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학교폭력예방 소시오드라마가 중학생의 학교폭력인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Sociodrama on the Perceptions of School Violence in Middle School Students

  • 이순섭 (마음소리드라마치료센터) ;
  • 강희숙 (공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투고 : 2018.11.17
  • 심사 : 2018.12.26
  • 발행 : 2018.12.3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학교폭력예방 소시오드라마를 실시한 후 학교폭력인식의 효과와 만족도를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진행은 2018년 4월에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S시와 A시 중학교 1학년 각각 12명이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의 학교폭력인식 수준은 사전검사 14.50, 사후검사 11.83, 평균 순위 9.33이었다. 통제집단의 학교폭력인식 수준은 사전검사 14.25, 사후검사 13.83, 평균 순위는 15.67이었다. 두 집단 간의 Mann-Whitney의 U 검정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학교폭력예방 소시오드라마가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실험집단의 소시오드라마 만족도는 전체 평균이 5점 만점 중 4.71로 매우 높게 나왔으며, 특히 '선생님의 수업진행'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해 중학생을 위한 학교폭력예방 소시오드라마의 보급과 확산을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perceptions of school violence and satisfaction after violence prevention sociodrama in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April, 2018, and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12 students in each of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in S city and A city. As a result, the level of perceptions of school viole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14.50 in pre-test, 11.83 in post-test, and 9.33 in average rank. The level of perceptions of school violence in the control group was 14.25 in pre test, 13.83 in post-test, and 15.67 in average rank. The Mann- Whitney U test between the two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cating that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are effective. The program has been satisfac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total average is very high as 4.71 out of five points, in particular the highest satisfaction with 'teacher's class progress'.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diffusion and spread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sociodrama for middle school stud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선애(2011), 학교폭력가해 및 피해학생을 위한 음악치료프로그램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2011.
  2. 교육부(2013). 또래문화 개선 어울림 프로그램.
  3. 교육부(2018). 2017년 학교폭력실태조사 결과. https://blog.naver.com/moeblog/221049121779.
  4. 교육인적자원부(2003). 아름다운 학교 행복한 교실만들기. CD 종합편 [컴퓨터화일].
  5. 국가법령정보센터(2017).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http://www.law.go.kr.
  6. 김남선.이옥분.정일환.주동범.한상철(2001). 청소년 교육론. 서울: 형설출판사.
  7. 김혜진(2002).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의 개발과 그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선영(2010). 미술심리지도론을 통한 한국화 표현활동 프로그램 연구 -중학교 1학년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박송지(2010). 중학생대상 학교폭력 예방교육이 학교폭력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사회정신건강연구소(2005). 한 번 더 생각해봐 프로그램. 서울: 교육과학사.
  11. 서미경(2007). 중학생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성산효대학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서울대학교 발달심리연구소(2005). 시우보우 프로그램.
  13. 서울대학교 발달심리연구소(2005). 헬핑 프로그램.
  14. 서울시교육청(2001). 집단따돌림예방 프로그램.
  15. 서울특별시자녀안심운동서울협의회(2004).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 백과중학교.
  16. 양혜진(2016). 청소년 참여방식을 통한 학교폭력의 의미와 학교폭력 예방프로그램의 접근 방법- 포토보이스 방법론 적용.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19(2), 57-71.
  17. 윤초희.박상근.신인수(2014). 국내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아시아교육연구, 15(1). 189-215.
  18. 이 근(2015).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학교폭력태도, 정서적 안정성,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광주대학교 사회복지전문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 이데일리(2018). [2018 국감] 초등 학교폭력 예방교육 시간 가장 큰 폭 감소. 2018년10월 11일.
  20. 이봉주.김예성.임정임(2009). 학교폭력예방프 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평가 연구 : 논리모 델에 기반하여. 한국청소년연구, 20(2). 257-281.
  21. 조성희.김광운(2012). 사회극의 원리와 적용. 서울: 학지사. p.24, p.26, p.48-52.
  22. 청소년보호위원회(2002). 학교폭력예방자료 폭력없는 우리 학교를 위하여.
  23. 청소년보호위원회(2003). 학교폭력 가해학생 선도.교육프로그램 모형 개발.
  24. 최헌진(2010). 사이코드라마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25. 허미경(2008). 역할극을 활용한 중학생 학교폭력 예방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11(2); 37-52.
  26. Chapin, J. & Coleman, G.(2006). Knowledge is Power: A Theory-Based Approach to Reducing School Violence. Journal of Family Violence. 21, 381-386. https://doi.org/10.1007/s10896-006-9034-2
  27. Cossa, M. (2006). How Rude!: Using Sociodrama in the Investigation of Bullying and Harassing Behavior and in Teaching Civility in Educational Communities. Journal of Group Psychotherapy, Psychodrama & Sociometry. 58(4), 182-194. https://doi.org/10.3200/JGPP.58.4.182-194
  28. Cox, E, Leung, R, Baksheev, G, Day, A, Toumbourou, J. W., Miller, P., Kremer, P. & Walker, A. (2016). Violenc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mes for Adolescents in Australia: A Systematic Review. Australian Psychologist. 51(3). 206-220. https://doi.org/10.1111/ap.12168
  29. Heaven, P. C. L.(1994). Contemporary adolescence: a social psychological approach. Macmillian Education, Australia Pty Ltd.
  30. Jessica, G. B, Andrea, C. G.(2011). Prioritizing the school environment in school violence prevention efforts. Journal of School Health. 81(6). 331-340. https://doi.org/10.1111/j.1746-1561.2011.00598.x
  31. Kellam S.G., Ling X, Merisca R., Brown C.H., & Ialongo N.(1998) The effect of the level of aggression in the first grade classroom on the course and malleability of aggressive behavior into middle school.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10(2), 165-85. https://doi.org/10.1017/S0954579498001564
  32. Thakore, R. V., Apfeld, J. C, Johnson, R. K., Sathiyakumar, V., Jahangir, & Sethi, M.K. (2015). School-based violence prevention strategy: a pilot evaluation. Journal of Injury & Violence Research. 7(2). 45-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