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Seo Kyung-duk's a man of virtue and Ki(氣) philosophy through 'the dojookjang[bamboo cane], the buchae[fan], and the k?mungo[Korean lute]

'도죽장, 부채, 거문고'를 통해 본 서경덕의 선비적 풍모와 기철학적 특징

  • Received : 2018.10.10
  • Accepted : 2018.11.08
  • Published : 2018.11.15

Abstract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objects in various styles, but especially the poem[詩], the ode[賦], the inscription[銘] are remarkable. The word is not the mouth, but the mind and the soul. Therefore, if a person is in a relationship with an object that defines the person, what conversation with the object is the person's inner. So if you know what a person has been with things, you can imagine his outer surface, and you can get inner if you know what you talked about. Seo Kyung-duk who lived a poverty life, but can not live without things, so his things are not a thing, Seo Kyung-duk also recorded especially about the dojookjang[bamboo cane], the buchae[fan], and the $k{\breve{o}}mungo$[Korean lute] Seo Kyung-duk with the buchae, Seo Kyung-duk with the dojookjang, and Seo Kyung-duk with the $k{\breve{o}}mungo$. These are the pictures we can imagine. And I can draw Seo Kyung-duk to talk with those things. Seo Kyung-duk, who is reflected in the dojookjang, shows the reality of participating in the rescue of the people's hardships and the stubborn world. Seo Kyung-duk, who is reflected in the buchae, is a philosopher who explores the origin of existence with the appearance of realistic preachers who have to wash away the difficulties of the people. Seo Kyung-duk, who is reflected in the $k{\breve{o}}mungo$, is a philosopher who grasps Ki(氣) the phenomenon and the source, the immaterial and the material, the type and the intangible. Both the strings and non-strings are $k{\breve{o}}mungos$. The $k{\breve{o}}mungo$ is strong in ideology symbolizing the Confucianism ideological ideals, and Seok Kyung-duk is also in the extension line. Seo Gyeong-deok, who has seen through the dojookjang, the buchae, and the $k{\breve{o}}mungo$ has a realistic sense of realizing that he should worry about the pain of the world and fulfill a good world. He is a philosopher who pierces the root of existence and can be governed by the logic of Ki(氣).

동양적 전통에서는 다양한 문체로 사물과 대화할 수 있지만 특히 시(詩), 명(銘), 부(賦)가 그런 경향이 두드러진다. 말은 입이 하는 것이 아니라 마음, 영혼이 하는 것이다. 따라서 어떤 사물과 함께 있는지가 그 사람을 규정하는 겉이라면, 사물과 어떤 대화를 했는지는 그 사람의 속이다. 겉과 속은 분명 다르지만, 그렇다고 속없이 겉이 없고, 겉이 없이 속도 없다. 그래서 그 사람이 어떤 사물과 함께 했는지를 알면 그의 겉을 상상할 수 있고, 사물과 어떤 대화를 했는지를 알면 속에 들어가 볼 수 있다. 빈한한 삶을 살았던 서경덕이지만 사물 없이 살 수는 없기에 그의 사물이 전무하지는 않다. 서경덕은 여러 사물 가운데 도죽장, 부채, 거문고에 대해 특별하게 기록해 두었다. 부채를 든 서경덕, 도죽장을 짚은 서경덕, 거문고를 품고 있는 서경덕. 우리가 상상해볼 수 있는 그림들이다. 도죽장에 투영된 서경덕은 백성의 곤궁과 험한 세상을 구제해야 한다는 현실 참여적 모습을 보이고 있다. 부채에 비춰지는 서경덕은 백성의 어려움을 씻어줘야 하는 현실적 선비의 모습과 함께 존재의 근원을 탐구하는 철학자이다. 거문고에서 찾을 수 있는 서경덕은 현상과 근원, 체와 용, 형이상과 형이하, 유형과 무형을 일기(一氣)로 파악하는 기철학자이다. 도죽장, 부채, 거문고를 통해 본 서경덕은 세상의 아픔을 걱정하고 좋은 세상을 이루어야 한다는 현실감을 지닌 선비이고, 존재의 근원을 파고드는 철학자이며, 기(氣)의 논리로 요순의 통치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확신하는 이상가이기도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