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Qualitative Study on Youth Experiences of Anger Expression and Management -Focus Group Interview with Youth and Youth Experts-

청소년의 분노 표현 및 대처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청소년과 청소년 전문가 포커스 그룹 인터뷰-

  • 고기숙 (백석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 이지숙 (단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유동환 (순천향대학교 청소년교육상담학과) ;
  • 윤용희 (단국대학교 상담학과)
  • Received : 2018.09.28
  • Accepted : 2018.11.22
  • Published : 2019.01.28

Abstract

This paper illustrated the use of focus groups with adolescents and youth experts to enhance knowledge of anger, anger expression, and its coping strategies. Nine youth experts and 9 adolesc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alysis of the findings identified 12 meaningful elements, 34 sub-elements, and 138 descriptions. The meaningful elements were as follow: the lack of stable care, anger-provoking situations, a relationship between distorted thoughts and anger, physic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different types of anger expression, suppressed anger, difficulty of anger control, youth efforts to control anger, needs to implement appropriate anger expression, psychological mechanism of anger, effective ways to cope with anger, suggested by youth experts, needs of alternative anger management program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various anger management alternatives, including ICT based cognitive-behavior anger management programs.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분노 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대처법을 마련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청소년과 전문가를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면접조사를 실시하여 청소년들의 분노정서, 분노표현, 분노조절 및 대처 등에 관하여 심층적으로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문가 9명, 청소년 9명, 두 그룹을 구성하여 포커스 그룹면접 조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내용은 일반적인 질적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되었고, 총 12개의 범주, 34개의 하위범주, 138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청소년 분노표현 및 대처에 관한 분석 결과 도출된 총 12개의 범주는 다음과 같다. 안정적 돌봄의 결여, 분노 촉발 상황들, 왜곡된 사고와 분노의 관계, 분노로 인한 신체 및 심리적 증상, 분노표현의 다양한 형태들, 억제된 분노, 분노조절의 어려움, 분노조절을 위한 청소년의 시도, 적절한 분노 표현법에 대한 갈망, 분노의 심리 메커니즘, 분노조절을 위한 전문가의 효과적인 방식들, 새로운 분노조절 프로그램의 요구에 직면 등이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분노 문제가 있는 청소년들에 대한 전문 상담 및 치료적 접근, 청소년의 특성에 맞는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기반의 분노조절 프로그램 개발, 사회적 지지체계의 확충, 청소년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청소년 분노대처 전문 교육 및 워크숍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끝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Keywords

