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udy on Design an Ontology for Korean Food Information

한식정보 활용을 위한 온톨로지 설계에 관한 연구

  • 유하경 (상명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박옥남 (상명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Received : 2018.12.20
  • Accepted : 2019.01.28
  • Published : 2019.02.28

Abstract

The Korean food, which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only as a unique culture of Korea, has become popular in the world market by being used as a material of Korean Wave and me-media. The systematic organization of knowledge for recipes and related information can highlight the value of Korean food. It will serve as a basis for improving the reusability of Korean food contents through expanded and limited search and effective browsing. This study purports to design an ontology for establishing Korean food knowledge structure. Ontology modeling is based on OWL. Vocabularies of Korean food were examined based on 32 volumes of Korean food information, and data elements were extracted by analyzing five domains and applications. As a result, the study derived classes and properties, and proposed an indexing example.

한국의 고유문화로만 주목을 받아온 한식은 한류 및 1인 미디어의 소재로 활용되며 세계 시장 속에서 인기를 이어가고 있다. 한식의 조리법에 더하여 한식의 가치를 부각시켜줄 수 있는 관련 자료들을 체계적으로 조직하는 것은 확장 및 제한검색, 효과적인 브라우징을 통한 한식 콘텐츠의 재사용성을 향상시키는 데 토대가 된다. 이에 본 연구는 한식 지식구조의 정립을 위한 온톨로지의 설계를 목적으로 한다. 온톨로지 모델링은 OWL을 활용하였으며, 한식 정보를 담고 있는 32권의 단행본을 기반으로 한식의 유형 및 어휘를 조사하고, 음식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5개의 도메인 및 어플리케이션을 분석하여 데이터요소를 추출하였다. 연구결과 클래스 및 관련 속성을 도출하였고, 클래스별 속성과 색인예를 제시하였다.

Keywords

CCTHCV_2019_v19n2_147_f0001.png 이미지

그림 1. 한식 온톨로지 모델링

CCTHCV_2019_v19n2_147_f0002.png 이미지

그림 2. ‘오곡밥’의 색인예 및 관련 클래스 탐색화면

표 1. 한식 온톨로지 구축방법론

CCTHCV_2019_v19n2_147_t0001.png 이미지

표 2. 한식 관련 도메인 지식구조 비교

CCTHCV_2019_v19n2_147_t0002.png 이미지

표 3. 레시피(Recipe) 클래스 속성

CCTHCV_2019_v19n2_147_t0003.png 이미지

표 4. 주재료(main ingredients)와 건강고려사항 연계

CCTHCV_2019_v19n2_147_t0004.png 이미지

표 5. 관련자료(relatedTo)클래스 속성

CCTHCV_2019_v19n2_147_t0005.png 이미지

References

  1.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2017 한류백서, KOFICE, 2018.
  2. 양일선, "한식재단,"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0권, 제3호, pp.61-64, 2012.
  3. 심갑용, "한류문화콘텐츠의 기록화를 위한 AtoM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KFood 콘텐츠를 중심으로," 한국기록학회지, 제43호, pp.5-42, 2015.
  4. 박옥남, "고전문학의 대중화를 위한 온톨로지 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6권, 제3호, pp.267-290, 2015. https://doi.org/10.14699/kbiblia.2015.26.3.267
  5. https://www.topquadrant.com/tools/modeling-topbraid-composer-standard-edition/, 2018.12.10.
  6. 정연경, "한식 정보 조직을 위한 패싯 구조화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7권, 제1호, pp.15-37, 2013. https://doi.org/10.4275/KSLIS.2013.47.1.015
  7. 강인희, 韓國의 맛, 서울: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87.
  8. 정연경, 음식문화 전문분류표 개발 연구, 서울:율촌재단, 2010.
  9. 정연경, 이미화, "음식문화 분야 인터넷자원 분류 체계 분석을 통한 한국십진분류법의 항목명 확장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제27권, 제4호, pp.49-69, 2010. https://doi.org/10.3743/KOSIM.2010.27.4.049
  10. 정연경, 최윤경, "음식문화 분야의 DDC 분류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1권, 제1호, pp.43-57, 2010. https://doi.org/10.14699/KBIBLIA.2010.21.1.043
  11. 정연경, 최윤경, "한식 분야의 듀이십진분류법 수정 전개 방안에 관한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5권, 제1호, pp.29-49, 2011. https://doi.org/10.4275/KSLIS.2011.45.1.029
  12. 김유진, 한국음식 온톨로지-구축방안과 추론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원 언어인지과학, 석사학위논문, pp.1-145, 2010.
  13. 박순연, 한식세계화 정책방향,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10.
  14. http://www.nocutnews.co.kr/news/4941905, 2018. 11.11.
  15. 이지선, 정라나, "한식콘텐츠 이용 경험자에게 형성된 한식호감도가 한류호감도, 국가이미지, 한국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베트남 2030 세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7호, pp.320-331,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7.320
  16.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430769&cid=58436&categoryId=58436, 2018.11.11.
  17. http://www.hansik.or.kr, 2018.11.11.
  18. http://www.agroheart.co.kr, 2018.11.11
  19. http://www.tradifood.net, 2018.11.11.
  20. http://www.koreantk.com, 2018.11.11
  21. http://www.greenpost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98459, 2018.11.11
  22. 헬렌김, 약선의 문헌적고찰, 중원대학교 대학원 한방식품공학, 석사학위논문, pp.1-75, 2015.
  23. 복혜자, 정광열, "약선음식 제공 레스토랑의 선택송성이 구매의도와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제24권, 제6호, pp.943-953, 2014. https://doi.org/10.17495/easdl.2014.12.24.6.943
  24. 권영미, 전병길, "우리나라 절기음식의 대중화 및 세계화 방안," 한국외식산업학회지, 제4권, 제1호, pp.117-138,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