |
Mencarini, L., Pasqua, S., & Romiti, A.(2014). Children's time use and family structure in Italy. Families and Societies : Working paper Series, 21, 1-32.
|
27 |
Porterfield, S. L, & Winkler, A. E.(2007). Teen time use and parental education : Evidence from the CPS, MTF, and ATUS. Monthly Labor Review, 130(5), 37-56.
|
28 |
Roxburgh, S.(2004). There just aren't enough hours in the day's : The mental health consequence of time pressur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45(2), 115-131.
DOI
|
29 |
Stinebrickner, R., & Stinebrickner, T. R.(2003). Time-use and college outcomes. Journal of Econometrics, 12(1), 243-269.
|
30 |
Wight, V. R., Price, J., Bianchi, S. M., & Hunt, B. R.(2009). The time use of teenagers. Social Science Research, 38(4), 792-809.
DOI
|
31 |
Zuzanek, J.(1998). Time use, time pressure, personal stress, mental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from a life cycle perspective. Journal of Occupational Science, 5(1), 26-39.
DOI
|
32 |
Zuzanek, J.(2004). Work, leisure, time-pressure and stress. In J. T. Haworth., & A. J. Veal (Eds.), Work and Leisure, PP. 123-144. London : Routledge.
|
33 |
박정열.손영미(2014). 여성근로자의 일과 삶의균형 유형화 : 전일제 여성 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2), 75-102.
|
34 |
박은정.이성림(2013). 미취학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의 자녀양육시간 유형에 따른 시간부족감 및 시간사용만족도의 차이.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4), 97-111.
DOI
|
35 |
박지영.이희수(2019). 선취업 후진학 대학생의 학습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지지, 긍정심리자본, 학습몰입, 대학생활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직업교육연구, 38(1), 97-126.
|
36 |
박정윤.전유진(2016). 청소년 자녀의 생활시간 사용에 부모의 양육태도가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4), 35-47.
|
37 |
배상훈.한송이(2015). 대학생의 수업 외 활동이 능동적.협동적 학습 및 대학 몰입에 미치는 영향. 교육학연구, 53(3), 323-356.
|
38 |
서인주(2010). 대학생의 건강관리와 여가행동에 관한 연구 : 수면시간을 중심으로. 소비자정책교육연구, 6(4), 73-89.
|
39 |
서인주(2011). 대학생의 시간사용행동에 관한 연구 : 학습 아르바이트 가정관리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8, 1-12.
|
40 |
서지원.양진운(2017). 청년 1인가구의 성별 생활시간 사용구조와 주관적 시간빈곤 : 부부가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55(5), 451-463.
|
41 |
손문금(2004). 맞벌이주부의 시간부족(time famine) 인식. 여성인구, 2(2), 159-198.
|
42 |
송유진(2013). 부모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청소년의 생활시간 비교. 가족과 문화, 25(3), 31-53.
|
43 |
송혜림.강은주.김민주(2018). 청년 1인가구의 생활시간 사용 연구 : 성별.취업여부에 따른 식사와 여가활동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2(2), 45-63.
|
44 |
안수미.이기영(2012). 미혼취업자의 여가시간 및 영향요인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2), 109-132.
|
45 |
안준기.배호중(2011). 대학 재학시절 근로활동이 노동시장 이행에 미치는 영향 : 생계형 근로를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21(4), 149-180.
|
46 |
이용관(2016). 아버지의 사회경제적 특성이 대학생 자녀의 시간사용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논총, 32(1), 159-190.
|
47 |
여성가족부(2015). 2015 한부모가족실태조사. 서울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48 |
이승미.이현아(2011). 맞벌이 임금근로자 남녀의 생활시간구조분석. 대한가정학회지, 49(5), 81-96.
