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ransformed "Shimcheong-jeon" in The Juvenile Literature - focusing on juvenile literature since the 2000s -

<심청전>의 어린이문학 변용 양상 - 2000년대 이후 창작동화를 중심으로 -

  • 진은진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 Received : 2018.01.09
  • Accepted : 2018.02.05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Korean classic novel "Shimcheong-jeon" has transformed in juvenile literature since the 2000s. Classical novels are far from modern and temporal, differ from modern cultures. Classic novels are also different from the lives and thoughts of modern children. It is therefore difficult for modern child readers to easily understand or agree with classical novels. In order for classical novels to have the meaning in the present,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encounter between classical novels and children's literature. In the case of "Shimcheong-jeon", unlike other classical novels, there are many creative fairy tales. There are seven kinds of fairy tales that transformed "Shimcheong-jeon". They are diverse in genres such as picture books, fairy tales, and juvenile fiction, and are intended for a variety of ages. These works are described in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Shimcheong who is full of desire, Shim Hakgyu who is disabled, Ppaengdeog's mother who has maternity and subjectivity, The dragon of the dragon king and Byeogdeog who loves Shimcheong, and Shin Cheong who has a dream. The themes of the works vary. So, These works extend our expectations for classical literature. Fairy tales that transformed "Shimcheong-jeon" reflect the lives of children and youths, this is important because it can reduce the distance between classical novels and children and youth readers. Classical novels are modernized and give new meaning to modern children and youths. And i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vels of Pansori's "Shimcheong-jeon", preserving the value of classics. Tears of Paengdeok is a story that explains the origin of Pansori "Shimcheong-ga", and inserts some lyrics of Pansori, in the case of Cheong, Cheong, Pansori style is used. Although humor is the greatest feature of pansori, there are few of Fairy tales that transformed "Shimcheong-jeon". It is a direction to worry and to orient when transforming "Shimcheong-jeon" into a fairy tale.

고전소설이 과거의 유품이 아니라 현재적 고전으로서의 의미를 가지기 위해서는 설화와 마찬가지로 고전소설과 어린이문학의 만남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심청전>의 경우는 다른 고전소설들 달리 주목할 만한 창작동화가 다수 나오고 있어 관심을 가질 만하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2000년대 이후 창작동화를 중심으로 고전소설 <심청전>이 어린이문학에서 어떻게 변용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심청전>을 변용한 창작동화는 이형진의 그림책 "비단치마", 공진하의 저학년 장편 동화 "청아 청아 눈을 떠라", 이경혜의 저학년 단편동화 "심청이 무슨 효녀야?", 강숙인의 청소년 소설 "청아 청아 예쁜 청아", 진은진의 단편 동화 청아 청아, 배유안의 청소년 장편소설 "뺑덕", 정해왕의 청소년 장편 소설 "뺑덕의 눈물" 총 7종이었다. 이들을 검토해 본 결과 그림책, 동화, 청소년 소설 등 다양한 장르와 연령을 대상으로 하면서 다양한 시각으로 다채로운 주제를 드러냄으로써 고전의 기대지평을 확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에 <심청전>을 변용한 동화가 어린이와 청소년의 삶에 근접한 문학이라는 점도 고전이 가진 고리타분함과 독자와의 거리를 줄일 수 있는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심청전>이 어린이들의 삶과 밀착하여 다채롭게 재해석되면서 고전은 현재의 것으로서의 새로운 의미를 부여받게 된다. 또한 "뺑덕의 눈물"의 경우, 서사를 <심청가>의 기원과 연결시키거나 판소리를 삽입하기도 하여 판소리계 소설로서의 <심청전>의 특성을 반영하면서 고전의 가치를 살리려는 노력을 보여주고 있었다. 아쉬운 점이 있다면 판소리계 소설의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인 골계미가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는 점인데 <심청전>을 변용한 동화들이 앞으로 고민하고 지향해야 할 방향 중 하나라고 여겨진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