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 of Participation in the Senior Employment and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gainst Depression-

노인일자리 참여 유형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우울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박명옥 (한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문재우 (한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8.12.24
  • Accepted : 2019.01.18
  • Published : 2019.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or not types of participation in the senior employment that greatly affect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is related to depression an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by using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effect of on the participation in the senior employment against the depression was positive(+) and the depression had a correlationship with life satisfaction. Therefore, the higher the number of participation in the senior employment for the public sector was, the lower the satisfaction of life, and the more time of participating in the senior employment for the private sector wa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lif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rder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senior life, the government, the local autonomous entity, and other companies should work together so that they can make a reasonable plan to create the employment of the private sector for jobs of the elderly.

본 연구 목적은 노인들의 삶의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노인 일자리 참여 유형이 우울감과 상관관계가 있는지 규명하고, 우울감이 삶의 만족도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검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노인 일자리 참여와 우울감은 정(+)적인 영향이, 우울감은 삶의 만족도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 공익형 일자리 참여 횟수가 많을수록 삶의 만족도는 낮게, 민간형 일자리 참여시간이 많을수록 삶의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공익형 일자리에서는 매개변수인 우울감이 삶의 만족도로 향하는 경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고 매개효과도 없었다. 그러나 민간형 일자리에서는 우울감이 매개변수인 삶의 만족도로 향하는 경로가 유의하여 유의미한 부분매개 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노년기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노인의 일자리에 대한 민간형 일자리를 창출하는 방안을 정부, 지방자치단체, 기업 등이 함께 노력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CCTHCV_2019_v19n2_629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연구모형

표 1. 공익형 일자리의 상관관계

CCTHCV_2019_v19n2_629_t0001.png 이미지

표 2. 민간형 일자리의 상관관계

CCTHCV_2019_v19n2_629_t0002.png 이미지

표 3. 공익형 일자리 다중회귀분석

CCTHCV_2019_v19n2_629_t0003.png 이미지

표 4. 민간형 일자리 다중회귀분석

CCTHCV_2019_v19n2_629_t0004.png 이미지

표 5. 매개효과 유의성 검증 결과

CCTHCV_2019_v19n2_629_t0005.png 이미지

References

  1.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2017(6).
  2. 한국노인복지학회, 한국노인복지의 새로운 도전 경기, 현학사, 2004.
  3. J. W. Rowe and R. L. Kahn, Successful aging, New York, NY: Pantheon Books, 1998.
  4. 보건복지부, 노인 일자리사업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운영안내, 2017.
  5. 한국노인인력개발원,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 사업, 2017.
  6. 이소정,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가 노인의 사회관계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노인복지학회, 제59권, pp.331-354, 2013.
  7. 정명희, "노인의 자아존중감이 사회활동 참여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경기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제9권, 제0호, pp.15-41, 2013.
  8. 심옥수, "경제활동 노인의 일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우울의 조절효과분석,"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제17권, pp.161-180, 2015.
  9. 고재욱.이동열,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삶의 만족도와 정책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31권, 제4호, pp.1209-1228, 2011.
  10. B. L. Neugarten, R. J. Harvinghurt, and S. S. Tobin,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Vol.16, pp.134-143, 1961. https://doi.org/10.1093/geronj/16.2.134
  11. 하경분, 주민경, 송선희,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노인의 참여 만족도와 생활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0호, pp.160-170,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0.160
  12. 강소량, 김병수, "노인 일자리사업이 고령자의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학보, 제50권, 제1호, pp.167-199, 2016.
  13. 석상훈, 김헌수, "노인빈곤의 실태와 결정요인 분석 생애근로 근로이력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재정학연구, 제5권, 제3호, pp.99-124, 2012.
  14. 박용두, 정민숙,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이 셀프리더십과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9호, pp.216-226,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9.216
  15. 장유미,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와 사회적 자본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복지상담교육연구, 제1권, 제1호, pp.121-148, 2012.
  16. 이인정, "남녀노인의 우울, 삶의 만족에 대한 심리사회적 요인들의 영향의 차이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36권, pp.159-180, 2012.
  17. 엄인숙, "노인의 생활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복지행정논총, 제22권, 제1호, pp.73-90, 2012.
  18. 김재현, 노인들의 여가 참여특성에 따른 우울감, 사회적응, 여가만족,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19. K. Karban, Social Work and Mental Health, Cambridge: Polity Press, 2011.
  20. 장신재, 조지영,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적 지지, 정서적 문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1호, pp.225-235,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1.225
  21. 오영진,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의 참여특성과 만족도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남부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22. 유용식, "노인 일자리사업에 참여한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호, pp.129-139,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1.129
  23. 이난희, 노인계층의 우울 변화 결정요인 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24. 최영호,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여부와 사업 참여 만족도에 대한 요인 연구,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25. 남기민, 박현주, "노인의 종교활동과 사회활동 참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죽음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49권, pp.405-428, 2010.
  26. 윤영신, 생물심리사회-영성(BPSS)모델이 노년기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27. W. W. K. Zung and N. C. Durham, "A self-rating depression scale," Arch. Gen. Psychiatry, Vol.12, pp.63-70, 1965. https://doi.org/10.1001/archpsyc.1965.01720310065008
  28. 장동산, 이길홍, 민병근, "한국청소년의 불안 및 우울성향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분석," 중앙의 대지, 제10권, 제4호, pp.405-422,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