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형태적 관점의 콘텐츠 UI구조 분석 방법 설계

Design of method to analyze UI structure of contents based on the Morphology

  • 투고 : 2019.11.12
  • 심사 : 2019.11.20
  • 발행 : 2019.12.31

초록

모바일디바이스시장의 성장은 교육시장의 변화를 가져왔고 다양한 미디어 교육의 양적 성장으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기존 PC나 콘솔에 비해 인터렉션이 우수한 태블릿 등 스마트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사용성을 높일 수 있는 콘텐츠 양산에 이바지하고 있고 다양한 유형의 교육형 콘텐츠들이 개발되어 소비자들의 전통적 교육방법에 변화를 유도하고 있다. 최근 많은 연구들이 콘텐츠의 유력한 개발방법이나 마케팅 요소를 제안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교육형 게임 개발을 위한 사용성을 개발기업이나 개발자의 감각에 의존하고 있어 실제 사용자의 스마트디바이스기반 사용성과 경험환경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사용자 경험환경 분석을 위한 기반 연구로 기 출시된 인기 게임을 대상으로 게임형 교육콘텐츠의 사용성 분석을 위한 직관적 통계처리방법을 형태적 관점에서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게임산업은 충분한 시료를 가지고 있어 빅데이터기반 연구가 가능한 유사 범주의 시료가 확보 가능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분석기법을 통해 다수의 공동 개발인력 간 즉각적인 의사결정을 위해 사용이 가능하며 반복되는 개발과정 간 누적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긍정적인 자료원 확보에도 긍정적이어서 이업종 간 소통이 가능한 분석모델로 기대된다.

The growth of the mobile device market has changed the education market and led to the quantitative growth of various media education. In particular, smart devices, which have better interaction than existing PCs or consoles, can develop more user-friendly content, allowing various types of educational content and inducing changes in traditional education methods for consumers. Although many researchers recently suggest viable development methods or marketing elements of contents, development companies, and developers, until now, merely rely on the human sens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actual user's smart-device based usability and experience environment. This study aims to propose an intuitive statistical processing method for analyzing the usability of game-type educational contents in terms of form, for popular games that have been released as a basis for analyzing the user experience environment. In particular, because the game industry has a sufficient number of similar examples, it is possible to conduct research based on big data and to use them for immediate decision-making between multiple co-developers through the analysis method proposed by the research. It is expected to become an analytical model that can communicate with other industries because it is effective in securing data sources.

키워드

참고문헌

  1. Staffan Persson, Hairong Wei, Jennifer Milne, Grier P. Page, and Christopher R. Somerville, "Identification of Genes Required for Cellulose Synthesis by Regression Analysis of Public Microarray Data Sets," Proc.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vol. 102, no. 24, pp. 8633-8638, 2005.
  2. Uwe Scherf, Francois Collin, Yasmin D. Beazer‐ Barclay, Terence P. Speed, Kristen J. Antonellis, Bridget Hobbs, and Rafael A. Irizarry, "Exploration, normalization, and summaries of high density oligonucleotide array probe level data, Biostatistics," Oxford University Press, vol. 4, no. 2, pp. 249-313, 2003.
  3. 윤봉식, 조광수, "LED조명등기구 디자인 개발을 위한 형태적 속성 분석에 관한 연구", 스마트미디어저널, 제5권, 제4호, 103-110쪽, 2016년
  4. Velarde Joey, Kramhoft Claus, and Sorensen John Dalsgaard, "Global sensitivity analysis of offshore wind turbine foundation fatigue loads," Renewable Energy, vol. 140, pp. 177-189. 2019. https://doi.org/10.1016/j.renene.2019.03.055
  5. 류승호, "컨버전스 제품 개발을 위한 기능의 결합조건에 관한 연구," 스마트미디어저널, 제2권, 제4호, 48-49쪽, 2013년
  6. 목진형, 최익서, "과학관 전시에 있어서 몰입환경 최정화 연출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제13권 제6호, 251-262쪽, 2018년
  7. Yixuan Zhang, Kartik Chanana, Cody Dunne, "IDMVis: Temporal Event Sequence Visualization for Type 1 Diabetes Treatment Decision Support,"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vol. 25, no. 1, pp. 512-522, 2019.
  8. 2012World Economic Forum(WEF : 다보스포럼), Feb. 2012.
  9. Thomson Reuters Labs, Thomson Reuters Company, Canada. 2018.
  10. World Economic Forum on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2018.
  11. Ardiles Septuaginta Sopakuwa, Prabu Wardono and Bagus Handoko, "Pengaruh Elemen Desain Interior Terhadap Persepsi Maskulinitas (Studi Kasus: Barber Shop)," Journal of Visual Art and Design, vol. 8, no. 1, pp. 46-64, 2016. https://doi.org/10.5614/j.vad.2016.8.1.4
  12. Conggang Yu, and Lusha Zhu, "Product design pattern based on big data-driven scenario," Advances in Mechanical Engineering, vol. 8, no. 7, pp. 1-9, 2016.
  13. Garner, W. R., & Felfoldy, G. L. "Integrality of stimulus dimensions in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processing," Cognitive Psychology, vol. 1, pp. 225-231, 1970. https://doi.org/10.1016/0010-0285(70)90016-2
  14. Robert M. Nosofsky, "Attention, Similarity, and the Identification-Categorization Relationship," Journal of Expcrimmatal Psychology: General, vol. 115, no. 1, pp. 41-42, 1996.
  15. 양종열, "컨셉테스팅에서 제품디자인선호에 대한 디자인요소들의 영향," 디자인학연구, 제43권 제3호, 71-72쪽. 2001년
  16. 이충권, "빅데이터 정보시스템의 구축 및 사례에 관한 연구," 스마트미디어저널, 제4권, 제3호, 56-61쪽, 2015년 9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