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유적탐색을 위한 드론과 항공사진의 활용방안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drones and aerial photographs for searching ruins with a focus on topographic analysis

  • 투고 : 2018.02.18
  • 심사 : 2018.03.13
  • 발행 : 2018.06.30

초록

현재 국내 및 국외를 아울러 무인항공기(Unmanned Aerial Vehicle, UAV)의 관심이 상당히 높아졌다. UAV에는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가 탑재되어 있어 고고학 조사가 불가능한 지역의 접근에 유리하다. 더구나 항공사진 촬영을 통해 지형을 모델링하여 3차원 공간영상정보를 취득할 수 있어, 조사 대상지역의 지형에 대한 해석을 구체화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과거 항공사진과의 비교 검토를 통해 지형의 변화모습을 파악한다면 유적의 존재 여부의 파악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이러한 유적 탐색을 위한 지형모델링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접근할 수 있다. 우선 드론을 이용한 현재 지형의 항공사진을 취득한 후 이를 영상정합하고 후처리 과정을 진행하여 완성하는 방법과 과거 항공사진을 이용한 영상접합과 지형모델링을 완성하는 방법 등이다. 이 과정을 거쳐 완성한 모델링 지형은 여러 분석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데, 현재의 지형모델링에서는 DSM과 DTM, 고도분석 등의 지형분석을 실시하여 형질변경 및 미지형의 모습을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과거 항공사진의 지형모델링에서는 원지형과 저습지 내 매몰미지형의 모습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이를 실제 조사된 내용과 비교하고 각각의 지형모델링 자료를 중첩하여 살펴보게 되면 구릉지형에서는 형질변경의 모습을, 저습지형에서는 매몰된 미지형의 모습을 볼 수 있어 유적의 존부를 파악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처럼 항공사진을 이용한 모델링 자료는 고고학현장에서 조사가 불가한 사유지나 광범위한 지역의 지형에 유적의 존재여부를 파악하는데 유용하며, 추후 유적의 보존처리와 관련한 논의에도 적극 이용될 수 있다. 나아가 과거와 현재의 지형자료의 비교를 통해 지적도나 토지활용도 등의 주제도로 제공이 가능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고고학 자료의 존재유무 파악을 위한 유적 탐색의 새로운 조사방법론으로 기능할 수 있다.

Unmanned aerial vehicles (UAV) have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both at home and abroad. The UAV is equipped with a camera that shoots images, which is advantageous for access to areas where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are not possible. Moreover, it is possible to acquire three-dimensional spatial image information by modeling the terrain through aerial photographing, and it is possible to specify the interpretation of the terrain of the survey area. In addition, if we understand the change of the terrain through comparison with past aerial photographs, it will be very helpful to grasp the existence of the ruins. The terrain modeling for searching these remains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First, we acquire the aerial photographs of the current terrain using the drone. Then, using image registration and post-processing, we complete the image-joining and terrain-modeling using past aerial photographs. The completed modeled terrain can be used to derive several analytical results. In the present terrain modeling, terrain analysis such as DSM, DTM, and altitude analysis can be performed to roughly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 in the form, quality, and micro-topography. Past terrain modeling of aerial photographs allows us to understand the shape of landforms and micro-topography in wetlands. When verified with actual findings and overlapping data on the modelling of each terrain, it is believed that changes in hill shapes and buried Microform can be identified as helpful when used in low-flying applications. Thus, modeling data using aerial photographs is useful for identifying the reasons for the inability to carry out archaeological surveys, the existence of terrain and ruins in a wide area, and to discuss the preservation process of the ruins.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various themes, such as cadastral maps and land use maps, through comparison of past and present topographical data. However, it is certain that it will function as a new investigation methodology for the exploration of ruins in order to discover archaeological cultural properties.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한국고고환경연구소

참고문헌

  1. 김광호, 2015, 무인항공 사진측량을 이용한 고해상도 실감모형 제작 충북대학교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승민, 2014, UAV를 이용한 경관분석 및 활용방안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제32권 제3호, 한국전통조경학회
  3. 김시로, 2015, 신동향 UAV촬영 유적조사 및 활용 신기법, 한국매장문화재협회.
  4. 김지항, 2015, 초경량 무인비행장치를 활용한 공간정보 취득에 대한 연구 강원대학교 정보과학.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박대순, 2017, 사진실측의 이해 발굴보고서 작성법, 한국매장문화재협회
  6. 이수암.김태정.김재인.김민철.장휘정, 2015, UAV영상을 활용한 수변구조물의 DSM생성 및 정확도 분석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 13 No 2, 大韓遠隔探査學會
  7. 李弘鍾.高橋 学, 2008, 韓半島 中西部地域의 地形環境 分析, 서경문화사
  8. 이홍종.안형기, 2016, 삼성동토성 위치추정 연구 야외고고학 제27호, 한국매장문화재협회
  9. 최연웅.이근상.유지호, 2015, 수치사진측량에서의 UAV자료 활용연구 한국지적정보학회지 17(3), 한국지적정보학회
  10. 한국고고환경연구소.한국토지주택공사, 2014, 燕岐 羅城里遺蹟
  11. 한국고고환경연구소, 2016, 세종 전의면 관정리 616-2번지 외 8필지 태양광발전 사업부지 내 문화재 지표조사
  12. 한국매장문화재협회, 2015, 유적조사 및 활용 신기법-2015년도 매장문화재 전문교육
  13. 許義行, 2017, 풍납토성의 구조와 내부 공간구획의 고지형적 접근 湖西考古學 38, 호서고고학회
  14. 허의행, 2017, 지표조사 실습 지표조사 업무의 이해, 한국매장문화재협회
  15. Jang, H. S., Lee, J. C., Kim, M. S., Kang I. J. and Kim, C. K.(2004). Construction of national heritage management system using RC helicopter photogrammetric surveying system. International Archives of the Photogrammetry, Remote Sensing and Spatial Information Sciences, vol. XXX-A,B1-B8, Istanbul, Turk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