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innish and Dutch Basic Income Experiments: A Methodological Review

핀란드와 네덜란드 기본소득 실험의 방법론적 의미와 한계, 그리고 시사점

  • 노정호 (국민대학교 정치외교학과)
  • Received : 2018.01.31
  • Accepted : 2018.02.26
  • Published : 2018.03.31

Abstract

Globalization, deindustrialization, and the revolutionary development of technology has led to the concerns that existing social policies might not be fit for the current and upcoming society. At the same time, the idea of universal basic income has drawn significant attentions as the alternative to the old welfare state. There are pros and cons of basic income, and scholars of both sides stand against each other with their equivalently strong logics. In this situation, some governments have planned or conducted field experiments in order to estimate the causal effects of basic income. This study explores the Finnish and Dutch basic income experiments in methodological perspective. All the World have been watching the experiments in these two countries with keen interest. The results of these experiments will surely influence on the pros and cons of basic income in numerous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It is important to precisely figure out the methodological meanings and limitations of the experiments, for the experiments in both countries deal with only some partial components of basic income and have been exposed to many threats to internal validity. Therefore, scholars for and against basic income should be careful in interpreting the findings from these experiments. This study elucidate the methodological meanings and limitations of the Finnish and Dutch basic income experiments. Furthermore, this study extracts some lessons from these experiments that would be useful if scholars would have an opportunity to design and conduct a basic income experiment in South Korea.

세계화의 확대와 탈산업화, 그리고 기술의 혁명적 발전은 현존하는 사회보장제도에 대한 우려로 이어지고 있으며, 기본소득은 미래 사회보장의 대안으로서 크게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기본소득제도의 도입 여부에 대해서는 찬성과 반대의 논리가 서로 팽팽히 맞서고 있기에 어느 한쪽의 주장을 쉬이 받아들이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몇몇 정부에서는 정책실험을 통해 기본소득이 가져올 정치 경제적 영향력을 경험적으로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기본소득제도의 도입여부를 결정하려 한다. 본 연구는 이 중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두 나라, 핀란드와 네덜란드의 기본소득 실험을 방법론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들 두 나라에서의 실험결과는 한국을 비롯한 전 세계 복지국가에서 기본소득 찬반론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것이 자명하다. 그러나, 양국의 실험결과를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은 위험하며, 실험의 방법론적 의미와 한계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앞으로의 기본소득 도입 논의에 반드시 필요하다. 그 이유는 양국에서의 실험이 정부의 개입 등으로 기본소득의 일부 특성만을 반영하거나, 실험 설계의 취지가 상당 부분 퇴색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찬반 진영의 어느 한쪽에서 실험 결과를 그대로 자신들의 주장 강화에 이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보다는 이들 실험의 한계를 이해하고 제한적인 교훈만을 얻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핀란드와 네덜란드의 실험을 면밀히 고찰하여 그 방법론적 의미와 한계를 밝히고 더 나아가 만약 한국에서 기본소득 실험이 설계된다면 이들 국가들에서의 경험이 제공하는 시사점을 도출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