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nonverbal signs in Charade and narrative transformation: Focusing on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subject appearing in the film Carol

셔레이드에서의 비언어 기호와 서사적 변형의 상관성 연구 - 영화 <캐롤>에서 나타나는 주체의 형성 과정을 중심으로

  • 조은진 (건국대학교 대학원 문화콘텐츠.커뮤니케이션학과) ;
  • 송치만 (건국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Received : 2018.08.21
  • Accepted : 2018.09.10
  • Published : 2018.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arrative correlation of nonverbal signs found in Charade. Charade, by using nonverbal signs,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character's psychological change, his or her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the places where they stay. The study of Charade, then, has to be approached considering not only the transmission of messages through nonverbal signs but also its signification. This study has analyzed the narrative and formation process of the subject that triggers the subject's activity by taking narrative semiotics to the film Carol (2015). As the status of women is represented by the mise-en-$sc{\grave{e}}ne$ at this time, this study aims to examine such a fact through Charade, which belongs to the realm of mise-en-$sc{\grave{e}}ne$. In this study, nonverbal signs that are used in Charade are drawn based on the nonverbal communication theory. The result of analyzing the texts showed that the use of interior decoration was outstanding in the process of expressing the status of female subjects. The use of gaze was noticeable in the process of expressing the acquisition of female subjects' power. Beside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use of nonverbal signs such as accessories, territoriality, or gesture, was worthy of attention. It was confirmed that such nonverbal sign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subjects and configuration of narrative transformation.

본 연구는 셔레이드에서 발견되는 비언어 기호의 서사적 상관성을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셔레이드는 비언어 기호들을 사용해 인물의 심리 변화, 타인과의 관계, 인물이 머무는 장소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셔레이드에 관한 연구는 비언어기호를 통한 메시지의 전달뿐만 아니라 의미작용 또한 고려하여 접근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영화 <캐롤(Carol)>(2015)에 대한 서사기호학적 접근을 통해 내러티브를 분석하고, 주체의 행동을 촉발시키는 주체의 형성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때 여성의 지위는 미장센을 통해 드러난다는 점에서, 미장센 영역에 속하는 셔레이드를 통해 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토대로 하여 셔레이드에서 사용되는 비언어 기호들을 도출하였다. 이에 근거해 텍스트를 분석한 결과, 특히 여성 주체들의 지위를 표현하는 과정에서는 실내 장식의 활용이 돋보였다. 여성 주체들의 권력의 획득을 나타내는 과정에서는 응시의 사용이 두드러졌다. 그 외에도 액세서리, 영역, 제스처와 같은 비언어 기호의 사용도 주목할 만한 것이었음을 밝힌다. 이러한 비언어 기호들은 주체의 형성과 서사적 변형을 구상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건국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