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Convergence Lesson Plan and Teaching Demonstration for Enhancing Creative Competency of The Pre-service Teachers'

중등예비교사의 창의역량 강화를 위한 융합수업지도안 작성 및 수업시연의 효과

  • 김은진 (인천대학교 교육혁신원)
  • Received : 2019.02.20
  • Accepted : 2019.03.12
  • Published : 2019.03.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nhancing creative competency and changes in academic challenge for the pre-service teachers. For this purpose, 94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project learning through the preparation of the convergence instruction and the class demonstration during one semester. The pre and post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he measurement of creative leader competence and K-NSSE for academic challenge. Analysis of data was performed using the IBM SPSS 18.0 program for the corresponding sample t test. The creative competency included 'higher mental thinking', 'problem solving', 'curiosity', 'sensitivity' 'task commitment', 'the pursuit of social value', and 'co-operations and considerations'. This results was significant(p< .05). Academic challenge, high-order learning domain and learning strategies domain were significant(p< .05). Based on this, in order to generalize the convergence education and convergence lesson, it is necessary to design various convergence lessons and practice study to make a plan and practice it. In addition, the implications for the necessity of correcting and supplementing the effects after repeated convergence lesson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수업에서 중등예비교사에게 요구되는 창의역량 강화와 학업도전 변화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등예비교사 94명이 한 학기 동안 융합수업지도안 작성 및 수업시연으로 진행되는 프로젝트 학습에 참여하였다. 설문지는 지은림, 주언희(2012)가 개발한 창의적 인재 역량측정도구와 배상훈 외(2015)의 학부교육 실태조사(K-NSSE)의 학업도전 사전-사후 설문을 실시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IBM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 검정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창의역량에서는 '고차적 사고력', '문제해결능력', '호기심', '감수성', '과제집착력', '사회 가치추구', '협동 및 배려'가 유의미하였다. 학업도전에서는 '고차원 학습'과 '학습전략'이 유의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융합교육, 융합수업을 일반화하여 수업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융합수업설계, 지도안 작성, 실천연구와 반복적인 융합수업의 효과를 검증하며 수정 보완 과정의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CCTHCV_2019_v19n3_466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융합수업설계 절차 및 수업지도안 작성 활동

