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Building an Agrophotovoltaic System and Suggesting Activation Plans

영농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구축 및 활성화 방안 연구

  • 조영혁 (한국남동발전(주)) ;
  • 조석진 (한국남동발전(주)) ;
  • 권혁수 (한국남동발전(주)) ;
  • 유동희 (경상대학교 경영정보학과, 경영경제연구소)
  • Received : 2019.01.29
  • Accepted : 2019.03.05
  • Published : 2019.03.31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agrophotovolatic system built by the Korea South-East Power Company and to propose methods to activate the agrophotovolatic system for the development of the renewable energy industry. Design/methodology/approach We conducted a three-step simulation in order to design a photovoltaic module, and we built the agrophotovolatic system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imulation. Then, we analyzed the monthly generation of power and the rice harvests produced on farmland using the photovoltaic modul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 proposed institutional improvements to increase the use of the agrophotovolatic system, and we proposed new business models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of farmers and business persons. Findings When we compared the agrophotovolastic system with the general photovoltaic system, we found that the agrophotovoltaic system had higher utilization rates and power generation. An analysis of rice produced on farmland using the photovoltaic module showed that more than 80% of the rice produced on general farmland was harvested. We suggested activation plans that involved the revision of the farmland law and the introduction of renewable energy certificate (REC). We also proposed a land lease model and a farmer participation model as two new business models, and we conducted economic evaluations and sensitivity analyses for both models.

Keywords

JBSTB0_2019_v28n1_115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영농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설비구조 및 농사와 태양광 발전의 병행 원리

