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사용자 모션 인식 기반 키오스크 전용 인터랙티브 미디어 플레이어 개발

Development of Interactive Media Player for Kiosk with User Motion Detection

  • 송복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능화융합연구소 스마트ICT융합연구단 부산공동연구실) ;
  • 김형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능화융합연구소 스마트ICT융합연구단 부산공동연구실) ;
  • 정현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능화융합연구소 스마트ICT융합연구단 부산공동연구실) ;
  • 최연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능화융합연구소 스마트ICT융합연구단 부산공동연구실)
  • 투고 : 2019.09.09
  • 심사 : 2019.10.31
  • 발행 : 2019.11.28

초록

오늘날의 미디어는 디지털 방송이 본격적으로 발전하고 또 우리의 삶에 녹아들고 있다. 특히 인터랙티브 미디어는 컴퓨터를 기반으로, 기존처럼 시간에 맞춰 주어진 미디어를 눈으로만 시청하기보다, 미디어를 직접 따라 하거나 미디어의 선택지를 고르는 등 사용자와 미디어의 상호 작용을 통해 차별화된 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는 형태로 확장된 미디어이다. 최근에는 이를 활용해, 특정 센서 및 디바이스가 부착된 옥외 광고나 전시관 등에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콘텐츠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저가의 모션 인식 디바이스가 개발되어, 신체에 접촉하지 않으면서 사용자의 모션 정보를 인식하여 다양한 인터랙션을 적용한 미디어를 체험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논문은 특정 프로그램 설치가 없이 웹서비스 환경에서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고 영상을 제어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 미디어 플레이어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키오스크 형태에서 탑재된 립모션(Leap Motion) 장비에 맞는 다양한 사용자 동작 인식 범위를 설정하고 사용자 동작 인식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인터랙티브 관광·교육·영화 콘텐츠등 다양한 인터랙티브 미디어를 공공의 장소에 설치 가능한 키오스크에 탑재하여 체험할 수 있다.

These days, with the advent of digital broadcasting, media environment offers users an opportunity to enjoy differentiated contents in a more aggressive fashion through user-media interactions based on computer technology. In fact, the development of contents which can induce spontaneous acts from users such as outdoor ads which use certain sensors and devices and exhibition halls has been active. With the development of low-price motion recognition devices, people have been able to enjoy diverse interaction-applied media by recognizing users' motion data without body contact. In this paper, we developed an interactive media player that can recognize the user's motion and control the video in the web service environment without installing a specific program. In addition, we set user motion recognition range and developed a user motion recognition algorithm suitable for the Leap Motion equipment installed in the kiosk.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experienced by various interactive media such as interactive tourism, education, and movie contents in kiosks that can be installed in public places.

키워드

참고문헌

  1. H. Jenkins, Convergence Culture : Where Old and New Media Collide , New York Univ Pr, 2008.
  2. 이라겸, 유현정, "디지털 사이니지를 활용한 인터랙티브 광고 제안에 관한 연구," 한국 HCI학회 학술대회, 제3권, 제2호, pp.876-879, 2018.
  3. 강지영, "웨어러블 밴드를 활용한 감성 반응형 인터랙티브 VR 영화의 연구," 한국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4호, pp.707-715, 2019.
  4. 이현정, "인터랙티브 미디어에 적용되는 인터랙션 의미의 범주화,"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8호, pp.170-178,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8.170
  5. 오민정, 서용덕, "핸드 제스처(Hand Gesture)인식 기반의 파티클 시스템(Particle System)을 이용한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 작품 개발,"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39-41, 2018.
  6. 최준환, 김준, "플로팅 홀로그램을 활용한 인터랙티브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작 연구,"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9호, pp.1625-1630, 2018.
  7. 송복득, 김상윤, 김채규 "사용자와 미디어 사이의 상호작용 기능 제공 기반 영상 창작 시스템 설계 및 구현,"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제19권, 제5호, pp.932-938, 2016. https://doi.org/10.9717/kmms.2016.19.3.932
  8. 최연준, "모두비(MODUVI):시각화 된 시나리오 기반의 인터랙티브 미디어 창작 플랫폼,"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공동 학술 대회(추계), pp.1-3, 2018.
  9. http://www.raptmedia.com/, 2019.03.05.
  10. https://helloeko.com/s/interlude/, 2019.03.28.
  11. 해외 인터랙티브 TV 콘텐츠의 현화과 전망, 한국콘텐츠진흥원, 2018(6).
  12. http://www.json.org/index.html, 2019.03.05.
  13. http://www.leapmotion.com/, 2019.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