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Preparation for Death and Depression in Elders on Geriatric Quality of Life in Rural Communities

일 농촌지역 노인의 죽음준비도와 우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정미경 (보은군 보건소, 산대보건진료소)
  • Received : 2018.04.05
  • Accepted : 2018.06.14
  • Published : 2018.06.29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effects of preparation for death and depression on geriatric quality of life in rural communities and to identify whether preparation for death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geriatric quality of life. Methods: Data from 210 rural elders over 65 years of age were obtained through face-to-face interviews with the elders and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program. Results: Quality of life of elders who had prepared for death was lower than for elders who had not prepared for death. Elders with higher psychological preparation for death had a higher quality of life. Ritual preparation for death had negative effects but the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sychological preparation for death had a moderating effect 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for elders in the rural community. The explanation power was 36.1% while ritual preparation for death had no moderating effect on either depression or quality of life.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provide rural elders with intervention programs designed to improve positive thinking and attitudes to living considering religion in the process. Intervention programs to improve psychological preparation for death are also required to alleviate depression.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세계와 한국의 인구현황 및 전망 [Internet]. 서울: 한국통계청. 2015[cited 2016. 2. 15]
  2. OECD 대한민국 정책센터. 한 눈에 보는 OECD 보건의료 2013. 아이프리넷, 2014 ; p.24-25.
  3. 이성진. 노인의 복합문제 해결을 위한 서비스 연계방안- 수입.학대.우울.자살문제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015; 35(2): 355-373.
  4. 손신영. 농촌노인과 도시노인의 삶의 질과 관련요인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노년학. 2006; 26(3): 601-615.
  5. 유경아, 김영란, 박창수, 이태용. 고용상태 변화와 고용지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8; 19(1): 251-259. https://doi.org/10.5762/KAIS.2018.19.1.251
  6. 서인균, 이연실. 노인의 학대경험과 자살생각간의 관계에 대한 우울의 매개효과 :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 비교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2015; 68: 7-35.
  7. 신창환. 삶의 특성이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010; 30(2): 453-469.
  8. 정경희 등 12. 정책보고서. 2014년도 노인 실태조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2014-61
  9. 이기영 등. 고령화 사회 농촌노인의 노동과 여가의 시간 배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06; 10(3): 131-148.
  10. 최아름, 정홍주. 노인의 삶의 질 결정요인에 관한 한일비교 연구. 보건과 사회과학. 2013; 33: 29-57.
  11. 김미령. 전기, 후기 여성노인의 삶의 질 및 영향요인 비교연구. 한국사회복지학 2006; 58(2): 197-222.
  12. 김숙경. 농촌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 한국노인복지학회. 2004; 23: 179-202.
  13. 최연희. 농촌 노인의 우울, 사회적지지 및 삶의 질과의 관계.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4; 15(2): 237-245.
  14. 유희옥. 중노년기의 죽음 불안태도 : 내세관.죽음준비도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성신여자대학교; 2004
  15. 김미순, 하춘광, 김효순. 내세관과 죽음준비도 및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011; 16(1); 111-136.
  16. 박형규, 변순옥, 정지웅. 임종교육서비스가 노인의 죽음태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2010; 48: 323-343.
  17. 전영기. 노년기 죽음불안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산정농촌. 2000; 1: 199-222.
  18. 문남숙, 남기민. 노인의 죽음준비도와 성공적 노화의 관계: 우울 및 죽음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008; 28(4): 1227-1248.
  19. 조맹제, 배재남, 서국희, 함봉진, 김장규, 이동우 등. DSM-III-R 주요우울증에 대한 한국어판 Geriatric Depression Scale(GDS)의 진단적 타당성 연구. 신경정신의학. 1999; 38(1): 48-62.
  20. 이형석 등 5. 노인삶의질척도(Geriatic Quality of Life scale)의 표준화. 한국심리 학회지.임상 2003; 22(4): 859-881.
  21. 이홍자. 농촌여성 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우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농촌간학회지. 2015; 10(1): 17-29.
  22. 김영근. 노인의 건강에 대한 인식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대구광역시 중심으로-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008; 16(3): 99-110.
  23. 하선미, 이정섭. 노인의 죽음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인간호학회지. 2017; 19(3): 165-172.
  24. 이현주, 강상경, 이준영. 노인 우울증에 대한 사회경제적 지위요인과 건강행태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008; 28(4): 1129-1145.
  25. 고정은, 이선혜. 노인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다층분석,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012; 40(1): 322-351.
  26. 이인정. 초고령 노인의 스트레스 요인과 대응방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2014; 34(4): 264-294.
  27. 신승배, 박지연. 여성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아시아여성연구. 2015; 54(2): 7-46.
  28. 이금자, 이현지. 노인 코호트에 따른 삶의 질 결정요인. 노인복지연구. 2008; 41: 159-182.
  29. 김동배, 채수진, 조완기. 당뇨노인의 건강증진행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 2009; 29(1): 101-116.
  30. 김경호, 김지훈. 노인의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008; 20(4): 95-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