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Occupational Personality Scale Required for Industrial High School Graduates

고졸 취업자에게 요구되는 직업인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Received : 2018.11.13
  • Accepted : 2018.12.28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occupational personality required for high school graduates and to develop a scale to measure them objectivel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is study constituted the delphi committee composed of the teacher group and the industrial personnel group. Afterwards,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wice, and it was found that 12 jobs such as sincerity and honesty were related to occupational personality. As a result of the development of the scale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and the expert group interview, 12 factors and 116 scales were developed for the pre - occupational personality test tool.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developed preliminary test tool,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700 students of vocational high school, and 514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Parallel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number of factors befor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s a result, eight factors were found to be appropriate.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using the 'maximum likelihood method' and 'direct oblimin rotation method', 78 items of 8 factors were found appropriate. However, in order to confirm whether the item reflects the contents of the factors, we conducted a content validity test for the expert group. As a result, feedback was obtained that 19 items were irrelevant or inadequate. Therefore, the validity of the existing job personality test tool and the modified job personality test tool were verifi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s a result, the fitness of the revised test tool was higher and the fitness level was generally good.

최근 청년 실업을 해소하는 방안 중 하나로 중등단계 직업교육의 강화, 즉, 양질의 고졸 취업자 양성 방안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고졸 인력의 직업인성 함양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현재 직업인성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는 매우 제한적인 상황이며, 고졸취업자 대상의 검사 도구는 더욱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고졸 취업자에게 요구되는 직업인성 구인을 탐색하고, 이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교사 집단과 산업체 인사 집단으로 구성된 델파이 위원회를 구성하여 직업인성 구인을 도출하였으며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 결과, 성실, 정직 등과 같은 12개 구인이 직업인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선행연구와 전문가 집단 면담을 토대로 척도를 개발하였으며 그 결과, 12개 요인, 116개 척도의 예비 직업인성 검사 도구가 개발되었다. 개발된 예비 검사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직업계고 학생 7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미회수 및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 514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진행하기 전 요인 수를 결정하기 위해 평행선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8개 요인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요인 수를 8개로 고정하여 최대우도법, 직접 오블리민 회전 방법을 활용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수행한 결과, 8개 요인의 78문항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문항이 해당 요인의 내용을 잘 반영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내용타당도 검증을 진행한 결과, 19개 문항이 관련성이 낮거나 부적절하다는 피드백이 도출되었다. 이에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기존의 직업인성 검사 도구와 내용타당도 검증 후 도출된 수정 직업인성 검사도구의 적합도를 비교 검증하였다. 그 결과, 59문항으로 이루어진 수정 직업인성 검사 도구의 적합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적합도 역시 대체적으로 양호한 수준을 나타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