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pretation of 'Hakyibulsajang (學而不思章)' on Analects of Confucius

『논어』 '학이불사장(學而不思章)' 고석(考釋) - 특히 수양방법을 중심으로 -

  • 김영호 (영산대학교 조리예술학부)
  • Received : 2018.07.15
  • Accepted : 2018.08.03
  • Published : 2018.08.15

Abstract

Confucius stressed both 'study (學)' and 'thinking (思)' but the two notions are complementary. To precisely measure the importance of the two, however, 'study' outweighs 'thinking.' Yet Confucius primarily states three steps on Analects of Confucius. In other words, Confucius mentioned two steps on 'Haksajang (學思章)' on the surface but it is actually composed of three steps. Then what is the step three? It is a critical issue to grasp the core of Confucius' idea. The ultimate goal of Confucius' idea is, as stressed by Cheng Yi (程伊川), to 'reach the realm of saint by learning,' which refers to a saint as an ideal human character. This paper is to examine three steps of 'oneness of study and thinking (學思合一)' as a way of Confucius' academic methodology to be the saint along with its structure. Saint, in a word, is characterized as 'communication (通).' It means communication through learning and thinking, which are the three steps of study(學)-thinking (思)-communication(通). Confucius emphasizes that this step also is a process itself (知) but it can be truly completed (dual structure) only by practice (行). Eventually, Confucius' academic methodology is of learning scriptures (學), thinking based on this learning (思) and practicing (行) based on this entire procedure (通). In other words, it is of a dual structure with three steps of 知 (study(學)-thinking(思)-communication(通))-practice(行).

공자는 "논어" '학사장(學思章)'에서 '학'과 '사' 둘 모두를 강조하였으니 양자는 상호 보완적인 관계이다. 그러나 엄밀하게 둘 사이의 경중을 따진다면 '사'보다는 '학'이 더 중요하다. 그런데 공자는 "논어"에서 주로 3단계를 말하고 있다. 즉 '학사장'에서 공자는 표면적으로 2단계를 말하였으나 실제로는 3단계로서 구성되어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그 3단계는 과연 무엇일까? 이는 공자사상의 핵심을 파악하는데 있어서 지극히 중요한 문제이다. 공자사상의 궁극적인 목표는 일찍이 정이천이 강조한 바와 같이 '배워서 성인에 이르는 것'이니 이상적인 인간상으로서의 성인이다. 본 논문은 그 성인이 되기 위한 공자의 수양방법으로서의 '학사합일(學思合一)' 3단계와 그 이중 구조까지 고찰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성인의 특성을 한마디로 말하면 '통(通)'이다. 즉 배우고 생각하여 통하는 것이니 이는 학- 사- 통의 3단계인 것이다. 또한 이 단계는 그 자체로서도 한 과정이지만(知) 더 나아가 행의 실천을 통해서만(行) 진정한 완성(이중 구조)임을 강조하였다. 결국 공자의 수양방법은 경전을 배우고(學) 이를 기초로 생각하며(思) 더 나아가 이 모두를 통한 바탕으로(通) 행이란 실천을 통해서(行)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지(학- 사- 통)- 행의 3단계, 이중구조인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영산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