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the Influential Factors on Mother's Child-rearing Anxiety Before and After Their Children's Entrance into Elementary School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 전후 어머니의 양육불안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신수희 (인하대학교대학원 아동복지학)
  • Received : 2019.08.15
  • Accepted : 2019.11.23
  • Published : 2019.12.30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tendencies and differences of mother's child-rearing anxiety before and after their children enter into elementary school,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child-rearing anxiety at each time, and thereby to seek a support plan at the time of transition.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1 mothers who participated in two surveys which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ir child entered into elementary school. Results: Firstly, mother's child-rearing anxiety before and after their children's entrance into elementary school was at a middle level, but increased significantly when they experienced their children's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 Secondly, mother's child-rearing anxiety, before their children's entrance into elementary school, was influenced by private education, the collection of educational information, cognitive ability, whether or not to develop a work status change plan, and birth order sequentially. Thirdly, child-rearing anxiety after their children's entrance into elementary school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child-rearing anxiety before their children's entrance into elementary school and the mother's employment.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point that it suggested the necessity for the cooperation between multiple systems, such as systematic and stepwise parenting education, the importance of offering information to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local governments, and for work- family support policy to prioritize children in order to support children's successful transition into elementary school.

Keywords

References

  1. 강경미 (2014). 놀이 중심 유치원에 다니는 취학 전 만 5세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학교준비도에 대한 이해와 고민 및 요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강인귀 (2018.3). 초등학교 입학, 친구.선생님과의 관계가 가장 걱정돼. MoneyS http://moneys.mt.co.kr/news/mwView.php?type=1&no=2018030807598080136&outlink=1에서 2018년 3월 15일 인출
  3. 권주원 (2003).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신념과 아동의 창의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권현경 (2018.4). 초등 1학년 둔 워킹맘 "학원으로 뺑뺑이 돌리는 게 맘 아파요". 베이비 뉴스. https://www.ibab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64270 에서 2018년 4월 21일 인출
  5. 권혜진, 정혜욱 (2015).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육아지원연구, 10(4), 79-96. doi:10.16978/ecec.2015.10.4.004
  6. 김경림 (2018.3). 3월 개학 시즌 어린이 교통사고 급증. 키즈맘. https://kizmom.hankyung.com/news/view.html?aid=201803070369o 에서 2018년 3월 15일 인출
  7. 김나현, 이은주, 곽수영, 박미라 (2013). 어린 아동을 둔 취업모의 양육부담감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9(3), 188-200. doi:10.4069/kjwhn.2013.19.3.188
  8. 김민진 (2008).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입학 초기 학교생활 적응에 대한 연구. 교육과학연구, 39(1), 181-210.
  9. 김성순 (2006). 유치원에서 초등학교로의 전이과정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수정, 곽금주 (2010). 초등일학년 학교적응의 예언 변인들 간 관련성 탐색 I. 인간발달연구, 17(4), 89-109.
  11. 김우경 (2012). 어머니 불안과 학령 전 아동의 불안/우울 및 외현화 문제행동간의 관계- 아동 애착 안정성의 조절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의철, 박영신 (2008). 한국사회와 교육적 성취: 한국 청소년의 학업성취에 대한 심리적 토대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4, 63-109.
  13. 김창복, 이신영 (2013). 자녀의 초등학교 전이 및 적응에 대한 어머니들의 이야기. 어린이미디어연구, 12(3), 319-350.
  14. 김해선 (2010). 장애유아의 초등학교 전이과정에 대한 부모 인식 조사. 강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남혜련 (2000).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학부모 역할에 관한 연구.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박선영 (2016. 3). 초등입학 의무휴직을 許하라. 경력단절의 최대 난코스 돌파하려면. 한국일보.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603020458175264에서 2018년 3월 14일 인출
  17. 박애경 (2015). 어머니의 양육불안과 유아의 우울간의 상관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9(5), 375-392.
  18. 서주현, 김진경 (2012).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영유아보육학, 73, 101-121.
  19. 소언주, 도현심 (2001). 어머니의 분리불안: 어머니의 특성, 아동의 초기 기질 및 과보호적 양육행동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9(11), 209-222.
  20. 손서희, 이재림 (2014). 미취학 자녀를 둔 취업모의 경제활동 중단 의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2(3), 157-177. doi:10.7466/JKHMA.2014.32.3.157