표 1. FGI 참여자 명단

CCTHCV_2019_v19n1_445_t0001.png 이미지

References

  1. J. R. Averill, Anger and aggression: An essay on emotional, stress, New York: Springer, 1982.
  2. C. F. Alschuler and A. S. Alschuler, "Developing healthy response to anger: counselor's role,"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Vol.63, pp.26-29, 1984. https://doi.org/10.1002/j.1556-6676.1984.tb02674.x
  3. W. Gaylin, The rage within, New York. Plenum Press, 1984.
  4. R. W. Novaco, Anger as a risk factor violence among the mentally disordered: In J. Manahan & H. J. Steadman (Eds.), Violence and mental disorder,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4.
  5. 김광수, "청소년의 분노수준, 분노대처방식과 학교생활적응," 한국교육심리학회지, 제17권, pp.393-410, 2003.
  6. 강신덕, "비행청소년 분노조절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한국상담연구, 제5권, 제1호, pp.81-143, 1997.
  7. G. S. Hall, Adolescence (Vols. 1 &2), New York: Appleton, 1994.
  8. 안정미, 안권순, "청소년의 분노정서경험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3호, pp.267-292, 2012.
  9. P. Boman, D. C. Smith, and D. Curitis, "Effects of Pessimism and Explanatory Style on Development of Anger in Children," School psychology International, Vol.24, No.1, pp.80-94, 2003. https://doi.org/10.1177/0143034303024001581
  10. E. L. Feindler, S. A. Marriott, and M. Iwata, "Group Anger control training for junior high school delinquent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Vol.8, No.3, pp.299-311, 1984. https://doi.org/10.1007/BF01173000
  11. 류권옥, 채유경, "중학생을 위한 분노조절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예술심리치료연구, 제3권, 제2호, pp.79-94, 2003.
  12. 이성정, 이야기치료 진로집단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역기능적진로사고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3. 이영, 청소년을 위한 분노조절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2,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4. R. Nasir and N. A. Ghanib, "Behavioral and Emotional Effects of Anger Expression and Anger Management among Adolescents,"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Vol.140, pp.565-569, 2013.
  15. 전원희, 최은정, 조은주, "대학생의 분노 경험," 한국콘텐츠학회, 제18권, 제3호, pp.432-446,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3.432
  16. 이은철, 남선우, "청소년의 분노에 대한 자아존중감과 탄력성의 상호작용 효과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8호, pp.322-331,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8.322
  17. R. L. Cautin, J. C. Overholse, and P. Goetz, "Assesment of mode of anger expression in adolescent psychiatric inpatients," Adolescence, Vol.36, No.141, pp.163-170, 2001.
  18. 김진영, 고영건, "분노 억압의 역설과 분노 억제의 비밀 : 외현적 언어 정보의 내현화 과정을 중심으로," 인간연구, 제19호, pp.155-196, 2010.
  19. 서수균, 김윤희, "대학생용 분노대처행동 척도개발과 그 유용성," 한국심리학회지, 제22권, 제4호, pp.973-992, 2010.
  20. 안가연, 김종운, 김미희, "이공계 대학생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분노표현양식 및 대처전략 간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6권, 제7호, pp.481-498, 2016.
  21. 박연주, 유형근, "고등학생의 분노조절 능력 향상을 위한 독서치료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국상담연구, 제20권, 제2호, pp.295-314, 2012.
  22. 연성진, 류창현, "분노형 범죄에 대한 새로운 정책대안으로서의 가상현실치료(VRT)에 관한 연구,"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제9권, 제3호, pp.191-228, 2015.
  23. 김경희, 이윤주, "학급단위의 중학생 분노조절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7권, 제1호, pp.613-641, 2017.
  24. S. Lotfali, A. Moradi, and H. Ekhtiari, "On the Effectiveness of Emotion Regulation Training in Anger Management and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ies in Adolescents," Modern Applied Science, Vol.11, No.1, pp.1913-1844, 2017.
  25. 신경림, 조명옥, 양진아, 질적 연구 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5.
  26. 윤랙팀, 문화와 역사연구를 위한 질적 연구 방법론, 서울: 아르케, 2013.
  27. T. Maschi and C. Bradley, "Exploring the Moderating Influence of Delinquent Peers on the Link Between Trauma, Anger, and Violence Among Male Youth: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Child Adolescence Social Work Journal, Vol.25, pp.125-138, 2008. https://doi.org/10.1007/s10560-008-0116-2
  28. M. A. Kerr and B. H. Schneider, "Anger exp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review of the empirical literature," Clinical Psychology Review, Vol.28, No.4, pp.559-577, 2008. https://doi.org/10.1016/j.cpr.2007.08.001
  29. 고수현, 강석기, "고등학생의 우울과 불안이 학교폭력에 미치는 영향: 분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제16권, 제4호, pp.149-172, 2014.
  30. C. D. Spielberger, G. A. Jacobs, S. Russell, and R. S. Crane, "Assessment of anger: The State-Trait Anger Scale," Advances in Personality Assessment, Vol.2, pp.159-187, 1983.
  31. 이규미, 청소년의 분노와 분노처리과정에서의 공격행동에 관한 체험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32. J. A. Hubbard, "Emotion expression processes in children's peer interaction: The role of peer rejection, aggression, and gender," Child Development, Vol.72, pp.1426-1438, 2001. https://doi.org/10.1111/1467-8624.00357
  33. M. K. Underwood, J. C. Hurley, C. A. Johanson, and J. E. Mosley, "An experimental, observational investigation of children's responses to peer provocation: developmental and gender differences in middle childhood," Child Development, Vol.70, pp.1428-1446, 1999. https://doi.org/10.1111/1467-8624.00104
  34. 안윤영, 중학생의 분노 사고와 분노 표현의 관계 및 분노노절 프로그램의 효과,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35. 권남행, 청소년의 분노조절을 위한 인지행동집단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36. 김모아, 이영호, "분노신념과 분노표현이 불안, 우울, 신체화, 정신병질, 자기애에 미치는 영향," 인간이해, 제34권, 제2호, pp.193-213,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