JBSTB0_2019_v28n1_115_f0002.png 이미지

<그림 2> 구축 단계

JBSTB0_2019_v28n1_115_f0003.png 이미지

<그림 3> 모듈의 크기에 따른 월별 음영발생정도

JBSTB0_2019_v28n1_115_f0004.png 이미지

<그림 4> 모듈의 깔기 형태에 따른 월별 음영발생정도

JBSTB0_2019_v28n1_115_f0005.png 이미지

<그림 5> 모듈의 배치 수량에 따른 음영발생정도

JBSTB0_2019_v28n1_115_f0006.png 이미지

<그림 6> 영농형 태양광 발전의 모듈 배치 계획

JBSTB0_2019_v28n1_115_f0007.png 이미지

<그림 7> 영농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설치 과정

JBSTB0_2019_v28n1_115_f0008.png 이미지

<그림 8> 부지임대형 모델

JBSTB0_2019_v28n1_115_f0009.png 이미지

<그림 9> 농민참여형 모델

<표 1> 영농형 태양광과 일반 태양광의 발전량 및 이용률 비교

JBSTB0_2019_v28n1_115_t0001.png 이미지

<표 2> 영농형 태양광의 REC 가중치 예

JBSTB0_2019_v28n1_115_t0002.png 이미지

<표 3> 주민참여형의 유형에 따른 영농형 태양광의 REC 가중치 예

JBSTB0_2019_v28n1_115_t0003.png 이미지

<표 4> 비즈니스 모델별 경제성 평가 결과

JBSTB0_2019_v28n1_115_t0004.png 이미지

<표 5> 부지임대형 모델의 민감도 분석 결과

JBSTB0_2019_v28n1_115_t0005.png 이미지

<표 6> 농민참여형 모델의 민감도 분석 결과

JBSTB0_2019_v28n1_115_t0006.png 이미지

References

  1. 국가통계포털, 경지이용면적 및 경지이용률, 2017, Available: http://kosis.kr/.
  2. 김지용, 송재준, 이지은, "태양광발전소의 입지에 따른 환경문제 해결방안," 한국환경기술학회지, 제12권, 제2호, 2011, pp. 141-147.
  3. 김진현, 정성진, 김태욱, 김현태, 최준학, 하유신, "비표준형 돈사의 지붕을 활용한 태양에너지 설비에 관한 연구," 농업생명과학연구, 제49권, 제2호, 2015, pp. 145-152.
  4. 법제처, 농지법, 법률 제14985호, 2018.
  5. 법제처, 농지법 시행령, 대통령령 제29421호, 2019.
  6. 산업통상자원부,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안), 2017. 12.
  7. 이상훈, "한국에서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정책적 과제," 환경법과 정책, 제12권, 2014, pp. 63-82.
  8. 이인주, 주진철, 이창신, 김가영, 우도영, 김재학, "수상 회전식 태양광 발전시설 설치에 따른 농업용 저수지의 수질변화 평가," 대한환경공학회지, 제39권, 제5호, 2017, pp. 255-264. https://doi.org/10.4491/ksee.2017.39.5.255
  9. 일본농림수산성, 영농형 태양광 발전설비 등에 대한 농지 전용 허가제도, 2013, Available: http://www.maff.go.jp/j/press/nousin/noukei/pdf/130401-01.pdf.
  10. 임명성, 정태석, 문용은, "비즈니스 모델을 기반으로 서비스 시스템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정보시스템연구, 제19권, 제4호, 2010, pp. 1-24.
  11. 임철현, 김근호, 이석호, 남재우, 장영섭, 이상록, "국내외 영농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추진동향 및 가치사슬 분석," 태양에너지, 제16권, 제2호, 2018, pp. 31-38.
  12. 조다설, 김준우, "3D 팩토리 시뮬레이션 기술의 특징과 응용 분야에 대한 고찰," 정보시스템연구, 제27권, 제4호, 2018, pp. 35-70.
  13. 조영혁, 백승엽, 최원용, 정대율, "분산 재생에너지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가상발전소(VPP) 플랫폼 개발에 관한 연구," 정보시스템연구, 제27권, 제2호, 2018, pp. 95-114.
  14. 중앙일보, "영월태양광발전소 준공...개방의 날 행사," 홍춘봉 기고, 2013. 12. 27, Available: https://news.joins.com/article/13502944.
  15. 최승국, 최근희, "에너지전환을 위한 태양광발전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시를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제29집, 제3호, 2016, pp. 275-295.
  16.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수력원자력 지속가능경영보고서 2018, 2018.
  17. 함태성, "재생에너지 산업의 전망과 법적 과제," 법제연구, 제51호, 2016, pp. 283-320.
  18. Breyer, C., and Gerlach, A., "Global overview on grid-parity," Progress in photovoltaics: Research and Applications, Vol. 21, No. 1, 2013, pp. 121-136. https://doi.org/10.1002/pip.1254
  19. Dupraz, C., Marrou, H., Talbot, G., Dufour, L., Nogier, A., and Ferard, Y., "Combining solar photovoltaic panels and food crops for optimising land use: Towards new agrivoltaic schemes," Renewable Energy, Vol. 36, No. 10, 2011, pp. 2725-2732. https://doi.org/10.1016/j.renene.2011.03.005
  20. Ho, M., Japanese Farmers Producing Crops and Solar Energy Simultaneously, 2013, Available: https://permaculturenews.org/2013/10/16/japanese-farmers-producing-crops-solar-energy-simultaneously/.
  21. Liu, W., Liu, L., Guan, C., Zhang, F., Li, M., Lv, H., Yao, P., and Ingenhoff, J., "A novel agricultural photovoltaic system based on solar spectrum separation," Solar Energy, Vol. 162, 2018, pp. 84-94, https://doi.org/10.1016/j.solener.2017.12.053
  22. Marucci, A., Zambon, I., Colantoni, A., and Monarca, D., "A combination of agricultural and energy purposes: Evaluation of a prototype of photovoltaic greenhouse tunnel,"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Vol. 82, Part 1, 2018, pp. 1178-1186. https://doi.org/10.1016/j.rser.2017.09.029
  23. Xue, J., "Photovoltaic agriculture - New opportunity for photovoltaic applications in China,"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Vol. 73, 2017, pp. 1-9. https://doi.org/10.1016/j.rser.2017.01.0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