DOI
|
49 |
이용관(2014). 주5일 수업제 도입이 청소년의 시간 사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동경제논집, 37(2), 49-78.
|
50 |
이정미.이길재(2015). 대학교육 만족도 및 교수학습 성과 영향요인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3(1), 105-127.
|
51 |
이주희.박순희(2008). 대학생의 시간관리에 관한 연구 : 서울과 지방의 비교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5(2), 91-120.
|
52 |
오만석(2010). 한국 학생들의 생활시간 사용에 대한 비교 연구. 비교교육연구, 20(4), 299-330.
|
53 |
정재기(2007). 부모의 사회경제적지위와 청소년의 컴퓨터 이용실태 : 생활시간자료를 바탕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24, 51-78.
|
54 |
정혜지(2015). 가구소득이 아동의 생활시간에 미치는 영향 : 부모 양육방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55 |
이려정(2011). 대학생의 여가활동과 자기효능감, 생활만족도 간 영향연구 : 동적 여가활동을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23(7), 489-509.
|
56 |
조한익(2007). 대학생의 희망과 학습시간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21(2), 349-365.
|
57 |
차승은(2008). 중년의 일, 가족, 여가시간 배분유형과 유형결정요인 : 취업한 기혼 남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6(1), 103-116.
|
58 |
차승은(2010). 남녀의 시간압박인식 차이와 관련요인 탐색. 한국인구학, 33(1), 27-49.
|
59 |
차승은(2011). 취업남녀의 시간부족인식과 시간 활용 : 1999년과 2009년의 생활시간자료 비교.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3), 131-151.
|
60 |
강인자.김혜연(2005). 제주도 초등학교 학생의 생활시간 사용 및 만족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9(4), 1-18.
|
61 |
김기헌.안선영.장상수.김미란.최동선(2009). 아동.청소년의 생활시간 패턴에 관한 국제비교연구. 서울 : 보건복지가족부.
|
62 |
김외숙(2012). 기혼자의 여가시간 공유대상 유형 : 유형별 특성과 유형 결정요인.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3), 133-152.
|
63 |
차승은(2015). 기혼여성의 취업여부에 따른 시간압박과 관련요인의 차이 : 아내의 시간, 남편의 시간, 그리고 가사노동 사회화의 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3(5) 37-53.
|
64 |
최남숙(2005). 대학생의 시간사용 만족수준과 자아정체감 관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9(4), 81-93.
|
65 |
김소영.진미정(2016). 부부의 가사노동시간 변화 : 2004년-2014년 생활시간조사자료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4(3), 65-84.
DOI
|
66 |
김서현(2019). 학업과 노동을 병행하는 저소득층 여자 대학생들의 시간 체험. 한국사회복지학, 71(1), 149-177.
|
67 |
김선희(1994). 대학생의 생활시간구조. 고신대학교 학생생활연구, 9, 24-52.
|
68 |
김외숙.박은정(2012). 한국과 미국 고등학생의 생활시간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0(4), 119-132.
DOI
|
69 |
김외숙.이기영(2015). 가사노동과 시간관리. 서울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
70 |
김외숙.이기영(2016). 가족자원관리학. 서울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
71 |
김우찬.이윤석(2009). 부모가 자녀의 TV 시청 시간에 미치는 영향 :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TV 시청시간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20(1), 29-55.
|
72 |
김외숙.송혜림.조희금.김주희(2016). 미취학자녀를 둔 맞벌이 집단의 근무일과 비근무일 생활시간배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3), 25-43.
|
73 |
김외숙(2017). 청소년의 시간사용 및 시간부족감의 변화 : 2004년과 2014년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1(4), 35-59.
|
74 |
김외숙.박은정(2018). 한부모가족의 시간사용과 시간부족감의 성차 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2(3), 1-19.
|
75 |
김영숙.김지현(2000). 대학생의 생활시간구조 분석. 경성대학교 논문집, 21(2), 389-404.
|
76 |
김진모(2011). 학업.취업 병행 여건 개선 방안 연구. 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