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근린단위 녹색건축인증 평가체계 개발

Development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Framework for Urban Neighborhood Scale Development

  • 정승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스마트시티연구센터)
  • 투고 : 2019.10.15
  • 심사 : 2019.11.11
  • 발행 : 2019.12.28

초록

건축물 차원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고 환경부하를 줄여 에너지 사용과 탄소배출을 저감하기 위한 목적으로 세계 각국에서 녹색건축인증이 시행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2년부터 건축물만을 대상으로 녹색건축인증인 G-SEED를 시행하고 있으나 외국의 경우 평가대상을 건축물에서 근린단위, 도시, 기반시설로 확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 외부 공간인 근린규모로 평가대상을 확대한 녹색건축인증제도의 구축방향 수립을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평가체계 수립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정의 및 목표, 평가체계 구분, 적용범위, 평가항목, 평가방식 및 등급, 관련제도와의 관계 등의 비교항목을 설정하고 대표적인 근린단위 녹색건축인증기준인 LEED-ND(미국), BREEAM Communities(영국), CASBEE-UD(일본)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근린단위 녹색건축인증을 위한 평가범위, 대상, 평가항목 수립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is being implemented in various countries around the world for the purpose of securing sustainability and reducing energy use and carbon emissions. Korea has been implementing G-SEED, a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for buildings since 2002, but in foreign countries, the evaluation target has been expanded from buildings to neighborhood units, cities, and infrastructur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Korean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in terms of neighborhood scale. In order to make Korean certification scheme for neighborhood communities, three major international certification systems (BREEAM Communities, LEED-ND, and CASBEE-UD) were compared. Comparison was executed about definitions and goals, certification system and range, certification categories, and regulation relationship by literature review. Based on the results, the evaluation system proposal including the scope, subjects, and items for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in Korea was proposed.

키워드

참고문헌

  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18 녹색건축 인증 연차보고서, 2018.
  2. 신동규, 한경훈, "국내외 친환경공동주택 인증시스템의 평가지표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제23권, 제1호, pp.197-204, 2007.
  3. 윤철재, "일본 CASBEE-UD 를 통해 본 도시개발 프로젝트에 대한 친환경평가수법의 구성체계와 활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제25권, 제9호, pp.249-256, 2009.
  4. 이재혁, 변혜선, 제해성, "CASBEE 시스템을 적용한 택지개발사업의 지속가능성 평가모델 개발," 도시설계, 제10권, 제4호, pp.83-98, 2009.
  5. 엄선용, 송옥희, 이명훈,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을 위한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47권, 제1호, pp.19-31, 2012.
  6. 유광흠, 홍성덕, 진현영, 신민종, "친환경 근린개발 평가인증체계 개발을 위한 평가항목 도출," 도시설계, 제13권, 제6호, pp.41-54, 2012.
  7. 한주형, 이상호, "친환경 건축.도시인증제도 트렌드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표준인증제도 개발방향 분석 연구," 도시설계, 제14권, 제5호, pp.79-96, 2013.
  8. 김홍배, 박준화, "저탄소 도시개발을 위한 녹색인증기준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48권, 제2호, pp.281-293, 2013.
  9. BRE, BREEAM Communities Technical Manual: SD202 Version 2012 Issue 0.1, 2013.
  10. LEED-ND reference guide, http://www.usgbc.org/guide/nd
  11. USGBC, LEED v4 for Neighborhood Development, 2016.
  12. IBEC, CASBEE for Urban Development Technical Manual (2014 Edition),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