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ition of the Views on the Mudang Gut Chum (shamanistic dance)

무당굿춤을 바라보는 시각의 전환 - 서울굿과 황해도굿을 중심으로 -

  • 홍태한 (전북대학교 무형문화연구소)
  • Received : 2018.07.05
  • Accepted : 2018.08.12
  • Published : 2018.08.31

Abstract

This article is to present that the research on the Mudang Gut Chum should be within the context of the performance of Mudang Gut and examines its meanings and implications with focus on Seoul Mudang Gut Chum and Hwanghae-do Mudang Gut Chum. Seoul and Hwanghae-do Mudang Gut Chums do not exist in the form of simple dance or movement. They feature continuity while serving the function of revealing the existence of spirit and sometimes show the process of the spirit joining the Gut ritual, which means that the Mudang Gut Chum should not be understood as the dance itself only. Instead, ca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status of the tune of Gut where the dance is placed, relationship between the gut and the spirit, and the flow of narrativity. Also, the Mudang Gut Chum has a lot to do with the tune. Looking at the Mudang Gut Chum simply focusing on dancing steps, and the movement of feet and/or hands fails to gain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fundamentals of the Mudang Gut Chum. Closely connected to the tune, which is also associated with the grade of the spirit, the dance shows a variety of performances conducted by entering the Gut ritual of the spirit. In that respect, complex views on the Mudang Gut Chum are required. The same applies to the hereditary shaman Mudang Gut as well. The Korean Mudang Gut Chum has a slight difference between the Gangshinmu gut and the hereditary gut but is in basically the same aspect. The Gut Chum holds its meaning in the flow of gutgeori (tune or dance performed during exorcism, a shaman song) and delivers its own meaning in connection with the tune. It is definitely meaningful to focus on the individual movements of a dancing shaman but one should be able to derive the network of meanings that such movements have within the performance of the gutgeori, which means that intensive studies on the field performance and circumstances should be completed before studying the Mudang Gut Chum. In addition, the Mudang Gut Chum disclos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formance group. The Mudang Gut Chum exists in a complex manner. With respects to the status of the spirit, i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formance group. It represents the progress of Gut while closely connected with the tune. Therefore, the way of describing the Mudang Gut Chum should be far more than just simply keeping the dance notations. With this in mind, one should investigate and record the Mudang Gut Chum.

이 글은 무당굿춤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무당굿의 연행 맥락 속에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함을 제시한 글이다. 서울 무당굿춤, 황해도 무당굿춤을 중심으로 그 의미를 살폈다. 서울굿과 황해도굿춤은 단순한 춤이나 동작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신령의 존재를 드러내는 기능을 하면서 연속성을 가지고 있어 신령이 굿판에 들어오는 과정을 보여주기도 한다. 이는 무당굿춤을 춤 자체로만 파악해서는 안 된다는 의미이다. 그 춤이 놓여있는 굿거리의 위상, 굿과 신령의 관련성, 서사성의 흐름에 주목해야 한다. 또한 무당굿춤은 장단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무당굿춤을 단순하게 춤사위 중심, 발동작이나 손동작 중심으로 바라보는 것은 무당굿춤의 본질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한다. 장단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더욱이 그 장단이 신령의 위계와 관련이 있어 춤은 음악과 함께 신령의 위상, 신령의 굿판에 들어와 행하는 다양한 연행 양상을 보여준다. 그런 점에서 무당굿춤을 바라보는 복합적인 시각이 필요하다. 이러한 양상은 세습무 무당굿에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한국의 무당굿춤은 강신무굿과 세습무굿에 따라 작은 차이는 있지만 동일한 양상이다. 굿춤이 굿거리의 흐름 속에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장단과 연계하여 독자적인 의미를 전달한다. 춤추는 무당의 개별 동작에 초점을 맞추는 것도 의미가 있지만, 그러한 동작이 굿거리의 연행 속에 갖고 있는 의미망을 도출해야 한다. 이것은 무당굿춤 연구를 위해 현장에 대한 집중적인 조사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또한 무당굿춤은 연행 집단의 특성을 드러내기도 한다. 무당굿춤은 복합적으로 존재한다. 무당굿춤을 받는 신령의 위상과 관련되면서 연행 집단의 특성을 나타낸다. 장단과 긴밀하게 결합되어 있으면서 굿의 진행을 나타낸다. 따라서 무당굿춤을 기술하는 방식은 단순한 무보 정리에 그쳐서는 안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무당굿춤을 바라보면서 조사를 하고 기록해야 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