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ronotope and Feeling: Gangnam Blues

시공간과 감정- 『강남1970』

  • Received : 2018.11.10
  • Accepted : 2018.12.12
  • Published : 2018.12.30

Abstract

In this essay, I examine the interactions of chronotopes in the narrative of Gangnam Blues, a film written and directed by Yu Ha and released in 2015. Bakhtin's chronotope, the connectedness of temporal and spatial relationships in literary narratives, provides the background for the representability of events and becomes the organizing center for the events. Each chronotope offers a different way of acting, interacting and understanding experience, and chronotopes can interact with each other in a single text or between the reader and the represented world. Gangnam Blues is a gangster movie, first of all, showing an individual's illusion of an unlimited possibility for achieving wealth and power. At the same time, the film describes the government's project to transform Gangam, a rural area in the south of the Han, into a new downtown and residential area for Seoul. As the world in the narrative and the world of the author or the reader are all chronotopic, we can see the interactions of chronotopes between the narrative of an individual and the historical narrative, as well as between the narrative about the beginning of Gangnam and the audience's perception of the present Gangnam. In this film, the main character's ambition is shown as part of the social desire for rapid economic achievements in the 1970s, along with high social mobility. The social desire can be explained as envy, as it is fueled by social comparisons and competitions. The main character's pursuit of money and power through the possession of Gangnam land overlaps with the envious desire for the present Gangnam shared by many. The individual's exceptional ambition and violence are not fully examined in this text. Moreover, the film's dependence on the feelings of envy to represent the individual's choice and violence can be a symptom of the lack of critical distance from social desire and envy.

2015년 발표된 유하 감독의 영화 "강남1970"은 바흐찐이 말하는 서사 속 시공간의 결합관계, 크로노토프의 중첩을 살필 수 있는 서사다. 이 영화는 또한 강한 야망과 폭력으로 부와 권력을 이루려는 개인의 서사와 1970년대 서울 강남개발을 둘러싼 비리와 폭력, 한국 사회의 변동사, 그리고 그것을 회고하는 현재의 시각이 어우러진 서사이다. 본 논문은 이 영화가 폭력을 휘두르며 범죄를 일삼는 주인공의 행보를 경제개발 시대 변화에 참여하여 그 이익을 향유하고 부를 축적하는 것을 성취로 받아들인 70년대 일반인들의 욕망의 맥락 속에서 제시하고 현재 한국 최고가 부동산 지역으로 여겨지는 강남에 대한 다수의 선망에 기대어 관객의 공감을 얻고자 했다고 본다. 서사의 중심이 되는 강남은 관객의 시공간에서 한국 현대의 변화를 집약하는 실제 장소이며 한국 사회의 욕망을 대변하는 상징적 장소다. 한국인들은 경제개발을 최우선 과제로 삼은 상황에서 경제적 성취를 향한 비교와 경쟁에 익숙해졌고 도시화된 삶에서 자본주의가 생산해내는 상품과 새로움의 환상의 악순환에 묶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 영화는 한국사회의 집단적 감정으로서 선망에 기댄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강남1970"은 그러한 한국인의 욕망의 양상을 조폭영화 서사로 풀어나간 영화라고 할 수 있다. 강한 야망과 폭력으로 급격하고 막대한 부의 성취를 하려는 개인의 모습이 그 시대 보통 사람의 욕망으로 치환되고 막대한 부에 대한 강한 야망, 폭력적이고 공격적인 정서가 거리감 없이 공유된다면 문제가 된다. 역사적 집단적 회고나 현재 사회적 정서가 선망으로 채색되는 것은 그 집단, 사회가 심리적 분열의 문제를 직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표시가 될 수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아주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