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derstanding policies regarding intangible cultural treasures and directions for improvement to promote the continuing tradition of Pansori

판소리 전승 활성화를 위한 무형문화재 제도의 이해와 개선 방향

  • Received : 2018.01.10
  • Accepted : 2018.02.05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Pansori has been passed down over several generations and over time have undergone continued change in accordance with the times, as well as the skills and ability of the singer. Policies regarding intangible cultural treasures were established to preserve and promote the continuing tradition of art forms including Pansori and thus must spare no effort in supporting and preserving the genre. As such, for proper implementation of the newly legislated law,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agents who pass down the tradition of Pansori and whether there are any areas that need to be changed in terms of our perception of culture in general. Pansory in the $21^{st}$ century features both contemporary aspects and mass appeal and have undergone many changes in how it is enjoyed. It is our responsibility therefore, to establish how the art and universality of Pansori should be promoted.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reviewed the evolution of law on intangible cultural treasures, the current status of intangible cultural treasures being passed down with a focus on national treasures and those of Jeonbuk Province to shed light on issues. Diversification is needed in the number of those who carry this intangible cultural treasure, as well as the number of categories. To that end, a survey index or practical ability index must be taken into account for the application and designation of intangible cultural treasures. The study also noted issues of the categories for designation as intangible cultural treasures and discussed directions for improvement. In the case of Pansori, suggestions for improvement were presented for the designation of skilled artists by school, regular surveys and regular application, increased role of artists for increased mass appeal, survey of regional singers, supervision and monitoring of skilled artists and establishment of a manual for the education on how to pass down the art form. In doing so, efforts should be made to make the passing down of Pansori more active and related education more systematic. Since we are in the early years of the law on intangible cultural treasures being implemented, areas of improvement will continue to be identified. It is however certain that the proper support for the art form to be handed down should be done in a way where law and culture are complementary given that Pansori is not just a Korean tradition, but a tradition of mankind.

판소리는 여러 세대를 거쳐 전승되면서 시대에 따라, 혹은 명창의 자질과 능력에 따라 생성, 변모를 거듭해 온 예술장르이다. 무형문화재 제도는 이러한 판소리의 생명력을 보전, 전승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므로 그 지원과 보호의 책임을 다해야 한다. 따라서 새로 제정된 법률안의 올바른 시행을 위해서는 먼저 판소리 전승의 주체와 우리 문화 전반의 인식이 변화할 점은 없는지를 살펴보는 일이 필요하다. 판소리는 21세기 현재성과 대중성을 담보하며 향유 양식도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이 시대 판소리의 예술성과 보편성을 어떻게 만들어나갈지는 결국 우리의 몫으로 남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무형문화재법의 변화 양상, 현재 국가무형문화재와 전북무형문화재를 중심으로 전승의 현황을 살펴보았으며 그 문제점을 개진하였다. 보유자의 수나 종목의 다변화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조사지표나 실기능력지표를 고려하여 신청하고 지정하여야 함을 논하였다. 아울러 보유자 지정을 위한 항목들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할 방향을 논의하였다. 판소리의 경우 유파별 보유자 지정, 정기조사와 정기 신청, 대중화를 위한 이수자 역할의 확대, 지역 명창의 목록 조사, 보유자에 대한 감독과 모니터링, 전수교육을 위한 매뉴얼 확립 등을 개선안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판소리의 전승이 더욱 활발해지고, 전수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무형문화재법 시행 초기이므로 앞으로도 개선해야 할 내용은 지속적으로 드러나게 될 것이다. 판소리가 우리만의 것이 아니고 인류의 것이라는 점에서, 법률과 문화가 서로 보완 상생하며 나아갈 때에 더욱 바람직한 전승지원이 이루어질 것이라는 점은 확실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