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 Doublets

쌍형어에 대하여

  • Received : 2018.02.10
  • Accepted : 2018.03.01
  • Published : 2018.03.30

Abstract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issues of the discussions on the subject of doublets. In general, as a definition, the use of doublets refer to a pair of words which have a common etymon, but also to a pair of words or grammatical morphemes that have the same meaning and similar forms of the word. In this paper, we have seen that a typical pairing word is a pair of words with a common etymology. Generally speaking, it is possible to divide doublets into subtypes depending on the identified similarities or differences in the meaning or form. The most distant type from the typical type of doublets is a pair of words that do not have a common etymon, but have the same meaning and are similar in form. The second issue about doublets is whether doublets include only words. For example, if some josas (postpositions or particles) have a common etymon, then it is noted that they can be accepted as a kind of doublets. In the case of suffixes, it may be possible to recognize the suffixes as doublets if they have a common etymon. In other words, it is not necessary to recognize the suffixes as doublets because the derivatives which are derived by the suffixes can be accepted as doublets. In the case of endings, it may be possible to recognize a pair of endings which have the same meaning and the common etymon as a doublet. Otherwise, the word forms to which the endings are combined can be accepted likewise as doublets. However,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endings typically in use in the Korean language may have syntactic properties, the endings should be considered as doublets rather than the words which have the endings. Finally, we conclude that there may be some debate as to whether stem doublets or ending doublets belong to a lexical item in the lexicon. It can be said that they are plural underlying forms and may be deserving of further research.

본고에서는 기존의 쌍형어 논의들의 쟁점들을 살펴보았다. 일반적으로 쌍형어는 공통의 어원에서 갈라져 나온 단어들의 쌍을 가리키지만 공시적으로 의미가 같고 형식의 유사성을 보이는 단어들의 쌍이나 문법 형태소들의 쌍을 가리키기도 한다. 본고는 전형적인 쌍형어는 공통의 어원을 가지는 단어들의 쌍이라고 보았다. 쌍형어는 의미와 형식의 유사성이나 차이에 따라 하위 유형화가 가능하다. 전형적인 쌍형어에서 가장 멀어진 것은 공통의 어원을 가지지는 않지만 의미가 같고 형식이 유사한 단어들의 쌍이라고 할 수 있다. 두 번째 쟁점은 쌍형어가 단어들의 쌍을 가리키는가 하는 점이다. 공통의 어원을 가지는 단어들의 쌍이 전형적인 쌍형어이나 조사나 어미의 경우에도 쌍형어를 인정한다면 조사 쌍형어나 어미 쌍형어의 존재가 가능할 것이다. 접미사의 경우에는 접미사 쌍형어의 인정이 가능할 수 있으나 접미사가 결합한 파생어가 쌍형어를 형성하므로 굳이 접미사 쌍형어를 인정할 필요는 없다고 보았다. 어미의 경우도 해당 어미가 결합한 활용형의 쌍형어를 인정할 수도 있으나 한국어의 어미가 통사단위로서의 성격이 강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엄청나게 많은 활용형의 쌍형어를 인정하기보다는 해당 어미를 쌍형어라고 하는 쪽이 적절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어간 쌍형어나 어미 쌍형어 일부가 기저형 층위에서 일종의 이형태 관계를 이루는지에 관한 쟁점이 있을 수 있으나 본고에서는 하나의 어휘 항목 내에 속하는 경우에는 쌍형어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보았다. 이들은 일종의 복수 기저형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