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국내 사회적 기업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의 영향요인 분석

A Study on the Effects of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of Disabled Workers in Social Enterprises

  • 오동록 (서울한영대학교 재활복지학과)
  • 투고 : 2019.10.07
  • 심사 : 2019.11.11
  • 발행 : 2019.11.28

초록

2017년 기준 1,825개 인증 사회적기업 가운데 장애인을 고용한 곳은 593(32.5%)에 이르지만 사회적기업 재직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성과와 직무만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2019년 3월에서 6월까지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하는 사회적 기업에 근무하는 장애인 근로자 203명을 대상으로 장애인 근로자의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임금 및 처우, 상사관계, 동료관계가 직무성과와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 탐색적으로 검정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첫째,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요인은 자기효능감과 동료관계로 국내 사회적 기업에 종사하는 장애근로자가 인지하는 동료들과의 신뢰와 존중, 직무와 관련한 어려움 발생 시 서로 도움을 주고받으며 직장동료와의 편견 없이 직무를 열심히 수행하는 것이 직무성과로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직무만족에는 현재 장애인 근로자가 인지하는 능력과 기술, 현재작업량이 나의 능력에 맞고 회사의 임금을 결정하고 현재의 월수입으로 이전보다 안정된 생활을 할 수 있다는 인식이 직무만족으로 이어졌다. 셋째, 상사와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일의 도움을 받거나 일을 격려하고 나의 자율성을 인정해 줄 때, 직속상사에 대하여 개인적인 신상문제에 대한 관심 등은 직무만족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장애인이 인지하는 사회적 지지는 업무성과나 직무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보이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도 필요하다 하겠다.

This study inspected 203 employees with disabilities who are working in social enterprises based in Seoul and Gyeonggi-do from March to June 2019 in order to find out the factors of self-efficacy, social support, wages and welfare, relationship with upper management and co-worker relationships which influence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of disabled workers. 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that positively affect work performance are self-efficacy and co-worker relationships. It was shown that trust and respect that disabled workers working in domestic social corporations perceive while diligently performing the work without any bias and getting from coworkers led to good work performance. Second, when the current wage was determined by the employee's perceived ability, skill and current workloads that fit to their ability, the workers expressed job satisfaction. Moreover, job satisfaction by the employees was followed by the perception of the possibility of living a more stable life with the current monthly income. Third, upper managements' care on personal issues, acknowledgment of autonomy and support through communication have led to job satisfaction among the employees. Lastly, considering the research result in which the social support that the disabled workers perceive does not show any positive effect on work performance or work satisfaction, it can be concluded that there is a need for a change in the social perception of disabled workers.

키워드

참고문헌

  1. 조상미, 권소일, 양준영, "조직요인은 사회적 기업에서 근무하는 장애인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가?,"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9권, 제3호, pp.1-32, 2017. https://doi.org/10.22944/KSWA.2017.19.3.001
  2. 최선아, 사회적 기업 내 근로장애인의 직무만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3. 문필동, 이정화, "장애인근로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직업재활연구, 제22권, 제2호, pp.77-96, 2012.
  4. 고용노동부, "장애인 고용률 현황," 보도자료, 2017.
  5. 한국장애인개발원, "장애인고용 사회적 기업 사례 연구," 한국장애인개발원, 2015.
  6. 윤미리, 남예지, 홍세희,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자기효능감과 장애수용 간의 구조관계 검증: 직무몰입과 일자리 만족도의 직렬다중매개모형 분석을 중심으로," 장애와 고용, 제29권, 제2호, pp.105-134, 2019.
  7.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장애인이 지각한 사회적 차별 경험이 직업유지에 미치는 영향, 세정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8. 박자경, 김종진, 강용주, "장애인근로자 직무만족 분석," 장애와 고용, 제20권, 제1호, pp.5-32, 2010.
  9. 김태형, 손인봉, "장애인 직업재활 시설 종사자가 지각한 감정노동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장애와 고용, 제29권, 제2호, pp.165-189, 2019.
  10. 윤미리, 남예지, 홍세희,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자기효능감과 장애수용 간의 구조관계 검증: 직무몰입과 일자리 만족도의 직렬다중매개모형 분석을 중심으로," 장애와 고용, 제29권, 제2호, pp.105-134, 2019.
  11. 강도명, 장애인 직업재활 서비스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에 관한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2. 김경희, 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책무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13. R. J. Patti,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 Managing Social Programs in a Developmental Context," Englewood Cliffs. NJ : Prentice-Hall, 1983.
  14. 임안나, 박영숙, "중고령자의 사회적 지지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3호, pp.319-328,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3.319
  15. 이유리, 최희철, "정신장애인 가족의 보호부담과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 가족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1호, pp.229-241,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11.229
  16. 박자경, 사회적 지지와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 관계분석, 수시과제보고서, pp.1-27, 2009.
  17. 김민영, "장애인 임금 근로자의 직무만족 영향요인 분석," 장애와 고용, 제27권, 제1호, pp.177-202, 2017.
  18. 이은진, "공무원 전문성 제고 관련 인사제도 연구," 한국정책연구, 제18권, 제3호, pp.25-52, 2018.
  19. 박철용, "리더십, 인사제도, 성과관리, 교육훈련이 비전, 의사소통,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 산업 학회 논문지, 제11권, 제2권, pp.181-192, 2017.
  20. 박희준, "임금의 연공성은 왜 생기는가?," 산업관계연구, 제28권, 제4호, pp.131-150, 2018.
  21. 조성혜, "장애인 직업재활시설과 근로장애인에 대한 최저임금 배제," 노동법논총, 제41호, pp.253-311, 2017.
  22. 유완식, 장애인근로자 저임금 실태 분석, 기본과제보고서, pp.1-106, 2018.
  23. 김대삼, "사회복무요원의 조직문화 특성이 사회복지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상사-부하간 교환관계의 조절효과," 한국군사회복지학, 제6권, 제1호, pp.35-65, 2013.
  24. 박지연, 일과 생활의 조화와 상사-부하 관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직장에서의 행복을 매개변인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25. 이정주, 백학영, 이지혜, 장창엽, 장애인고용 사회적기업 실태조사, 기본과제보고서, pp.1-195, 2010.
  26. 황정은, 정무성, "사회적 기업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요인에 관한 연구," 장애와 고용, 제21권, 제2호, pp.247-271, 2011.
  27. 소병삼, 장애인근로자의 장애유형별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성과에 관한 연구, 금오공과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28. Damon, "The social world of the child," San Francisco: Freeman & Co, pp.78-80, 1977.
  29. K. Kram and L. Isabella, "Mentoring alternatives: The role of peer relationships in career development,"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28, pp.100-132, 1985.
  30. http://www.hani.co.kr/arti/PRINT/900055.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