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ed Factors and whether Oral Examination for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경제활동 인구의 구강검진수검 여부 및 관련요인

  • 김민영 (삼육보건대학교 치위생과) ;
  • 김지현 (전북과학대학교 치위생과)
  • Received : 2018.08.22
  • Accepted : 2018.09.14
  • Published : 2018.10.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factors related to whether or not to take oral examinations for 104,811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aged 25 to 54 years using the 2016 community health survey dat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oral examination rate the effect general characteristics, socioeconomic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oral health management behavior. The higher who age, the higher who education, have experience scaling, and the better who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unmet dental needs rate of oral examination was higher. The higher the income level, the lower the oral examination rate. Age of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marital status, education level, area, income quartile, empolyment, scaling experience, unmet dental needs,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whether oral examin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n positive basis for an effective oral examination program to improve accessibility to oral examinations.

본 연구는 2016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만 25~54세 연령의 104,811명의 경제활동 인구를 대상으로 구강검진수검 여부와 관련된 요인들의 영향 정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를 시행하여 구강검진 수검률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 사회경제적 지리적 특성, 구강건강관리행태 요인을 파악하였다. 연령 및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치석제거를 경험한 경우, 주관적 구강건강수준이 매우 좋은 경우, 필요치과진료 수진자에서 구강검진 수검률이 높게 나타났다. 소득분위가 높을수록 구강검진 수검률이 낮게 확인되었다. 경제활동 인구의 연령, 결혼여부, 교육수준, 지역, 소득수준, 직업, 치석제거 경험 여부, 필요치과진료 미수진 여부 등이 구강검진 수검 여부에 있어 유의한 영향이 있음이 나타났다. 구강검진에 대한 접근성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구강검진사업에 실증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영수, 정세환, 이규식, "구강병 예방진료 일부항목의 건강보험급여를 위한 재정추계 연구,"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지, 제27권, 제4호, pp.539-552, 2003.
  2. 보건복지부, 2011 건강검진통계연보, 국민건강보험공단, 2012.
  3. K. F. Roberts-Thomson and J. F. Stewart, "Access to Dental Care by Young South Australian Adults," J. of Aust Dent, Vol.48, No.3, pp.169-174, 2003. https://doi.org/10.1111/j.1834-7819.2003.tb00027.x
  4. 보건복지부, 2015 건강검진통계연보, 국민건강보험공단, 2015.
  5. 박홍련, "근로자의 구강건강실태와 구강건강관리행동에 관한 조사," 치위생과학회지, 제6권, 제3호, pp.177-186, 2006.
  6. 정세환, 국가 구강검진체계 개선방안 제시 및 교육지침 개발, 보건복지부, 2009.
  7. 국민구강건강싵태조사, 보건복지부, 2010.
  8. 송석하, 광주광역시 동구민 중.노년층의 구강관리습관과 구강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9. 윤현서, 채유정, "지역사회 주민들의 구강검진 여부에 따른 구강건강관리행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8호, 제8권, pp.265-272, 2017. https://doi.org/10.5762/KAIS.2017.18.8.265
  10. 윤미숙, 권현정, "산업체 근로자의 구강보건행태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4권, 제6호, pp.2802-2811, 2013. https://doi.org/10.5762/KAIS.2013.14.6.2802
  11. 김동휘, 서영준, "우리나라 경제활동자의 구강검진 수진 영향요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6기 2차년도(2014)자료를 바탕으로," 치위생과학회지, 제17권, 제4호, pp.323-332, 2017. https://doi.org/10.17135/jdhs.2017.17.4.323
  12. 이정화, 조미숙, "일부지역 산업체 근로자들의 구강건강관리 행태에 관한 조사," 보건의료산업학회지, 제6권, 제2호, pp.15-23, 2012. https://doi.org/10.12811/kshsm.2012.6.2.015
  13. 김한숙, 민간 검진과 국가 검진 이용자의 특성 비교를 통한 건강검진 정책 효율화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14. S. Macintyre, A. Ellaway, and S. Cummins, "Place Effects on Health: How Can We Conceptualise, Operationalise and Measure Them?," Social Science & Medicine, Vol.55, No.1, pp.125-139, 2002. https://doi.org/10.1016/S0277-9536(01)00214-3
  15. J. T. Kullgren and C. G. McLaughlin, "Beyond Affordability: The Impact of Nonfinancial Barriers on Access for Uninsured Adults in Three Diverse Communities," J. of Community Health, Vol.35, No.3, pp.240-248, 2010. https://doi.org/10.1007/s10900-010-9230-0
  16. 제1차[2017-2012]구강보건사업 기본계획, 보건복지부, 2017.
  17. 이민경, 진혜정, "우리나라 성인의 미충족 치과진료 현황 및 관련요인: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치위생학회지, 제15권, 제5호, pp.787-795, 2015. https://doi.org/10.13065/jksdh.2015.15.05.787
  18. 이정민, 김원중, 손혜숙, "연령층별 사회경제적 계층에 따른 건강행위 실천과 주관적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317-327,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6.317
  19. 이은숙, 김경민, 김혜진, "병원 내 치과검진 수혜자의 구강건강인식 및 습관에 따른 구강건강상태," 보건의료산업학회지, 제10권, 제2호, pp.121-131, 2016. https://doi.org/10.12811/kshsm.2016.10.2.121
  20. 여지영, 정형선, "구강검진 및 필요치과진료 수진의 결정요인: 경제적 접근성과 지리적 접근성간의 상호작용효과 분석,"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제18권, 제4호, pp.109-126, 2012.
  21. S. Schwartz, "The Fallacy of The Ecological Fallacy: The Potential Misuse of a Concept and The Consequences," J. of American Public Health, Vol.84, No.5, pp.819-824, 1994. https://doi.org/10.2105/AJPH.84.5.819
  22. G. Firebaugh, "A Rule for Inferring Individual Level Relationships from Aggregate Data,"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43, No.4, pp.557-572, 1978. https://doi.org/10.2307/2094779
  23. 심형순, 김송숙, 김지현, "우리나라 성인의 치과 의료이용 미수진 관련 요인," 한국치위생학회지, 제15권, 제5호, pp.823-829, 2015. https://doi.org/10.13065/jksdh.2015.15.05.823
  24. 신보미, 배수명, 유상희, "우리나라 성인의 직업수준에 따른 구강건강불평등 현황," 치위생과학회지, 제16권, 제3호, pp.225-234, 2016. https://doi.org/10.17135/jdhs.2016.16.3.225
  25. 전경자, 나백주, "농촌지역 공공보건기관의 보건사업 기능개편 방안," 한국농촌간호학회지, 제2권, 제2호, pp.145-152, 2007.
  26. 박수경, 김춘배, 정원균, "우리나라 지역주민의 보건소 구강보건서비스이용률 분석: 2011-2012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이용,"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지, 제38권, 제3호, pp.154-164,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