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Results of Excavation Reports from 2014 to 2016

발굴조사보고서 평가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2014년~2016년도 보고서 평가결과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8.03.29
  • Accepted : 2018.05.10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Although the evaluation system for excavation reports has been in operation for over 10 years, there has been no research on the evaluation system.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of the evaluation system, and secondly, it analyzed the evaluation factors affecting the evaluation results. As a result of institutional analysis, the present evaluation result is being utilized in PQ, and it is suggested that the evaluation subject institution is limited to the excavation institution, which may cause disadvantages to the participating museums. We also pointed out that a small number of jury members are currently evaluating the report and therefore need to reinforce it to ease the burden of assessment. As a result of evaluation factor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target score was lower but the actual effect score was higher. In addition, it suggested that the indicators should be improved because the report system, headings, natural archaeological environment, scope and method of survey, and editing and printing indicators are less influential than other indicators. In addition, we conducted a regression analysis of each group by examining the appropriateness of classification amounts according to current excavation cos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ost of excavation in the second and third groups in 2015 and 2016 was found to affect the score. This emphasized the need for an in-depth approach to estimating the taxonomic value of the group, which is inconsistent with the initial objective of not affecting the assessment results according to excavation costs.

발굴조사보고서 평가 제도가 시행된 지 10여년이 되었지만 평가 제도에 대한 분석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첫째, 평가 제도의 변천에 대해서 고찰하였고, 둘째, 평가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평가 요인 분석을 진행하였다. 제도 분석 결과 현재 평가 결과는 PQ에서 활용되고 있는데 평가 대상 기관은 발굴기관으로 한정되어 있어 입찰에 참여하는 박물관 등에 불이익을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또한 현재 소수의 심사위원이 보고서를 평가하기 때문에 평가 부담의 완화를 위해서 증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평가 요인 분석 결과, 가산점이 명목적 점수는 낮지만 실질적 영향 점수가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보고서 체계, 머리글, 자연고고환경, 조사범위와 방법, 편집 인쇄 지표의 경우 타 지표에 비해 영향력이 낮고 만점에 가깝기 때문에 이에 대한 지표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또한, 현재 발굴 비용에 따른 군별 분류 금액의 적정성을 검토하여 연도별 군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 결과 2015년, 2016년의 경우 2군과 3군에서 발굴 비용이 평가 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발굴 비용에 따라 평가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위한 최초의 목적과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군별 분류 금액 산정 시 심도 있는 접근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국립문화재연구소

References

  1. 문화재청, 2010-2016, 발굴조사보고서평가
  2. 문화재청, 2017, 매장문화재 보호 및 조사에 관한 법령집
  3. 문화재청, 2017, 주요업무 통계자료집
  4. 문화재청, 2014, 매장문화재 보호 및 조사에 관한 법령집
  5. 국립문화재연구소, 2012, 발굴보고서 품질향상이 발굴조사(현장조사)에 미치는 영향 연구
  6. 한국법제연구원, 2010, 매장문화재 발굴 제도 개선에 관한 입법평가
  7. 윤기웅, 공동성, 2015, 사업평가결과와 그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3598-3629
  8. 박주형, 김병규, 윤기웅, 2017, 지방자치단체 재정사업 자율평가 결과분석:경상북도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제26권 제1호
  9. 윤기웅, 공동성, 2008, 재정사업 자율평가제도의 평가 : 2005-2007년 평가결과에 대한 종합분석 한국행정연구 17(2) : 89-113
  10. 김재호, 김창규, 2002, 문화재 보호법제의 연구 법학연구, 제13권, 제1호.
  11. V. Kane, 1974, The Independent Bronze Industries in the South of China Contemporary with the Shang and Western Chou Dynasties. Archives of Asian Art, Vol.28
  12. R. Bagley, 1977, P'an-lung-ch'eng: A Shang City in Hupei, Artibus Asiae, Vol.39
  13. Jianjun Mei, Kunlong Chen, Wei Cao, 2009, Scientific Examination of Shang-Dynasty Bronzes from Hanzhong, Shaanxi Province, China.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36 (2009), pp.1881-1891 https://doi.org/10.1016/j.jas.2009.04.017
  14. Kunlong Chen, Thilo Rehren, Jianjun Mei, and Congcang Zhao, 2009, Special Alloys from Remote Frontiers: Scientific Study of the Shang Bronzes from Hanzhong, Southwest Shaanxi.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36(2009), pp. 2108-2118 https://doi.org/10.1016/j.jas.2009.04.016
  15. P. Bray, 2009, Exploring the social basis of technology: re-analyzing regional archaeometric studies of the first copper and tin-bronze use in Britain and Ireland, unpublished PhD Thesis
  16. P. Bray, and A. M. Pollard, 2012, A new interpretative approach to the chemistry of copper-alloy objects: source, recycling and technology. Antiquity, Vol.86. pp.853-867 https://doi.org/10.1017/S0003598X00047967
  17. A. M. Pollard, P. Bray, C. Gosden, 2014, Is there something missing in scientific provenance studies of prehistoric artefacts? Antiquity, Vol.88. pp.625-631 https://doi.org/10.1017/S0003598X00101255
  18. R. Bagley, 2014, Erligang bronzes and the discovery of the Erligang culture in Art and archaeology of the Erligang civiliza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