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learning methods for education to transmit the items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focusing on Seoul-gut. Recently, as the Act on the Preservation and Promo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was promulgated, 'the archetype' instead of 'the prototype' has become highlighted as a crucial axis for transmission. Although there are some controversies over the definition of the archetype among scholars, it is now possible for transmitters to make use of transformations rather freely being freed from strict orientation to the prototype to follow some fixed frame. Examining learning methods used in education to transmit mudang-gut, one of the items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however, this author has found that the prototype is still emphasized or in the center of learning instead. Presenting learning methods employed for Hwanghaedopyeongsansonoreum-gut of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amijanggunsadang-gut of Seoul Special City'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Bonghwasandodang-gut as examples, this researcher intends to reveal the reality. In the recent situation that education centering around academies is being widely spread to transmit mudang-gut, setting forth the designation of some of the items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they are publishing articles on newspaper as an advertisement to encourage learning about mudang-gut. Responding to the advertisement, there are more and more shamans intending to learn mudang-gut coming to the society for preserving items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They can, of course, perform mudang-gut on their own but come to learn it as there is no fixed or definite system for it. Even though the concept of the archetype was introduced, as now it is possible to learn the fixed frame through learning about the prototype regarding the item of mudang-gut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ose involved in shamanism are coming to it more and more. As transmitting the prototype rather deteriorated the liveliness of gut, those involved in shamanism are coming to it to learn about gut thinking that it is where they can learn the basic frame and also acquire more detailed knowledge about shamanism. Therefore, it is needed for the item of mudang-gut designa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o accept the aspects of change and develop new methods of education to transmi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이 논문은 서울굿을 중심으로 무형문화재 지정 종목 전수교육 학습 방법의 의미를 살핀 글이다. 최근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이 공포되면서 '원형'을 대신하여 '전형'이 전승의 중요한 축으로 떠올랐다. 전형의 개념에 대해 학자들 간에 논란이 벌어지는 것은 사실이지만, 고정된 틀을 지켜야 하는 원형 중심에서 벗어나 전승자에 따라 자유로운 변개가 어느 정도 가능하게 된 것이다. 하지만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종목 중 무당굿의 전수교육 학습 방법을 살펴보니 오히려 원형을 강조하거나 학습의 중점에 두고 있다. 국가 무형문화재 황해도평산소놀음굿, 서울틀별시 무형문화재 남이장군사당굿, 봉화산도당굿 등의 학습 방법을 예로 들어 이러한 실상을 제시했다. 최근 무당굿을 전수하는 학원식 교육이 널리 퍼지고 있는 현실 속에서 무형문화재로 인정된 여러 종목들은 무형문화재 지정을 앞세우면서 신문에 무당굿 학습을 알리는 광고성 기사를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광고에 호응하여 무형문화재 지정 종목 보존회에 와서 무당굿을 학습하려는 무속인도 증가하고 있다. 이들은 자유로운 무당굿 연행은 가능하지만, 고정되고 분명한 무당굿의 체계가 없어 이를 배우러 오는 것이다. 전형 개념이 들어왔지만, 무당굿의 무형문화재 종목에서 실시하는 원형 중심의 학습을 통해 고정된 틀의 학습이 가능하게 되면서 이를 찾는 무속인들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원형의 전승이 굿의 생동력을 떨어트리면서, 오히려 기본적인 틀의 학습이 가능한 곳이라는 인식, 구체적인 무속 지식을 배울 수 있다는 인식을 주어 여러 무속인들이 굿 학습을 위해 찾고 있다. 따라서 무형문화재 지정 종목 무당굿에서는 이러한 변화상을 수용하여 새로운 무형문화재 전수교육 방식을 개발하여야 한다.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