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학논집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 제58호
- /
- Pages.201-243
- /
- 2018
- /
- 1598-5024(pISSN)
증산계 신종교와 유교, 도교의 죽음관 비교
Comparison of perspective on death accepted by New Religions of Jeungsan, Confucianism and Taoism
초록
한 종교의 죽음에 관한 이론을 살피는 작업은 바로 그 종교의 정체성과 그 특징을 읽어내기 위한 필수불가결의 과정이다. 또한 죽음관을 살펴보는 일은 인간 자신의 실제적인 삶의 문제에 종교가 어떻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관여해 왔는지, 또 관여하고 있는지, 앞으로도 어떻게 관여할 것인지, 그 중요한 단초를 보여준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 이 연구에서는 증산계 신종교의 죽음관과 유교, 도교의 죽음관을 비교 분석해보았다. 이들 간의 죽음관의 비교를 거쳐 증산계 신종교와 유교, 도교의 죽음관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드러내 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증산계 신종교의 종교적 특성과 정체성을 밝히고, 아울러 사회적 역할과 기능을 확인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증산계 신종교는 인간이 사후에 어떻게 된다고 보는가? 이 물음은 사후에 인간이 어떤 모습으로 존재하게 되는지? 사후에도 동일한 정체성을 유지하는지? 가족과의 관계가 어떻게 되는 것인지? 어떤 일을 하게 되며 어떤 일을 겪게 되는 것인지? 윤회 또는 환생을 하는지? 등의 여러 문제를 함축한다. 이를 하나씩 유교 도교와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이 연구는 기본적으로는 비교종교학적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죽음에 대한 설명은 죽음을 대면하는 개인의 심리적 의식을 해명하는 심리학적 층차, 인간 개념에 대한 철학적 이해를 통해 죽음을 해명하는 철학-종교적 층차, 죽음을 처리하는 사회적 의례의 분석을 통해 죽음의 사회문화적 의미를 해명하는 사회학적(문화론적) 층차 등 세 층차에서 살펴볼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유교와 도교 그리고 증산계 신종교의 죽음관에 대해 철학적 층차에 중점을 두면서 문화론적 의미도 함께 비교 검토해보았다. 증산계 신종교 죽음관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그것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들인 혼(魂), 백(魄), 신(神), 영(靈), 선(仙)에 대한 설명이 필수불가결하다. 증산계 신종교의 죽음관에는 수용과 극복이라는 중층성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유교 도교와의 비교를 통해 이들 선행연구의 문제점과 한계점들에 대한 보완 작업을 시도해 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증산계 신종교 죽음관의 핵심적 요소들을 좀 더 분명히 드러내 보이고자 하였고, 그 특징을 하나하나 밝혀내 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죽음관에 대한 좀 더 선명하고 체계적인 논의를 바탕으로 앞으로 죽음의례, 시신 처리, 장례 문제, 죽음 교육, 안락사, 자살 문제를 포함하는 임종의 문제, 지옥의 문제, 죽음을 맞이하는 사람의 심리 문제, 개벽시대 죽은 이들의 부활 문제 등을 논점으로 해서 증산계 신종교 죽음관의 내용들을 좀 더 구체적으로 더 추출할 수 있게 될 것이다.
Understanding the theory of how a religion accepts the perspective on death is a prerequisite to grasp the identity and characteristics of such religion. Furthermore, contemplating the perspective on death, itself has a significant meaning as the contemplation provides an insight on how religion has, currently is and how it would influence the practical life of the human race. This current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perspective on death accepted by New Religions of Jeungsan, Confucianism and Taoism. By comparing the perspectives on death, this study seeks to conclude the similarity and discrepancy of New Religions of Jeungsan, Confucianism and Taoism.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mmarize the religious characteristic and identity of New Religions of Jeungsan, and the social role of New Religions of Jeungsan. How does New Religions of Jeungsan preach afterlife? This question implies varieties of questions including: In what shape or form does human exist in afterlife?; Does human maintain their original identity in afterlife?; What happens to relations with family members in afterlife?; What is one's role in afterlife, and what would one experience in afterlife? or Does soul transmigrate or are reborn? This current study compares the answers to these questions one by one with Confucianism and Taoism.In general, this current study was conducted with a non-religious methodology. Death can be explained in three different domains: the psychological domain explaining the individual psychological awareness upon encountering death; the philosophical-religious domain explaining the death through the philosophical understanding of the human concept; and the socio-cultural domain explaining death through the social ceremonies upon death.This current study focuses on the philosophical domain of the perspective on death accepted by New Religions of Jeungsan, with a comparison of the socio-cultural significance. To understand the perspective on death preached by New Religions of Jeungsan, It is indispensable to explain the five key elements of Hon(魂), Baek (魄), Shin(神), Young(靈) and Seon(仙) that construe death. The perspective on death preached by New Religions of Jeungsan imposes a multi layer of acceptance and overcoming. This current study complements the problems and limits of previous studies by comparison with Confucianism and Taoism. Throughout this process, this current study intends to highlight the key elements of the perspective on death preached by Deasunjinrihoe, and identify the aspects of each key element. With the sophisticated discussion of the perspective on death provided by New Religions of Jeungsan with clarity, this current study will provide grounds for future studies to extract, in detail, the aspects of the perspective on death preached by New Religions of Jeungsan, in further subjects including: discussions on death such as rituals for death, treatment of bodies, funerals, educating death, euthanasia, or suicide; discussions on the existence of hell; discussions on psychological aspects of ones who encounter death; or discussions on rebirth of those who died during the creation era. This current study will provide an overview on what kind of perspective on death does those who are faithful to New Religions of Jeungsan have and currently are living their life with.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