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Aspects of Modernity in ImcheonByeolgok(林川別曲) by Okgukjae(玉局齋), Lee Un-young: Based on Using Greimas's Actant Model

옥국재(玉局齋) 이운영(李運永)의 <임천별곡(林川別曲)>에 나타난 근대성(近代性) 양상(樣相) - 그레마스의 행위소 모형을 중심으로

  • 박수진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Received : 2018.11.23
  • Accepted : 2018.12.17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This study was contemplated about an aspects of modernity that was discovered of ImcheonByeolgok(林川別曲) written by Okgukjae Lee, Un-young in 18th Century. It was composed time that unprecedented state in the 18th century. So, I considered that Modernity was the most appeared at 18th Century. During this period, Changes has happened in ideology and system in terms of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This change is the beginning of a new modern consciousness. There is also a tendency to think of Imcheonbyeolgok as the autobiographical story of Lee, Yun-young. It seems that Lee, Yun-young has a progressive scholarly thought, but he did not reveal his own situation by insulting him. Therefore, I am not realistically valid for being able to see it as an autobiographical story that he actually experienced. Also, although ImcheonByeolgok is known as a love song, it is hard to see it as a love song because its satirical features are strong. and It is characterized by the peculiar form of narrative being described as a dialogue. I picked two aspects of modernity in ImcheonByeolgok. One is resistance to love and desire, and the other is disintegration of the order of identity. The two aspects of this paper were presented as Greimas's Actant Model. ImcheonByeolgok is the result of efforts to show the changing modern Joseon Dynasty's elements in the form of resistance and resistance to Joseon's feudal society, such as Confucian ideology and identity systems. Thus, I suggested the corrupt ruling class of Joseon's feudal society and the exploited working class life as an old living and a grandmother instead of 'resistance' and 'disposal' in the 18th century. The criticism of traditional feudal societies that emerged in the 18th century turned out to be a hegemony that distinguishes the Middle Ages from the Modern Age, which resulted in differences between the ages before and after the 18th century. Although these hegemony were not clearly distinguished in household literature in the 18th century, it was established and developed in the 19th century. I suggested that Lim's Star Song was an important work tha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bringing about this change.

이 논문은 18세기 가사 작품인 옥국재 이운영의 <임천별곡(林川別曲)>에 나타난 근대성 양상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18세기는 시대적으로 파격적인 모습을 형성한 시기였다. 그렇기 때문에 근대성을 드러내기에는 가장 알맞은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기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인 면에서도 사상과 체제의 변화가 일어났고, 봉건사회 붕괴의 가장 큰 요인인 신분체계가 흔들렸다. 이 변화는 새로운 근대의식이 시작되는 시기라고 볼 수 있다. <임천별곡(林川別曲)>은 이운영의 자전적인 이야기라고 보는 경향도 있다. 이는 이운영이 진보적인 실학사상을 가지고 있다고는 하지만 양반됨을 욕보이면서 자신의 처지를 드러내지는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논자는 여항으로부터 전해들은 이야기가 현실적으로 더 타당하다고 여겨진다. 또한, <임천별곡(林川別曲)>은 애정가사로 알려졌지만, 풍자비판적인 특징이 강하기에 애정가사로 보기 어렵다는 견해이며, 서사적 양상이 대화체라는 특이한 형식으로 서술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임천별곡(林川別曲)>에 드러난 근대성 양상으로는 두 가지를 꼽았다. 하나는 '사랑과 욕망에 대한 저항'이고 다른 하나는 '신분질서의 해체'이다. 그레마스 행위소 모형으로 이 두 가지 양상을 제시하였다. <임천별곡>은 유교적 이데올로기, 신분제도 등의 조선의 봉건사회에 대한 저항과 반항의 형태로 이타적인 요소들에 대한 변화하는 근대적 조선을 드러내고자 하는 노력의 성과라 할 수 있다. 논자는 '저항'과 '해체'라는 말로 대신하였지만, 18세기 조선의 봉건사회에 대한 부패한 지배층과 착취당하는 서민층의 삶을 늙은 생원과 할멈으로 비유하여 제시하였던 것이다. 18세기 등장한 전통적인 봉건사회의 비판은 중세와 근대를 구별 짓는 헤게모니의 변화로 드러났고, 이러한 헤게모니의 변화는 18세기 전후의 차이를 드러내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18세기 가사문학에서는 이러한 헤게모니가 정확하게 구분되지는 못하였지만, 19세기에 이르러서는 정착되어 발전하는 양상을 보였다고 할 수 있다. 논자는 이러한 변화를 이끌어 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 작품으로 <임천별곡>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