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job stress and emotional labor on Perceptive health status of dental hygienist's

치과위생사의 직무스트레스, 감정노동이 지각된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 Lee, Myung Sun (Department of Health Convergence, Ewha Womans University) ;
  • Lim, Hee-Jung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Eulji University)
  • 이명선 (이화여자대학교 융합보건학과) ;
  • 임희정 (을지대학교 치위생학과)
  • Received : 2019.10.18
  • Accepted : 2019.11.18
  • Published : 2019.12.31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job stress and emotional labor on perceptive health status of dental hygienist's. And provide basic data by for establishing the plan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job stress and emotional labor and the promotion of health. Methods: Self-evaluation questionnaires were surveyed for 441 dental hygienis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urvey, using questionnaires used in the preceding study were modified and complemented. We analyzed the data with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hi-square test와 ANOVA,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by using IBM SPSS Statistics 21.0 (IBM Co., Armonk, NY, USA). The significance level for significance was set at 0.05. Results: health status were job stress, emotional labor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The factors having significant effects on health problem were physical health status, the job culture of job stress, lack of job autonomy, organizational instability, and workplace culture. In addition, social health status was affected by emotional expressionism, relationship conflict, organizational instability, organizational system, and workplace culture. Conclusion: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 management of job stress and emotional labor in the working environment to dental clinic and hospital managers and managerial dental hygienists, a dental hygienist health promotion intervention program is needed to mitigate and cope with job stress and emotional labor.

Keywords

References

  1. 김계표, 이지영, 유병철. (2013). 치과상담업무종사자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 한국치위생학회지, 13(5), 727-737. https://doi.org/10.13065/jksdh.2013.13.05.727
  2. 김민주. (1998). 호텔종업원의 감정노동이 직무관련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학학회지, 21(2), 129-141.
  3. 김윤신, Shosuke Suzuki, 김정만. (1979). 질문지 건강조사표에 관한 고찰-THI 건강조사표의 실용화. 한국의산업의학회지, 18(1), 18-28.
  4. 김영선, 윤희숙 (2007). 임상치과위생사들의 직무소진과 대처행동. 치위생과학회지, 7(4), 225-233.
  5. 김장미. (2013). 치과위생사의 감정노동과 소진 및 이직의도와의 관련성[석사학위논문]. 진주: 경상대학교 대학원.
  6. 고은정. (2019). 치과위생사의 근무환경에 따른 건강상태와 근골격계 자각증상. 대한치위생과학회지, 2(1), 19-30.
  7. 남용옥, 나윤숙. (2000). 보건소 치과위생사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17(2), 125-149.
  8. 신문기사(인터넷): "치과위생사 근무 시 감정억제강도 높다" 대한치과의사협회 치의신보. 2010년 5월 10일자 1835호.
  9. 박정란, 한동욱. (2009). 일부지역 치과위생사들의 근골격 계 자각증상 인지정도 및 경험에 대한 연구. 한국치위생교육학회지, 9(1), 141-151.
  10. 박옥임, 문희. (2015). 감정노동이 간호사의 생식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 산업학회지, 9(2), 237-246.
  11. 박은지, 김연하, 이수진. (2018). 치과위생사의 감정노동과 수면의 질: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산업보건학회지, 28(1), 124-133. https://doi.org/10.15269/JKSOEH.2018.28.1.124
  12. 박인숙. (2016). 간호업무량과 간호관리자의 사회적지지, 간호사의 심리사회적 건강, 직무만족과의 관계[박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13. 임길옥. (2013). 임상간호사와 건강보험심사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건강수준의 비교[석사학위논문]. 공주: 공주대학교 대학원.
  14. 임경희. (2002). 교대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건강상태와 직업만족도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한양대학교 대학원.
  15. 원영순, 오한나. (2015). 치과위생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위생학회지, 15(5),679-687.
  16. 윤성욱, 김정숙. (2011). 일부 치과위생사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한국치위생학회지, 11(2), 179-188.
  17. 윤미숙, 송귀숙, 고미희. (2003). 치과위생사의 직업병에 의한 건강장애요인 인식도 조사. 한국치위생과학회지, 3(2), 59-66.
  18. 오효정. (2016). 치과종사자의 감정노동과 직무 스트레스가 건강문제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창원: 창원대학교 대학원.
  19. 정명숙, 김광점. (2006). 감정노동과 감성지능이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병원경영학회지, 11(4), 1-18.
  20. 전상희, 한경순. (2010). 치과위생사의 작업환경과 통증자각증상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 35(3), 347-359.
  21. 장세진, 고상백, 강동욱, 김성아, 강명근. (2005).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17(4), 297-317.
  22. 조애희. (2002). 보건소 치위생사의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및 신체손상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
  23. 정은영, 김명래. (2014). 치과위생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턱관절장애 자각증상의 상관성연구. 한국치위생학회지, 14(3), 381-390. https://doi.org/10.13065/jksdh.2014.14.03.381
  24. 한세영, (2009). D도시에 종사하는 일부 치과위생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우울과의 관련성.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0(11), 3487-3493. https://doi.org/10.5762/KAIS.2009.10.11.3487
  25. 홍수민, 김희경, 안용순. (2009). 치과위생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건강상태 및 신체화에 관한 연구. 치위생과학회지, 9(3), 295-302.
  26. 한선영, 문소정, 배성숙, 노희진. (2018). 임상치과위생사의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한국치위생학회지, 18(1), 43-53. https://doi.org/10.13065/jksdh.2018.18.01.43
  27. Kawakami N, Haratani T. (1999). Epidemiology of job stress and health in Japan: review of current evidence and future direction. Ind Health.. 37(2), 174-186. https://doi.org/10.2486/indhealth.37.174
  28. NIOSH. 1998. Factors affecting indoor air quality. No. 98-123.
  29. Morris JA, Feldman DC. (1996). The dimension, antecedents and consequeces of emotional labe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1(4), 986-1010. https://doi.org/10.5465/amr.1996.9704071861
  30. Stansfeld S, Candy B. (2006).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 and mental healthameta- analytic review," Scand J Work Environ Health, 32(6), 443-462. https://doi.org/10.5271/sjweh.1050
  31. Terr AI. (1996). Multiple chemical sydrome: In indoor aor pollution and health. In: Bardana EJ, Montabaro A, eds. Marcel Dekker Inc., New York. 267-280.
  32. Yassi A,, Warshaw LJ. (1998). Occupational Health Services. In: Stellman JM, ed. ILO Encyclopaedia of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4th ed. Geneva, Swiss: International Labour Office. 97, 2-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