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Product Safety and Air Supply Agencies

제품안전유공기관 평가지표개발에 관한 연구

  • 굴누라 (남서울대학교 일반대학원)
  • Received : 2019.05.07
  • Accepted : 2019.06.20
  • Published : 2019.06.30

Abstract

The primary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proper indicators for evaluating and selecting an organization that contributes product safety in his industry. The indicators of product safety include input, process, and output in the sequences of product safety activities and systems. The indicators are proposed by the side of measurable and unmeasurable index. In detail, the indicators are consist of 3 parts - product safe management, efforts for product safety and the performance of product safety. The indicators are itemized by size of enterprise (large, medium and small size) due to the difference of their system and management capability of product safety. To get the indicators reasonably, the opinions of experts and VOC of the industrial field are considered. And the indicators are also divided by job position and level(an executive vs. worker). The items of indicators are 20 and the score is 200, that are the same whichever the case may be. The indicators are useful tools for selecting a person who serves the development of product safety in his industry.

본 연구의 주요 목표는 업계에서 제품 안전에 기여하는 조직을 평가하고 선정하기 위한 적절한 지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제품 안전 지표는 제품 안전 활동 및 시스템의 순서에 입력, 프로세스 및 출력을 포함하며, 그 지표들은 측정 가능하고 측정 불가능한 지수의 측면에서 제안된다. 세부 지표는 제품 안전 관리, 제품 안전을 위한 노력, 제품 안전성능 등 3가지 부분으로 구성된다. 이 지표들은 시스템 및 제품 안전의 관리 능력의 차이로 인해 기업 규모(대, 중, 소)별로 항목별로 구분된다. 지표를 합리적으로 얻기 위해 산업분야의 전문가 의견과 VOC를 검토한다. 그리고 직급과 수준(간부 대 노동자)에 따라 구분한다. 지표의 항목은 20개, 점수는 200개로 어느 경우든 동일하다. 지표들은 그의 산업에서 제품 안전의 발전에 기여하는 인력을 선택하는데 유용한 도구로 사용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창남(2012), 기업의 안전품질활동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대학원.
  2. 김기국(1998), 국가과학기술통계․지표체계도 구상, 과학기술정책관리연구소, 서울.
  3. 김병목, 오세홍(2003), 주요 선진국의 과학기술지표 체계 비교분석 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
  4. 안혜린(2009), 국가과학기술경쟁력 종합분석 및 대응전략 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
  5. 오동훈(2006),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제도 개선을 위한 세부 기획 및 성과지표 개발 연구, 과학기술부, 서울.
  6. 원동규, 우선희, 이용호(2005), 국가 R&D의 성과분석론,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서울.
  7. 홍형득(2001), "공공연구개발 프로그램 평가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메카니즘 비교연구," 한국정책학회보, 10(2), 1-21.
  8. Wessner, C. W.(1999), The Advanced Technology Program: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National Research Council.
  9. Worthen, B., J. Sanders, and J. Fitzpatrick(1997), Program Evaluation-Alternative Approaches and Practical Guidelines, Longm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