표 1. 연구 참여 명수

CCTHCV_2019_v19n3_466_t0001.png 이미지

표 2. 창의역량, 학업도전 영역 및 문항

CCTHCV_2019_v19n3_466_t0002.png 이미지

표 3. 창의역량 사전·사후 차이 분석결과

CCTHCV_2019_v19n3_466_t0003.png 이미지

표 4. 창의역량 하위요소 사전·사후 분석결과

CCTHCV_2019_v19n3_466_t0004.png 이미지

표 5. 학업도전 사전·사후 분석결과

CCTHCV_2019_v19n3_466_t0005.png 이미지

표 6. 학업도전 영역의 사전·사후 분석결과

CCTHCV_2019_v19n3_466_t0006.png 이미지

References

  1. 김태은, 우연경, 이재진, "창의 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수업 혁신 요소 분석," 교육심리연구, 제31권, 제3호, pp.499-528, 2017.
  2. 이경화, 신오순, 김대권, 태진미, "핵심역량 기반 융합교육을 위한 대학생의 핵심역량 및 창의적 성향 비교," 교육종합연구, 제13권, 제2호, pp.1-24, 2015.
  3. 백윤수, 김영민, 노석구, 박현주, 이주연, 정진수, 최우현, 한혜숙, 회종현, 융합인재교육(STEAM) 실행 방향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한구과학창의재단 2012-12, 2012.
  4. 최유현, 노아진, 이봉우, 문대영, 이명훈, 장용철, 박기문, 손다미, 임유진, 이은상, "창의적 융합인 재양성을 위한 STEAM 교육과정 모형 개발," 한국기술교육과정학회지, 제12권, 제3호, pp.63-87, 2012.
  5. 안종배, "4차 산업혁명에서 교육패러다임의 변화," 미디어와 교육, 제7권, 제1호, pp.172-180, 2017.
  6. 신동희, 김정우, 김래영, 이종원, 이현주, 이정민, "융합형 교사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제16권, 제1호, pp.371-398, 2012.
  7. 조남민, 김소륜, 손달임, "과학문화콘텐츠 구성을 기반으로 한 융합형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호, pp.506-518,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1.506
  8. S. M. Drake, Creating integrated curriculum: Proven ways to increase student Learning, Corwin Press, Inc, 1998.
  9. 강정찬, "창의.융합 교육을 위한 수업설계원리 개발," 교육방법연구, 제27권, 제3호, pp.275-305, 2015.
  10. 한국창의재단, 융합인재교육(STEAM) 파이오니어 연수 자료집, 2012.
  11. 교육과학기술부, "창의인재와 선진과학기술로 여는 미래 대한민국," 교육과학기술부 2011년 업무보고, 2010.
  12. J. Banks, An Introduc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5th ed). New York: Pearson. (모경환, 최충옥, 김명정, 임정수 역)(2016), 다문화교육입문,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2013.
  13. 장경원, 고수일, 액션러닝으로 수업하기, 서울: 학지사, 2014.
  14. 최정임, 장경원, PBL로 수업하기, 서울: 학지사, 2010.
  15. 강정찬, "창의적 문제 해결 (Creative Problem Sliving)을 적용한 수업설계 및 실행에 대한 사례연구: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교육혁신연구, 제28권, 제2호, pp.315-345, 2018.
  16. 김경은, "사회과 예비교사의 수업전문성 제고를 위한 수업비평," 교과교육연구, 제15권, 제3호, pp.711-735, 2011.
  17. 박기용, 배영직, 강이철, "교숙실습에서 예비교사의 수업설계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교원교육원, 제26권, 제3호, pp.169-197, 2009.
  18. 김은진, "4차 산업혁명 시대 사업대학 예비교사의 교육패러다임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9호, pp.248-259,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2.248
  19. 김진수, "STEAM 교육을 위한 큐빅 모형," 한국기술교육학회지, 제11권, 제2호, pp.124-139, 2011.
  20. https://apps.dtic.mil/dtic/tr/fulltext/u2/a019488.pdf.
  21. 방기혁, 박행모, 김용익, 이성숙,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융합(STEAM)형 실과교육 프로그램 개발 모형," 실과교육연구, 제21권, 제2호, pp.1-23, 2015.
  22. 김민경, 박주연, 성유경, 한정진, 이봄희, 유지연, "3D프린팅을 활용한 프로젝트 기반 융합수업의 설계 및 적용," 초등교육연구, 제31권, 제4호, pp.21-46, 2018.
  23. 정제영, 신태섭, 임규연, 서경혜, 김경리, 정혜영, 옥현진, 권순희, 신상근, 김영래, 이종원, 이현주, 2016 창의교육 선도 교원양성 대학 운영 사업, 서울: 한국창의재단, 2016.
  24. 지은림, 이주언, "창의적 인재 역량 측정을 위한 구인 탐색 및 척도 개발," 교육평가연구, 제25권, 제1호, pp.69-94, 2012.
  25. 배상훈, 강민수, 홍지인, "한국대학생의 학습참여진단을 위한 NSSE 모델 도입 및 타당화," 아시아교육연구, 제16권, 제4호, pp.77-104, 2015.
  26. S. M. Drake and R. C. Burns, Integrated curriculum.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2004.
  27. 김세미, "초중등학생들을 위한 디자인사고 기반의 융합교육 프로그램,"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6권, 제1호, pp.20-26, 2018.
  28. 조진숙, 전영미, "대학생의 학습참여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1호, pp.524-534, 2019. https://doi.org/10.5392/JKCA.2019.19.01.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