  21. 송명숙 (2006). 취학직전 유아기 자녀 교육에 대한 부모의 신념과 참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송복순 (2014). 초등학교 1학년 학부모의 전환교육에 대한 이해. 초등교육학연구, 21(2), 39-55.
  23. 안미란 (2009). 서울 사교육 과열지역 초등학생의 학습동기 유발과 스트레스 비교.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안지영 (2001).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스가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어성식 (2013). 사교육 학습이 수업 집중도와 성적 향상 지각에 대한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위지희 (2014). 양육불안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7. 육아정책연구소 (2017). 초등자녀 양육지원 방안(연구보고 2017-13).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http://www.kicce.re.kr에서 2018년 3월 14일 인출
  28. 윤미란 (2012). 초등학교 1학년 아동과 학부모의 경험에 대한 이해.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이윤미 (2007). 유치원에서 초등학교 1학년으로의 전이경험(transition experience) 연구에 대한 이론적 배경 고찰. 초등교육학연구, 14(1), 117-134.
  30. 장우귀 (2012). 초등학교 입학 전후 아동과 어머니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영향과 변화: 종단분석.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장유진 (2016). 어머니의 불안, 심리적 통제 양육과 성취관심이 유아의 과제 재도전 반응에 미치는 영향: 과제수행 효능감의 매개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2.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2018. 4). [정책 참고자료] 온종일 돌봄체계 구축, 운영계획. https://www.betterfuture.go.kr/cop/bbs/anonymous/selectBoardList.do에서 2018년 4월 5일 인출
  33. 조영희 (2014). 초등학생 방과후 돌봄 서비스 분석과 개선방안.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1), 141-162.
  34. 지성애, 정대현 (2006). 유아의 초등학교 적응 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0(1), 207-227.
  35. 천혜영 (2011). 어머니의 불안과 우울 및 양육스트레스가 어머니와 영유아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최수현 (2016. 3). 초등 1학년 3월이 고비? 워킹맘에겐 골든타임. 조선닷컴.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3/16/2016031600022.html에서 2018년 3월 15일 인출
  37. 통계청 (2015). 2015년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부가항목 조사결과(맞벌이가구 및 1인 가구 고용현황). 대전: 공공누리.
  38. 통계청 (2016). 2016년 4/4분기 및 연간 가계동향. 대전: 공공누리.
  39. 편은숙 (2004). 영유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어머니 역할 인식과 자녀 양육스트레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한국교육개발원 (2015). 초등학교 취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과 지원 방안(연구보고 RR 2015-06). 충북: 한국교육개발원.
  41. 한지혜 (2004). 취학 전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조기교육열. 열린유아교육연구, 9(1), 219-251.
  42. Abidin, R. R. (1990).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The stress of parenting.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9(4), 298-301. doi: 10.1207/s15374424jccp1904_1
  43. Akazawa, K., Kinukawa, N., Shippey, F., Gondo, K., Hara, T., & Nose, Y. (1999). Factors affecting maternal anxiety about child rearing in Japanese mothers. Acta Paediatrica, 88(4), 428-430. doi: 10.1111/j.1651-2227.1999.tb01135.x
  44. Fan, X., & Chen, M. (2001). Parental involvement an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 metaanalysis.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3(1), 1-22. doi:10.1023/A:1009048817385
  45. Fantuzzo, J., Tighe, E., & Childs, S. (2000). Family involvement questionnaire: a multivariate assessment of family particip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2(2), 367-376. doi:10.1037/0022-0663.92.2.367
  46. Lillejord, S., Borte, K., Halvorsrud, K., Ruud, E., & Freyr, T. (2015. Dec). Transition from kindergarten to school: A systematic review. Retrived March 13, 2018 from http://www.eippee.eu/cms/Portals/41/Cache/PDFs/EIPPEE%202015%20Presentation%20RCN.pdf?ver=2016-04-23-122500-213
  47. McLeod, B. D., Weisz, J. R., & Wood, J. J. (2007). Examining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ing and childhood depression: A meta-analysis. Clinical Psychology Review, 27(8), 986-1003. doi:10.1016/j.cpr.2007.03.001
  48. Miller, S. A. (1988). Parents’beliefs about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59(2), 259-285. doi:10.2307/1130311
  49. OECD (2017). Starting Strong V: Transitions from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to Primany Education. Paris: OECD Publishing. doi:10.1787/9789264276253-en
  50. Okagaki, L., & Sternberg, R. J. (1993). Parental beliefs and children's school performance. Child Development, 64(1), 36-56. doi:10.1111/j.1467-8624.1993.tb02894.x
  51. Rubin, K. H., Coplan, R. J., & Bowker, J. C. (2009). Social withdrawal in childhood. Annual Review of Psychology, 60, 141-171. doi:10.1146/annur ev.psych.60.110707.163642
  52. Weissman, M. M., Feder, A., Pilowsky, D. J., Olfson, M., Fuentes, M., Blanco, C., et al. (2004). Depressed mothers coming to primary care: Maternal reports of problems with their children.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78(2), 93-100. doi:10.1016/S0165-0327(02)003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